• 제목/요약/키워드: DNA함량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33초

Rye-grass류의 물질생산, 단백질, aminotks, 엽록소, Carotene, RNA 및 DNA의 함량에 미치는 질소의 영향 (Effects of Nitrogen Nutrient on the Yield, Protein, Amino acid, Chlorophyll, Carotene, RNA, and DNA Contents in Rye-Grasses)

  • 장남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1_2호
    • /
    • pp.30-38
    • /
    • 1973
  • To study the response to plant growth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nitrogen on changes in the yield, crude protein, amino acids, chlorophyll, carotene, total phosphorus, acid-soluble phosphorus, phospholipids, RNA, and DNA were investigated with westerworlds 9Lolium sublatum) and perennial rye-grasses (Lolium perenne). The amounts of dry weight, crude protein, amino acids, chlorophyll, carotene, total phosphorus, acid-soluble phosphorus, phospholipids, RNA and DNA of both rye-grasses increased with adequately increasing nitrogen, and reached a maximum with an adequate application of nitrogen. The relationships between yields and crude protein contents, crude protein and RNA contents, and yields and RNA contents of westerworlds and perennial rye-grasse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respectively. Therefore, in general, the response to plant growth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itrogen nutrien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Environmental factors\longrightarrowDNA\longrightarrowRNA\longrightarrowProtein\longrightarrowPlant growth

  • PDF

한국산 잇바디돌김 (Porphyra dentata)의 핵 18S rDNA 염기선열 분석 (Sequence Analysis of Nuclear 18s rDNA from Porphyra dentata (Rhodophyta) in Korea)

  • ;김명숙;조지영;진형주;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7-432
    • /
    • 2002
  • 잇바디돌김(Porptyra dentata)을 대상으로 핵의 18S ribo-somal RNA를 지령하는 유전자 즉 18S rDNA 유전자를 증폭하고,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전체 18S rDNA의 exon 영역 크기는 1822 bp, intron 영역의 크기는 512 bp였다. 이들 exon과 intron 영역의 G+C함량은 각각 49%와 55%씩 나타내었다. 일본산 잇바디돌김(CenBank accession number: AB013183)의 exon 영역과의 비교에서 상동성이 97.1%에 도달하였다. 568번과 569번 염기사이의 upstream에 위치하는 intron 영 역에서는 AB013183과 52.1%의 상동성을 보였다.

진균류의 DNA 생합성 및 염기조성에 미치는 항생물질의 효과 (The Effect of Antibiotics on the DNA Synthesis and Base Composition in Fungal Cells)

  • 박규연;이종삼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6-377
    • /
    • 1994
  • Cycloheximide와 nalidixic acid를 각각 처리한 배지에 Aspergillus phoenicis, Rhizopus acidus, Candida albicans를 배양하는 동안에 이들 세포에서 항생물질이 DNA 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대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Cycloheximide 처리구에서의 DNA 염기 함량은 A. phoenicis에서 대조구에 비해 adenine 20.4%, thymine 43.1%, cytosine 40.9%, guanine 35.3%가 감소되어 purine기, pyrimidine기가 각각 32.2%, 42.7% 억제 현상을 나타내었다. R. acidus에서는 adenine이 34.2%, thymine이 42.1%, cytosine은 38.0%, guanine은 18.1%가 감소됨으로 purine기와 pyrimidine기가 24.1%와 40.0%로 저해되었다. 그리고 C. albicans의 염기 조성은 adenine이 58.3%, thymine이 58.5%로 대조구에 비해 억제되었고 cytosine은 58.1%, guanine은 42.4%가 감소되어 purine기 46.8%, pyrimidine기 58.8%의 억제를 보여주었다. Nalidixic acid 처리구에서는 A. phoenicis에서 adenine 41.6%, thymine 47.1%, cytosine 59.3%, guanine 46.3%가 저해되어 purine기 45.6%, pyrimidine기 57.2%가 감소되었다. R. acidus에서의 염기함량은 adenine 59.1%, thymine 54.7%, cytosine 35.3%, guanine 37.4% 감소로 purine기 45.9%, pyrimidine기 44.9%가 대조구에 비해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C. albicans에서는 adenine이 60.1%, thymine이 68.6%, cytosine이 60.7%, guanine이 40.0% 저해되어 purine기는 45.8%, pyrimidine기는 63.5% 감소현상을 보였다. 이들 3 균주의 DNA 생합성에서 purine기 보다는 pyrimidine기가 cycloheximide와 nalidixic acid에 의해 뚜렷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실험에서 cycloheximide보다는 nalidixic acid가 DNA 생합성에 현저한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Chlorella 세포에서 분리한 엽록체의 핵산합성에 미치는 rifampicin의 영향 (Effect of Rifampicin on the Biosynthesis of Nucleic Acid in Chloroplast isolated from Chlorella ellipsoidea)

  • 이종삼;정희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6-287
    • /
    • 1986
  • ChIarella elliPsoidea를 rifampicin이 함유된 M4N 배지에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기간 동안에 일정량 세포를 수확하여 생장율을 측정하였다. 이들 세포에서 분리된 엽록체로 부터 핵산과 RNA polymerase를 추출하여 함량을 염기별로, 분석, 활성도를 측정하여 핵산 합성에 비치는 rifampicin의 효과를 대조구와 비교하며 분석하였다.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rifampicin의 농도는 80ppm 이였다. Whole cell system과 분리한 엽록체에서의 DNA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각각 70%, 60%의 감소를 나타내였다. Rifampicin은 RNA 염기 함양도 whole cell system에서는 46% 억제되었고 분리한 엽록체에서는 77% 저해효과가 관찰되었다. Rifampicin에 의한 RNA polymerase 활성도는 whole cell system에서는 10% 감소, 분리한 엽록체에서는 42% 억제를 나타내었다.

  • PDF

스마트팜 재배 병풀의 triterpenes 정량 및 각질형성세포 활성화 효과 (Quantification of triterpenes in Centella asiatica cultivated in a smart farm, and their effect on keratinocyte activation)

  • 박진홍;조성민;이다희;박영민;장환봉;강태진;이기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3-49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한 병풀을 수집해 스마트팜과 노지에서 재배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요성분 및 각질형성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및 비교하였다. 스마트팜 재배 병풀과 노지 재배 병풀의 유전자 확인을 통한 종 분석을 위해, 핵 속의 ITS DNA와 엽록체의 psbA-H DNA를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NCBI 유전자 은행에서 보고된 식물들의 DNA와 비교하였다. 스마트팜 재배 병풀과 노지 재배 병풀의 ITS DNA 염기서열은 유전자 은행의 MH768338.1번 Centella asiatica와 일치하고 엽록체 psbA-H DNA 또한 유전자 은행의 JQ425422.1번 C. asiatica와 일치하였다. 스마트팜 재배 병풀추출물(SEE)과 노지 재배 병풀추출물(FEE)의 triterpene은 HPLC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SEE의 madecassoside, asiaticoside, madecassic acid, asiatic acid 함량은 각각 59.31±0.94 mg/g, 46.38±2.26 mg/g, 6.21±1.47 mg/g, 7.04±1.93 mg/g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FEE는 각각 24.38±1.31 mg/g, 21.28±1.44 mg/g, 3.11±1.05 mg/g, 5.40±1.26 mg/g으로 측정되어 SEE가 FEE보다 더 높은 triterpene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람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SEE와 FEE의 독성은 실험된 농도 내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스크래치가 유발된 세포 내 회복은 SEE가 FEE보다 더 높은 회복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 triterpene 함량이 더 높은 스마트팜 재배 병풀이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백합나무 5년생 실생묘 및 체세포묘 (체세포배 유래 식물체) 간의 생리적 요인, 기공 및 DNA 함량 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tomata and DNA Content between Seedling and 5-year-old Somatic Plant (Somatic Embryo Derived-plant) in Liriodendron tulipifera)

  • 김용욱;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537-542
    • /
    • 2013
  • 본 연구는 백합나무 5년생의 실생묘와 체세포묘 간 생리적 요인, 기공 특성 및 DNA 함량 비교를 위해 수행되었다. 광합성율 비교의 경우 실생묘는 $10.67{\mu}mol$ $CO_2m^{-2}s^{-1}$, 체세포묘는 $9.04{\mu}mol$ $CO_2m^{-2}s^{-1}$, 기공전도율의 경우 실생묘가 0.2 mol $H_2Om^{-2}s^{-1}$, 체세포묘가 0.166 mol $H_2Om^{-2}s^{-1}$, 또한 증발산율 비교에서는 실생묘가 1.71 mmol $H_2Om^{-2}s^{-1}$, 체세포묘는 1.513 mmol $H_2Om^{-2}s^{-1}$로 각각 나타나 별 차이가 없었다. 기공밀도(실생묘, 23.33개/$mm^2$; 체세포묘, 22.43개/$mm^2$), 기공길이(실생묘, $25.83{\mu}m$; 체세포묘, $23.46{\mu}m$) 및 기공 폭(실생묘, $15.87{\mu}m$; 체세포묘, $15.3{\mu}m$)비교에서는 모든 실생묘가 체세포묘 보다 수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Flow cytometry를 이용한 엽조직의 DNA함량 비교에서도 실생묘와 체세포묘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Caffeine과 지방급여가 생쥐의 유선발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affeine and Dietary Fat on Mouse Mammary Development)

  • Lee, Seung-Yop;Yuh, In-Suh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9-357
    • /
    • 2001
  • 본 연구는 caffeine과 다불포화 지방산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대두유(soybean oil) 급여 가 생쥐의 유선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생쥐를 0, 5, 20%의 3개 지방급여 구로 나누고 각 구의 반은 caffeine처리를 하였으며 나머지는 무처리 하였다. Caffeine처리시 무처리구에 비하여 시험종료시 체중, 일당 증체량 및 유선의 무게(wet weight)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caffeine처리시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여 제 4유선의 유선발달 score및 DNA함량/gland을 증가시켰다(P<0.05). 지방급여 수준효과에 있어서는 caffeine처리구와 무처리구 모두에서 지방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선발달 score 및 DNA함량/gland이 증가하였다(P<0.05). Caffeine 급여와 20% 지방급여구 간에는 유선발달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20% 지방 + caffeine) - (20% 지방 + no cafferine) vs (0% 지방 + caffeine) - (0% 지방 + no caffeine)] (P<0.01). Phosphodiesterase 활성 억제인자인 caffeine을 생쥐에 급여할 시 유선의 발달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급여에 따른 유선발달은 다불포화 지방산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대두유를 0∼20%로 증가함에 따라 유선발달이 증가하였다. Caffeine과 대두유를 병행하여 급여할 시 유선발달에 상승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속간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섬유질 기질로부터 L-Lysine 생산균주 개발 -융합조건 및 융합체의 성질 - (Development of L-Lysine Producing Strains from Cellulosic Substrate by the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 Conditions for Fusion and Properties of Fusants-)

  • 성낙계;정덕화;박법규;정영철;전효곤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5-181
    • /
    • 1988
  • 섬유소 기질로부터 L-lysine을 생산할 목적으로 Cellulomonas flavigena에 Brevibacterium flavum 및 Corynebacterium glutamicum을 각각 이속간 원형질체 융합을 하여 융합조건과 융합체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parental protoplast를 동량으로 혼합한 후 30% PEG 6000으로 3$0^{\circ}C$, 30분간 융합시킨 결과 1.9$\times$$10^{-6}$~2.1$\times$$10^{-6}$의 융합빈도를 얻었고, 134주의 융합체 중 유전적 안정화가 판명되고 CMC 기질로부터 L-lysine 생성능이 인정된 FCB 3 및 FCC 19를 최종 선별하였다. FCB 3 및 FCC 19는 친주보다 DNA 함량이 높을 분 아니라 G+C 함량도 융합전 친주의 G+C 총함량의 약 1/2에 해당하여 반수체로서 안정화되어 있었으며, 그리고 친주와 반대로 CMC 자화능이 있어 CMC로부터 L-lysine을 배지 중에 축적하였다.

  • PDF

애기장대에서 GmNAP1의 과발현으로 인한 엽록소 함량 증가 (Increase in the Chlorophyll Contents by Over-expression of GmNAP1 Gene in Arabidopsis Plant)

  • 박훤범;안철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563-1568
    • /
    • 2010
  • 암(dark) 상태에서 재배한 대두의 하배축 길이 생장의 분자 기작을 연구하기 위한 일환으로 암 상태에서 재배한 대두 하배축으로부터 cDNA library를 제작한 후 ESTs를 구축하였다. 이들 ESTs 중 색소체 ABC 단백질과 아미노산 서열이 매우 유사한 clone을 선발한 후 이 유전자의 전체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GmNAP1 단백질은 엽록체로 향하는 transit peptide 서열이 존재한다. 빛에 의해 GmNAP1 유전자 전사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속적인 적색광, 근적색광 그리고 암 상태에서 성장시키면서 유전자의 전사량을 확인하였다. 이 색소체 NAP1는 엽록소의 전구 물질인 protoporphytin IX를 세포질에서 엽록체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대두에서 분리된 GmNAP1 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35S 프로모터 뒤에 GmNAP1 유전자를 접합한 후 애기장대에 형질전환하였다. 형질전환 된 애기장대의 엽록소 함량은 야생형의 엽록소 함량보다 훨씬 높게 측정되었다.

인삼 형질전환 조직의 다량배양에 의한 Saponin 고 생산 I. 인삼에서 형질전환 조직의 유도, 배양과 Saponin 고 생산능주 선발 (High Yield Saponin Production by Mass Cultures of Ginseng Transformed Tissue I. Induction, Culture of Transformed Tissue and Selection of High-Saponin-Producing Clones in Ginseng)

  • 이정석;고경민
    • KSBB Journal
    • /
    • 제9권2호
    • /
    • pp.157-164
    • /
    • 1994
  • 인삼의 잎, 줄기, 뿌리 절편에 Agrobatriumrhizogenes(stain $A_4$를 접종하여 형질이 전환된 조직(모상근)을 유도, 배양한 후 saponin 고생산능 clones을 선발하였으며, 아울러 형질전환 여부를 dot blot hybridization 과 opine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여러 부위에서 유도된 모상근은 모두 암조건의 MS 배지에서 활발히 생장하였으며, 이들 중 HB3 clone을 이용하여 동질화딘 모상근 clon으로 배양한 후 saponin 고생산능 clon을 선발한 결과 HB2-10 clone이 최대의 생장을 보였으며 총 saponin함량은 0.55wt%로 나타났다. 그러나 총 saponin함량이 가장 높은 clone은 비교적 생장이 느린 HB3-2 clone이었으며 0.74wt%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dot blot hybridization 결과 Ri-T-DNA가 식물체의genome 내로 삽입되어 있었으며, opine확인결과 모든 모상근 clone으로부터 argropine과 mannopine이 검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