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PA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19초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 접착제의 합성 및 물성 연구 (Synthesis and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 Acrylate Adhesive)

  • 이승환;천정미;정부영;김한도;천제환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4호
    • /
    • pp.156-1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접착력 및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olyester polyol,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_{12}MDI$),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 acrylate monomer를 사용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또한 합성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물성은 FT-IR, 입도분석, UTM, 접착력 등을 평가하였다. 입도 분석에서 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기계적 물성을 평가한 결과, 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증가하였고 신율은 감소하였다. 접착강도는 PU/acryl 비율 중 acryl의 함량이 증가, 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아크릴산의 함량이 0.5 wt%일 때 가장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TMG)/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올의 혼합비가 수분산계 폴리우레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Properties on Waterborne Polyurethane with Poly(tetramethylene glycol) (PTMG) and Polycaprolactone (PCL) Contents)

  • 양윤규;곽노석;황택성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81-8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TMG),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isophron diisocyanate(IPDI)와 dimethylol propionic acid(DMPA)를 이용하여 물에 분산이 가능한 수분산계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였다. 또한, 사슬연장제의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입도분석과 기계적 물성 등을 시험하였다. 유화된 폴리우레탄의 입경은 50~200 nm이었으며, PCL과 사슬연장제의 함량이 많을수록 작아졌으며, $T_g$는 -70~-45 ${\circ}C$ 범위이고 사슬연장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T_g$는 다소 상승하였다. PTMG와 PCL을 혼합하여 합성한 폴리우레탄의 $T_g$는 이들을 각각 사용하여 합성한 $T_g$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인장강도는 PCL과 사슬연장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신율은 낮아졌다. 폴리올을 혼합하였을 경우에는 단독으로 합성한 것보다 전반적으로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노 클레이를 사용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borne Polyurethane Using Nanoclay)

  • 천정미;정부영;유종선;박덕제;배재규;천제환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4호
    • /
    • pp.1-7
    • /
    • 2007
  • 친환경적인 수분산 폴리우레탄은 코팅, 접착제 등의 분야에서 급속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수분산 폴리우레탄은 용제형 폴리우레탄에 비해 내화학성, 내열성, 기계적 물성 등이 떨어져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ester polyol,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_{12}MDI$), dimethylolpropionic acid (DMPA), ethylenediamine (EDA) 및 유기화된 나노클레이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클레이 나노복합체의 열적,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 물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클레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착강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3 wt% 함량일 때 최적의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 PDF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에 적용되는 선처리제용 친환경 수분산 폴리우레탄-우레아의 제조 및 성질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Eco-friendly Waterborne Polyurethane-urea Primer for Thermoplastic Polypropylene Applied to Automobile Interiors)

  • 신종섭;박진명;이영희;김한도
    • 청정기술
    • /
    • 제20권3호
    • /
    • pp.232-240
    • /
    • 2014
  •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은 자동차 내장재(도어 트림 및 대쉬 보드 등)에 아주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특정조건에서 유해물질을 배출하므로 규제가 되는 소재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이 자동차 내장재 부분에서 PVC를 대체할 수 있는 중요한 재료로 부각되고 있다. PP(비정영역:0.855, 결정영역:$0.946g/cm^3$)의 또 다른 장점은 PVC($1.1{\sim}1.45g/cm^3$)에 비해 밀도가 낮으므로 자동차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모든 부품은 표면보호와 미관상 코팅이 반드시 필요하며, 그들을 조립하는데 접착제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주로 사용해 온 용제-베이스의 접착제/코팅제의 경우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의 발생과 열악한 작업 환경으로 환경친화적인 수성 접착제/코팅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 고분자 PP에 적용되는 환경친화적인 다양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우레아 선처리제(primer: 마감도료가 기질에 보다 잘 접착될 수 있도록 선처리하는 도료)를 이온성분 dimethyl propionic acid (DMPA) 함량별, 다양한 NCO/OH 몰비, 변성 실리콘 디올의 다양한 함량 및 소프트세그먼트 함량 등의 여러 배합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료 중 DMPA 함량 21 mol%, 소프트세그먼트 함량 73%, 변성 실리곤 디올 5 wt% 및 NCO/OH 몰비 1.2를 사용한 시료가 기질 PP 시트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였으며, 첨가제는 분산제 0.5 wt%, 레벨링제 0.5 wt%, 소포제 1.5 wt% 및 소광제 3.0 wt%가 가장 적합한 첨가 함량임을 알 수 있었다.

Synthesis and Adhesion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 Adhesives for Footwear according to Polyol Blending

  • Choi, Min Ji;Jeong, Boo Young;Cheon, Jung Mi;Chun, Jae Hwa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2권1호
    • /
    • pp.81-85
    • /
    • 2017
  •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resistance, we synthesized waterborne polyurethane by using polyester polyol, poly(propylene carbonate) (PPC),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_{12}MDI$), and dimethylolpropionic acid (DMPA). The properties of the synthesized waterborne polyurethane using poly(propylene carbonate) (WPUP) were evaluated by FT-IR, $^1H-NMR$, GPC, DSC, TGA, and UTM. The mechanical properties increased while the adhesion propertie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PPC. The highest water resistance was shown when the ratio of polyester polyol to PPC was 9:1.

인 변성 폴리우레탄 에멀젼의 합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Polyurethane Emulsion Modified with Phosphorus Compounds)

  • 우종표;조선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5-282
    • /
    • 2003
  •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 was synthesized using phosphorus compound which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for the replacement of halogenated flame retardants. In this study, polyols which have phosphorus moity in their structural unit were synthesized by two-step polycondensation reaction using dimethyl phenylphosphonate, ethylene glycols. adipic acid, and 1,4-butanediol. In the next step, polyurethane dispersion was prepared using these polyols, isophorone diisocyanate with dimethyl propionic acid. The particle size of polyurethane latex was reduced from 347 nm to 240 nm with increasing DMPA content. It was observed that the LOI values of prepared coatings increased from 27% to 35% with increasing phosphorus content.

형상기억 거동의 동적 기계적 해석 (Dynamic Mechanical Interpretations of Shape Memory Behavior)

  • 이상엽
    • 유변학
    • /
    • 제9권1호
    • /
    • pp.33-39
    • /
    • 1997
  • PCL, MDI, BD 및 DMPA를 이용, 폴리우레탄(PU)을 ionomer 및 nonionomergudxo 로 제조하였으며 이때 연질성분의 함량(SSC) 및 길이가 PU의 기계적, 동적기계적 특성은 물론 형상기억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Ionomer는 nonionomer에 비하여 경도, 탄 성율 및 강도가 모두 우수하였으며 그 효과는 실온에서 경질성분의 함량(HSC)이 높은 PU 일수록 보다 뚜렷하였는데 이는 HSC가 증가할수록 ion 중심의 농도가 증가하며 ion 중심간 의 Coulob 력이 고온보다 실온에서 보다 큰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반복인장하중실 험에서 ionomer는 nonionomer에 비해 회복변형이 크고 잔류변형이 작았는데 이는 ionomer 의 고무탄성율이 보다 큰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나아가 재료의 형상기억거동은 기 본적으로 탄성율의 온도의존성에 크게 의존함을 알수있었다.

  • PDF

One-Pack Cross-linkable Waterborne Methyl Ethyl Ketoxime-Blocked Polyurethane/Clay Nanocomposite Dispersions

  • Subramani Sankaraiah;Lee Jung Min;Kim Jung Uyun;Cheong In W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5호
    • /
    • pp.418-426
    • /
    • 2005
  • One-pack cross-linkable nanocomposites of waterborne methyl ethyl ketoxime (MEKO)-blocked aromatic polyurethane dispersion (BPUD) reinforced with organoclay (quaternary ammonium salt of Cloisite 25A) were synthesized by the acetone process using 4,4'-methylenedi-p-phenyl diisocyanate (MDl), poly(tetramethylene) glycol (PTMG),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 and methyl ethyl ketoxime (MEKO). Particle size, viscosity, and storage stability of these nanocomposites were investigated. TEM and XRD studies confirmed that the silicate layers of organophilic clay were exfoliated and intercalated at a nanometer-scale in the BPUD matrix.

Effect of NCO Index on the Particle Size of Polycarbonate Diol-based Polyurethane Dispersion

  • Kim, Dong-Eun;Kang, Seung-Oh;Lee, Sang-Ho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5권1호
    • /
    • pp.20-25
    • /
    • 2020
  • The effect of the isocyanate index (NCO index) on the particle size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a 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WPUD) with polycarbonate-diol was determined. The WPUDs were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acetone process with polycarbonate-polyol (Mn = 2028), 4,4'-methylenebis(cyclohexyl isocyanate) (H12MDI), 2,2-bis(hydroxymethyl) propionic acid (DMPA), and dibutyltin dilaurate catalyst. At NCO index values below 1.5, 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WPUD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NCO index, whereas the particle diameter slightly varied at higher NCO indexes. The dependency of the WPUD viscosity on the NCO index exhibited similar behavior to that of the particle size. The relative values of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the WPUD particle distribution curves at various NCO indexes were not influenced by the NCO index.

Cyanine 색소 및 그 전하이동착체의 광전효과 (Photoelectric Effects of Cyanine Dye and Charge Transfer Complex)

  • 권태선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9
    • /
    • 1993
  • As inverstigating the influence of monomers and photoinitiator in the polymerization rate of photopolymerization by using IR spectroscopy, photopolymerizations initiated by ultraviolet radiation a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an autoacceleration in the polymerization rate as the reaction proceeds. The conversion for the end of the autoacceleration varies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monomer and reaction condition which determines coil size and viscosity. In UV curable systems, the autoacceleration begins at only a few percent conversion and continues to 40% in HEA solution and 60% conversion in EHA solution. The polymerization ate in HEA solution increased as follow; DMHA > HCPK > DMPA and could be explain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itiating radical and HEA monomer and the size of the photodissociated radical of initiator. But the tendency of autoacceleration in EHA solution is almost independent on initia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