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함량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7초

Biopolymer 생산성 Bacillus 속 균주의 세포융합과 융합주의 세포특성 (Cell fusion and fusants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trains producing biopolymer)

  • 임무현;김성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1호
    • /
    • pp.12-19
    • /
    • 1999
  • Biopolymer를 생산하는 Bacillus subtilis K-1과 유당 이용능이 있는 Bacillus coagulans를 융합시켜 획득된 융합주에 의해 생산된 biopolymer의 특성 변화, 생산성 향상의 연구의 일환으로 두균주의 융합을 시도하였고 융합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은 33% PEG(Mw. 6,000), 1% PVP, 10 mM $CaCl_2$이 함유된 fusion fluid(FF)에서 5분간 반응하였고, 항생제가 함유된 선별배지에 중층 후, 3일간 배양했을 때 Bacillus subtillus coagulans 변이주 들간의 융합빈도는 $4.6{\times}10^{-5}{\sim}1.8{\times}10^{-7}$이었다. 융합주의 세포특성 검토에서 분리된 모든 융합주의 segregation 비는 $1{\sim}6%$로 나타나 유전적으로 안정하였고, 각 균주가 요구하는 영양 요구성 marker와 항생제의 함유배지에서 생육이 확인되었다. 주요 융합주의 DNA함량은 모균주보다 $1.6{\sim}2.7$배 높게 나타났다. 융합주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두 모균주는 간상체로서 두꺼운 세포벽과 이중막을 확인할 수 있었고 원형질체 형성과정에서 팽융된 세포에서 구형의 원형질체 방출이 이루어지고, 원형질체 융합과정 및 형성된 융합체에서 융합체내 전형적인 vesicle이 확인되었으며 모균주보다는 큰 형태의 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청간해울탕(淸肝解鬱湯)이 생취에 Immobilization-Stress 및 Cold-Stress 부하후(負荷後) 혈중(血中)Histamine과 Corticosterone 함량(含量) 및 면역능(免疫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hungganhaewooltang on Serum Levels of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and Immune Response after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in Mice)

  • 강복환;정우석;김송백;유심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5-105
    • /
    • 2005
  • Purpose :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ungganhaewooltang(CHT) on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in C576BL/6J mice. Methods : Male C57BL/6J 30 mice of weighting 18${\pm}$2g, were divided into sixs groups including the immobilization-stress group(5heads), after immobilization-stress CHT oral administration(500mg/kg) groups(5heads), cold-stress group(5heads) and after cold-stress CHT oral administration(500mg/kg) groups(5heads). then we observed changes in the serum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level and changes immune system Results :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increased the serum level of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CHT decreased the serum level of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increased by cold-stress. CHT inhibited the release of histamine from mast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 0.1 mg/ml. In addition,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of murine thymocytes and splenocytes. CHT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of thymocytes de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but did not affect the cell viability of splenocytes de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Also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increased DNA fragmentation of thymocytes and splenocytes. CHT decreased DNA fragmentation of thymocytes in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but did not affect DNA fragmentation of splenocytes in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Immobilization-stress increased the population of thymic $CD4^+$ cells. CHT decreased the population of thymic $CD4^+$ cells increased by immobolization-stress.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decreased the population of $B220^+$ cells and increased the population of $thy1^+$ cells. CHT decreased the population of $thy1^+$ cells in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increased the population of splenic $CD4^+$ cells and $CD8^+$ cells. CHT decreased the population of splenic $CD4^+$ cells increased by immobolization-stress or cold-stress.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decreased the production of ${\gamma}-interferon$(IFN) interleukin(IL)-2 and IL-4. CHT enhanced the production of ${\gamma}-IFN$ de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but did not affect the production of IL-2 and IL-4 decreased by immobilization-stress or cold-stress. Furthermore, Immobilization- stress or cold-stress decreased the phagocytic activity of peritoneal macrophages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CHT enhanced the phagocytic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decreased by cold-stress. Conclusion : CHT may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tress via suppression of serum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level and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 D-71과 Zygosaccharomyces rouxii SR-S의 세포융합으로 육성한 융합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usant from Protoplast Fusion between Saccharomyces cerevisiae D-71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SR-S)

  • 이종수;김찬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7-302
    • /
    • 1988
  • 고온발효성인 Sacch. cerevisiae D-71과 내삼투압성인 Zygosacch. rouxii SR-S를 세포융합시킨 후 유전적으로 안정한 융합주 FS-RN1를 선별하여 각종 특성을 조사하였다. FS-RN-1은 이를 4$^{\circ}C$에서 6개월 보관했을 때 5.8%의 친주복귀율을 보여 유전적으로 안정하였고 친주에 비하여 세포체적이 컸고 DNA 함량이 많았으며 유도기가 다소 길었다. 또한 FS-RN1은 TTC 정색 시험에서 홍색을 띠었고 5% NaCl 함유되어 있는 간장국가수분해액의 한천배지에서 포자를 형성하였다. FS-RN1의 NaCl에 대한 내성은 친주의 중간이었으나 탄소원 자화성, KC1과 sodium propionate 및 cycloheximide 내성은 친주중 어느 한쪽의 성질을 띠었다. FS-RN1를 72시간 배양한 후 회수한 세포를 ethyl acetate로 처리한 세포현탁액의 $\beta$-fructofuranosidase 활성은 건물 g당 24.2$\times$$10^{-3}$ IU로 친주보다 훨씬 높았다. 또한 FS-RN1의 발효력은 40% glucose와 20% sucrose를 3$0^{\circ}C$에서 4일간 발효시켰을 때 각각 6.0%(v/v)와 8.8%(v/v)의 에탄올을 생성하여 친주보다 높았다.

  • PDF

가지과식물에서 Capsidiol 생합성에 관여하는 Cytochrome P450 유전자의 발현과 효소활성 (Enzyme Activity and Gene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 Involved in Capsidiol Biosynthesis in Solanaceae Plants)

  • 권순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9-143
    • /
    • 2008
  • 다섯 종류의 가지과 식물을 대상으로 elicitor에 의해 생합성 되는 capsidiol의 함량을 측정하고 생합성에 관련된 P450 효소의 활성과 관련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고추, 피망 및 담배는 capsidiol의 생합성에 관련된 두개의 유전자인 cyclase와 P450 유전자가 세포내에 존재하였고, elicitor의 처리에 의하여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고 효소의 촉매가 이루어 졌다. 가지세포에는 두개의 유전자가 게놈상에 존재하지만 P450 유전자는 발현되나, cyclase 유전자의 발현은 나타나지 않았다. 감자에는 capsidiol의 생합성에 관련된 P450 및 cyclase 유전자 모두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 사용된 P450과 cyclase 유전자는 식물이 정상상태에 있을 때는 전혀 발현되지 않으나 elicitor에 의해 특이적으로 유도 되는 특징을 보였고, 식물체 조직이나 기관별로 다양한 발현 양상을 보였다.

W/O, W/S, O/W, MLV(Multilamellar Vesicles) TYPE에서 Retinyl Palmitate(RP)의 열적 안정성과 효능,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and stability of Retinyl Palmitate(RP) in W/O, W/S, O/W, MLV(Multilamellar Vesicles) cream)

  • 지홍근;서봉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0-59
    • /
    • 1996
  • Retinol은 열과 빛에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그 유도체인 Retinyl Palmitate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 또한 안정성이 우려되어 많은 양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tinyl Palmitate 5% 와 Tocopgeryl Acetate 10%를 함유한 W/O, W/S, O/W, MLV Type의 크림에서 열적 안정성 및 UV 안정성을 CHROMA METERS로 측정하였으며, $25^{\circ}C$, $45^{\circ}C$에서 RP의 함량을 HPLC로 정량 분석하였다. 또한 RP가 열, 빛 등에 의해서 어떤 물질로 변화하였는지를 측정하였으며, 변화된 물질의 독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각각의 크림 TYPE 마다 입자 SIZE를 측정했으며, DNA와 CHROMA METERS를 사용하여 CELLULAR RENEWAL을 측정하였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을 이용한 대두 발효유의 제조 (Production of a Fermented Soymilk using a New Strain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Isolated from Kimchi)

  • 오남순;인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88-91
    • /
    • 2008
  • 숙성 중인 김치에서 생육과 산 생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분리하여 API 50 CHL kit로 확인하고 16S rDNA의 염기 서열을 분석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어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로 명명하였다. 대두에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제조한 두유에 KC51 균주를 접종하고 $30^{\circ}C$에서 정치 배양한 결과, 생균수는 접종 후 9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완만하게 증가하여 배양 12시간에는 $2.70{\times}10^9$ CFU/g까지 증가하였다. 적정산도는 배양 12시간에 0.35%까지 증가하였으며,pH 는 pH 4.52까지 감소하였다. 이때 유기산 농도는 젖산과 초산의 함량이 각각 0.56%와 0.10%로 분석 되었다. 두유 발효액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증식에 의한 점도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관능적으로도 신맛을 제외한 항목에서 두유와 유사하였다. 또한 $4^{\circ}C$에서 두유 발효액은 2주일의 저장기간 동안 pH, 적정산도와 생균수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핵 및 엽록체 유전자를 이용한 유럽마가목에서 동의 및 비동의치환율 (The Rates of Synonymous and Nonsynonymous Substitutions in Sorbus aucuparia Using Nuclear and Chloroplast Genes)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1-486
    • /
    • 2010
  • 유럽마가목에서 핵 및 엽록체 유전자의 서열을 이용하여 동의 및 비동의치환율을 산출하였다. 유럽마가목 엽록체 유전자의 서열은 핵 유전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움진화가 느리게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쌍자엽식물과 유사하였다. 핵에서 동의치환율(Ks)은 2.45-2.60이었으며 비동의치환율(Ka=1.15-1.30)보다 약 2배 정도 높았다. 엽록체에서 Ks는 1.20-1.26이었으며 엽록체에서 Ka (0.26-0.42) 보다 약 6배 높았다. 유럽마가목에서 핵 및 엽록체 Ka/Ks은 각각 0.178과 0.056이었다. 이 Ka/Ks의 비율이 1보다 작다는 것은 음의 도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엽록체 유전자는 유효유전자코돈(ENC)이 22.4-32.2로 핵의 값(35.8-38.7)에 비해 낮았다. G+C 함량 분석에서 엽록체 유전자는 동의코돈 A와 T에 대해 높은 선호성(G+C 함량은 28.4-29.1%에 불과)을 나타낸 반면 핵에서는 G와 C가 더 선호성을 나타내었다(G+C 함량은 63.2-64.2%).

콩의 광질에 대한 엽 색소 및 엽록소 형광반응 연구 (Response of Leaf Pigment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to Light Quality in Soybean (Glycine max Merr. var Seoritae))

  • 박세준;김도연;유성녕;김현희;고태석;심명룡;박소현;양지아;엄기철;홍선희;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00-406
    • /
    • 2010
  • 서리태콩 (Glycine max Merr. var Seoritae)에서 광원에 따른 엽의 광합성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콩의 제 1복엽이 완전 전개되었을 때 3일 동안 빛을 차단한 후 UV-B 와 일반광에 노출시켜 색소 함량과 엽록소 형광반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암처리에서 엽록소 함량은 감소하고, 일반 광에서 회복하였다. 카로티노이드와 안토시아닌 함량은 UV-B 조사한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엽록소 형광분석을 이용한 광합성 능률을 분석한 결과, 암처리가 진행 됨에 따라 Fv/Fm, F'v/F'm, ${\Phi}_{PSII}$ 및 NPQ는 감소하였다. 모든 변수들은 일반광에 노출되면서 회복하였으나 UV 처리한 것은 암처리 72시간의 수치와 큰 변화가 없었다. 이를 통하여 암처리 48시간 경과함으로 엽록체가 에티오플라스트로 전환되며, 일반광을 조사하였을 시 광합성 관련 광계가 복구되지만, UV-B의 강한 광이 조사되었을 때 광계가 회복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Sodium Alginate와 Cellulose가 흰쥐의 소화생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Alginate and Cellulose on Gastrointestinal Physiology in Rats)

  • 송영선;양정례;서명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51-559
    • /
    • 1996
  • 10% sodium alginate와 cellulose의 장기간 섭취가 휜쥐(Sprague-Dawley, 수켯)의 소화생리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았다. 체중 증가량은 무섬유식이군과 cellulos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소장의 무게와 길이 및 단위길이 당 무게는 무섬유식이군과 cellulos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분변의 부피 및 무게는 무섬유식이군에 비해 식이섬유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건조 중량은 cellulose군에서 가장 높았다. 분변으로 배설된 단백질 및 직질의 함량은 무섬유식이군에 비해 식이섬유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0.05), 따라서 단백질과 지질의 소화율은 무섬유식이군에 비해 cellulose군과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췌장의 amylase와 lipase 활성은 세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무섬유식이군에 비해 식이섬유군에서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췌장의 Prntease 활성은 무섬유식이군과 cellulose군에 비해 sodium alginat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췌장의 DNA 및 RNA 함량은 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췌장 단백질 함량은 무섬유식이군에 비해 식이섬유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SEM과 LM을 이용한 연구에서 식이섬유의 섭취는 주름을 가진 넓은 잎사귀모양의 융모세포와 goblet cell의 증식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이섬유의 섭취는 지방과 단백질의 흡수를 억제하여 영양소의 소화율을 떨어뜨리며 소화기관의 형태적.생화학적 변화를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곰보버섯 (Morchella spp.) 수집균주의 배양적특성 및 유전적 유연관계 (Culture characteristics and genetic relationship of morel mushroom (Morchella spp.) isolates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 민경진;박혜성;이은지;이찬중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0-10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외 수집 균주를 대상으로 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유전적 유연관계 및 균주별 함유된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곰보버섯은 생장온도 25℃, pH 7.0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균사는 초기에 백색에서 생장이 진행될수록 진한 노란색을 띠다 진한 갈색으로 변화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곰보버섯만의 고유한 배양적 특징으로 균사가 종에 따라 주기별로 경화되는 특징과 특유 강한 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균사 형태는 관찰을 통하여 총 5종류로 분류되었고 이들 균주의 ITS 분석 결과 Morchella conica, M.sextelata, M. importuna, M. esculenta, M. carssipes 등 5종으로 동정되었다. UFPF primer를 이용하여 PCR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ITS 분석 결과와는 다르게 M. conica로 동정된 KMCC04971 균주와 M. sextelata로 동정된 KMCC04407 균주는 동일한 패턴을 보였으며 그 결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균주별 균사체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 결과 M. importuna인 KMCC04973 균주가 100 g당 알파글루칸 16.4 g을 포함하는 베타글루칸 함량 33.1 g으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