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함량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5초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3배체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Cytogenetic Analysis of the Triploid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지영주;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7-43
    • /
    • 2012
  •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3배체를 제온자극으로 유도하고 부화유생인 trochophore를 이용하여 염색체 표본을 만들었고, 유도된 3배체와 정상 2배체 북방전복은 실내 유수식의 동일 환경에서 51개월 동안 사육되었으며 채취된 혈구를 채취하여 DNA 함량 측정에 사용되었다. 2배체 및 유도된 3배체의 염색체 수를 조사한 결과, 2배체 염색체 수는 2n = 36으로 나타났고, 3배체의 경우에는 3n = 54로 나타나 3배체는 2배체에 비해 1.5배의 염색체 수를 나타내었다. Flow cytometry로 인간의 백혈구를 control로 하여 북방전복의 DNA 함량을 측정한 결과, 북방전복의 DNA 함량은 1.743 pg/cell이었으며 3배체 북방전복의 DNA함량은 2배체 전복의 1.49배의 DNA 함량을 나타내어 3배체 특성인 모계 2n DNA 함량과 부계 n DNA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동세포분석에 의한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세포내 DNA 함량 분석 최적화 (A flowcytometric determination of DNA content in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cell)

  • 박인석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248-253
    • /
    • 2020
  • DNA 함량 조사는 진화의 유전적 기작을 예측하여 종분화를 파악하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DNA 함량을 측정하고 유세포분석기(flowcytometry)로 고정(fixation) 없이 DNA 함량 측정에 최적인 조직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DNA 함량 (pg nucleus-1)에 있어, 원생생물에 오염된 아가미조직(2.5±0.08)은 3.2±0.02 pg nucleus-1의 DNA 함량을 보인 근육조직과 외투막조직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고(p<0.05) standard reference보다도 낮은 반면, 근육조직과 외투막조직은 standard reference보다 높았다. 본 연구 결과들을 고려 시, 참전복에서 고정 없이 유동세포분석에 적절한 조직은 근육과 외투막이며 본 연구에 적용된 고정 과정이 없는 유세포분석법은 참전복 DNA 함량 분석 시 정확하고, 신속한 방법임이 판명되었다.

Chlamydomonas의 Polyamine 함량변화와 엽록체 DNA Methylation (Changes in Polyamine Level and Chloroplast DNA Methylation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 이순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01-109
    • /
    • 1994
  • Chlamydomonas reinhardtii 배우체 유도기 동안에 polyamine 생합성 억제제인 MGBG[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 SAMDC 억제제] 1mM 처리구와 정상 대조구에서의 polyamine 함량 변화와 Chlamydomonas의 ct-DNA methylation과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137C(+)와 137C(-)의 정상 대조구에서 polyamine 수준은 배우체 유도기 전반에 걸쳐서 감소추세로 나타났으나, 특히 137C(+)가 137C(-)보다 polyamine 함량이 많았으며 동시에 감소량도 컸다. 1mM MGBG 처리구에서는 137C(+)의 spermidine 함량이 정상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In vitro에서 ctDNA methylation에 대한 MGBG의 영향은 정상 대조구에서보다도 1mM MGBG 처리구에서 약 20-30%의 ctDNA methylation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MGBG는 in vitro에서 DNA methylase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나타내어TEk.

  • PDF

구리 결합 펩타이드의 발현에 의한 대장균 균체의 구리 함량 증가 (Copper Content Increase in E. coli Expressing Copper-Binding Peptide Genes)

  • 김형기;문성현;김우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7-11
    • /
    • 2003
  • 감자 polyphenol oxidase의 구리결합지역 DNA와 histidine 다량 함유 인공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DNA를 대장균 벡터에 각각 클로닝하여 발현시킨 후 대장균 내의 구리함량 증감을 조사하였다. Polyphenol oxidase의 구리결합지역 DNA를 포함하는 PPOCBpET32 벡터를 함유하는 균주의 경우는 벡터를 함유하지 않는 대장균 대조구보다 오히려 구리 함량이 약간 감소하여 약 600ppm의 간을 보여주어, 감자 polyphenol oxidase 구리결합지역의 대장균 내에서의 발현이 구리 함량 증가에 기여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한 개의 hexahistidine 단위 DNA를 포함하는 pET28a 벡터 함유 대장균 균주를 knamycin 미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는 구리 함량이 약 2,500ppm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hexahistidine 9개로 구성된 polyhistidine을 암호화하는 DNA를 포함하는 pET-his 벡터 함유 균주를 kanamycin 미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 구리함량이 약 3,200ppm으로 나타나, 하나의 hexahistidine 단위만 발현하는 균주와 비교하여 구리함량이 약 30%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소의 초기 배 발생단계별 Telomeric DNA 함량 및 Telomerase Activity 분석 (Telomeric Dynamics and Telomerase Activity in Early Bovine Embryos)

  • 정예화;이수희;조상래;공일근;조재동;손시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2호
    • /
    • pp.101-109
    • /
    • 2009
  • 목 적: 소 수정란의 telomeric DNA 함량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telomerase activity)를 분석하여 초기 배아형성과정에서 텔로미어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소의 초기 배 발생단계별 체외수정란을 대상으로 양적형광보인법 (Q-FISH)을 이용한 telomeric DNA의 함량 분석과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로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소의 초기 수정란의 telomeric DNA 함유율은 발생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인 양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배반포배의 질 (quality)에 따른 텔로미어의 함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소 수정란의 8 세포기, 상실배기 및 배반포기의 모든 초기 배 단계에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보였으며, 상실배에서 증가하여 배반포배에서 가장 강한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결 론: 소의 초기 배아형성과정이 진행되면서 텔로미어의 함량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이들 간에는 정 (positive)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Telomeric DNA 함량의 증가를 유지하기 위하여 텔로머레이스의 활성화는 필수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배반포기 배아에서 높은 텔로미어 함량과 강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이 시기가 배발생 및 분화과정 중 가장 세포적 활성도가 높은 시점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해산 패류 15종의 DNA 함량 (Nuclear DNA content determinations in 15 seawater shellfish species in Korea)

  • 박인석;최희정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343-34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15종 패류의 핵DNA 함량을 조사하였다. 복족류에서 DNA 함량(pg DNA nucleus-1 )은 3.3±0.08 (Haliotis discus hannai)과 2.4±0.18 (Batillus cornutus)이었다. 이매패류에서 DNA 함량(pg DNA nucleus-1)은 2.0±0.15 (Scapharca broughtonii), 3.0±0.12 (Mytilus galloprovincialis), 2.9±0.05 (Meretrix lusoria), 2.2±0.03 (M. lamarkii), 2.6±0.05 (Fulvia mutica), 1.8±0.18 (Tegillarca granosa), 3.3±0.01 (Solen corneus), 2.2±0.04 (Barnea manilensis), 2.5±0.32 (Crassostrea gigas), 3.9±0.24 (Atrina pectinate), 3.5±0.15 (Patinopecten yessoensis), 1.9±0.16 (Amygdala philippinarum) 및 2.3±0.14 (Pseudocardium sachalinensis)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본 연구에 사용된 패류의 genomic 진화과정을 더욱 잘 이해하는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total DNA 및 단백질 함량변화에 의한 C. polykrikoides 조기적조 예측 응용 (Application of DNA Content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to Predict Blooms Caused by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in Korean Coastal Waters)

  • Cho, Eun-Seob;Park, Yong-Kyu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55-262
    • /
    • 2004
  • 본 연구는 남해안에서 발생되는 유해성 C. polykrikoides 조기적조를 예측하기 위한 기법으로 DAPI로 염색시킨 DNA와 단백질 함량변화를 단기간으로 조사했다. 조사기간 중의 환경요인, 영양염 (질산, 아질산, 인산염) 농도는 조사지점이나 시기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하게 보였다. 그러나 C. polykrikoides 밀도는 조사지점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2000년 8월 초순의 경우 C2, C5, C6에서 리터 당34, 62, 57세포를 각각 출현했으며, 8월 중순에는 C3에서 최고 547 세포가 보였다. C. polykrikoides 출현밀도와 DNA 및 단백질 함량과는 양성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C. polykrikoides 세포밀도가 아주 낮을 경우에 높은 상관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DNA 및 단백질 함량변화 기법은 C. polykrikoides 조기적조를 쉽게 예측 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도 이용될 수 있다.

혈액세포의 텔로미어 함량을 이용한 소의 연령예측 (Cattle Age Prediction by Leukocytes Telomere Quantification)

  • 최나은;김현섭;최창용;전광주;손시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367-374
    • /
    • 2010
  • 텔로미어란 진핵세포의 염색체 양 말단에 있는 DNA-단백질 복합체로서, 특정단백질과 TTAGGG의 반복염기서열로 구성되어있다. 이들의 기능은 핵 내 염색체의 안정성에 본질적으로 작용함으로 세포의 노화와 직접적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의 간기상태의 백혈구 세포를 대상으로 연령별, 품종별, 성별간 telomeric DNA 함량을 분석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텔로미어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한, 텔로미어 함량을 이용한 개체의 연령예측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의 텔로미어의 함량 분석은 1개월령에서 166개월령의 한우 및 홀스타인종 460두를 대상으로 telomeric DNA probe를 이용한 Q-FISH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에 있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telomeric DNA 함유율이 일관되게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소의 품종간 telomeric DNA 함유율을 비교한 결과 한우의 telomeric DNA 함량이 홀스타인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간에도 수컷이 암컷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telomeric DNA 함유율을 나타내어 품종별, 성별 모두 텔로미어 함유율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확인 할 수 있었다(P<0.01). 따라서 요인별 유의적 차이가 있음으로 한우 암컷 및 홀스타인 암컷에 대한 각기 연령예측 회귀함수를 추정하였다. Telomeric DNA 함량을 독립변수(X)로 하고, 연(월)령을 종속변수(Y)로 설정하여 2차회귀식을 도출한 바 한우 암컷의 경우 $\hat{Y}$=$38.102X^2$-220.103X+318.309(P<0.0001, $R^2$=0.8019)이고, 홀스타인 암컷은 $\hat{Y}$=$42.799X^2$-199.682X+242.106(P<0.0001, $R^2$=0.8379)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두 회귀식 모두 유의한 함수로 결정계수($R^2$) 또한 0.8 이상의 높은 상관 값을 보임에 따라 본 회귀식으로 소의 연령 예측이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누에의 RAPD 분석을 위한 primer의 GC 함량과 사전 제한효소 처리한 주형 DNA의 PCR 증폭효율에 관한 연구 (Studied on Amplificative Efficiency of PCR of Predigested template DNA and GC Contents for RAPD Analysi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이진성;황재삼;이상몽;황석조;강현아;성승현;서동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8-65
    • /
    • 1996
  • RAPD-PCR(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Polymerase Chain Reation) 기법에 누에의 유전적 변이 분석을 위한 첫 단계로 다양한 GC함량을 갖는 random primer에 의해서 증폭되는 DNA 단편의 양상 및 증폭도를 비교하였다. RAPD-PCR을 위한 random primer의 증폭도는 GC함량에 의해서 상당히 영향을 받음이 분석되었다. 특히, 50% GC 함량을 갖는 primer는 그 증폭도에 따라서 4가지의 그룹으로 DNA단편이 증폭되었으며 〔bad amplification (75.5%), poor amplification (11.1%), good and excellent amplification(11.1%)〕, primer의 GC 함량이 증가할수록, 휠씬 더 좋은 증폭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40% GC 함량을 갖는 primer에 의해서는 어떤 증폭산물도 관찰되지 않았다. PCR을 수행하기 전에 6가지의 제한효소(BamHI, HindIII, Xbal, HaeIII, MspI, Rsal)를 사용하여 누에 genomic DNA를 처리하여 이를 주형 DNA로 하여 RAPD-PCR을 수행한 결과, 유전적 마커의 생산에 대한 효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60%이상의 GC함량을 갖는 random primer와 전처리한 주형 DNA의 사용은 여러 가지 다른 누에 계통의 동정 및 연관군 지도작성에 따른 경비 및 시간을 줄이는데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

젖소의 난소 황체에 있어서 중심강의 유무에 따른 Protein, DNA, RNA 함량의 비교 (Comparison of Protein DNA, and RNA Contents in Corpus Luteum without and with Central Cavity in Dairy Cow)

  • 백광수;;;김태일;김현섭;이현준;전병순;안병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3-78
    • /
    • 2002
  • 젖소 난소 황체에 있어서 중심강의 유무에 따른 황체 조직 중의 total protein, DNA 및 RNA 함량을 조사하여 중심강이 있는 황체와 중심강이 없는 황체간의 기능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한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중심강이 없는 황체의 total, supernatant 및 Pellt protein의 함량은 각각 32.83, 16.87 및 15.96 mg/g wet tissue이었고, 중심강이 있는 황체의 그것들은 각각 29.62, 16.10 및 13.52 mg/g wet tissue으로서 중심강이 없는 황체와 중심강이 있는 황체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2. DNA 함량은 중심강이 없는 황체가 1.99mg/g wet tissue이었고 중심 강이 있는 황체가 1.32mg/g wet tissue으로 중심강이 없는 황체와 있는 황체간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Protein : DNA ratios에 있어서도 중심강이 없는 황체가 16.63mg/g wet tissue이었고 중심강이 있는 황체가 22.99mg/g wet tissue으로 중심강이 없는 황체와 중심강이 있는 황체간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3. 중심강이 없는 황체의 RNA함량, Protein: RNA 및 RNA:DNA ratios는 각각 2.87, 12.24및 1.43mg/g wet tissue이었고, 중심강이 있는 황체의 그것들은 각각 2.47, 13.73 및 1.89mg/g wet tissue으로서 중심강이 없는 황체와 중심강이 있는 황체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