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F

검색결과 596건 처리시간 0.027초

이온성 액체/DMF 혼합용매 전처리 후 기계적 해섬을 통한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제조 (Preparation of Lignocellulose Nanofiber by Mechanical Defibrillation After Pretreatment Using Cosolvent of Ionic Liquid and DMF)

  • 한송이;박찬우;이승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68-277
    • /
    • 2017
  • 본 연구는 리그노셀룰로오스의 주성분 용해에 우수하다고 알려진 이온성 액체인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 ([EMIM]Ac)와 셀룰로오스와 친화성이 있는 유기용매인 dimethylformamide (DMF)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갯버들 목분을 처리한 후, 디스크밀 해섬에 의한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무처리샘플과 DMF 및 [EMIM]Ac가 10과 30% 포함된 혼합용매로 목분의 고형분량을 15%로 선정하였다. 전처리물의 X선 회절도로부터 모든 샘플이 셀룰로오스 I의 패턴을 나타냈으며, 상대결정화도는 [EMIM]Ac가 30% 포함된 혼합용매로 2시간 처리한 전처리물이 가장 낮았다. 무처리 및 DMF와 [EMIM]Ac가 10% 포함된 혼합용매로 처리한 전처리물의 평균결정크기는 약 3.2 nm였으며, [EMIM]Ac가 30%까지 포함되고 처리 시간이 경과할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용매의 사용을 통한 전처리물의 목재세포벽 구조의 완화로 해섬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전처리 시간 및 해섬 시간이 경과할수록 비표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북제주군 일부 초등학교 학동들의 구강보건교육에 관련된 인식도 및 영구치 우식경험도 비교 평가 (Oral health education on recognition and their prevalence of dental caries comparative analysis of some primary school pupils' in Buckjeju-gun)

  • 김연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9
    • /
    • 2002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continuous dental sanitary education for primary school pupils for five years from 1997 through 2001, based on data obtained from a 97' survey on primary school pupils' recognition on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their permanent dental health capacity.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obtained during the survey period. Approx 70.77% of the examinees have experienced decay missing feeling (DMF) in the year 2001, suggesting a good effectivenes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compared with 92.1 % of DMF rate in 1997. It has been found that pupils'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dental hygiene and management, etc were improved, as well as their eating habits and consciousness were changed. Comparative analysis of annual DMF showed that DMF rate, DMFT index, and DT rate were found to decrease every year, suggesting a improved dental health capacity. Grade level analysis revealed that DMFT index and DT rate were found to decrease every year during the survey period, suggesting pupils' dental management and consciousness were improved and changed. It has been found that DMF rate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higher grade in 2001 than 1997. There was no difference in DMF rate between grades of primary school in 1997. However, in the year 2001 increment of approx 10% of DMF rate were observed in a higher grade.

  • PDF

매트릭스에 의해 희석된 ACETONITRILE과 DMF 분자클라스터의 80K에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분석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a of Molecular Clusters of Acetonitrile and DMF Diluted by Matrices at 80K)

  • 김완희;정종학;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5권3호
    • /
    • pp.285-294
    • /
    • 1992
  • 80K에서 사염화탄소 또는 크세논 매트릭스에 의해 희석된 상태에서 $CH_3CN$과 DMF 분자의 이합체의 구조를 적외선 흡수 분광법으로 연구하였다. 시료와 매트릭스 물질을 저온의 KBr트랩창에 함께 퇴적시키고, 순수한 시료와 매트릭스에 희석된 시료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이합체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CH_3CN$의 이합체는 반평행 모양을 그리고 DMF 이합체는 마주보는 선형을 나타내었다. 매트릭스에 희석된 시료에 온도를 상승시키면 순수한 시료와 같은 모양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보여 주었다.

  • PDF

제주흑우 동결정액 제조 시 Amide 계열의 동결보호제가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des as a Cryoprotectant on Quality of Frozen-thawed Sperm in Korean Jeju Black Bull)

  • 오신애;최선호;고민희;강태영;조상래;고문석;오영미;조원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95-101
    • /
    • 2012
  • 본 연구는 희소 한우인 제주흑우의 정액 동결을 위하여 동결보호제로서 glycerol과 amide 계열의 동결보호제인 5%의 DMA, DMF 그리고 7%의 MF를 이용하여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및 정자의 첨체 양상의 변화 조사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제주흑우의 정액을 동결 한 결과 glycerol과 DMF를 사용하였을 때 운동성은 $64.00{\pm}9.62$$59.00{\pm}5.48$로 DMA와 MF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생존율 역시 glycero과 DMF 처리구에서 $58.25{\pm}6.63$$53.05{\pm}3.77$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glycerol과 DMF 처리구 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막 온전성 검사(HOST)에 있어서도 역시 glycerol과 DMF 처리에서 정자 미부의 팽창 비율 역시 $45.12{\pm}25.08$$44.95{\pm}8.58$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정자의 첨체막 양상 변화에 있어 F pattern의 비율이 MF 처리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B pattern의 비율은 DMA, DMF 및 MF의 사용시 glycerol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AR pattern의 비율에 있어서는 DMF를 제외한 amide의 사용은 F pattern의 감소와 조기 첨체반응에 의한 유의적인 AR pattern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p<0.0.5). 그러나 DMF의 사용은 glycerol 보다 AR pattern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동결 융해 후 시간에 따른 정자의 생존율과 정자미부 팽창 비율에 있어서 융해 초기에는 glycerol에서 DMF 보다 높은 생존율과 정자 미부 팽창율을 나타냈으나, 1시간 이후부터는 DMF에서 glycerol 보다 높은 생존율과 정자 미부 팽창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희소 가축의 생식세포 보존 및 유전자원 확립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제주흑우 및 희소 가축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동결 정액 제조 연구에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평가된다.

이중질량플라이휠의 개발 (Development of Dual Mass Flywheel)

  • 지태한;정재훈;송영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67-1072
    • /
    • 2003
  • Generally dual mass flywheel(DMF) is used as a solution to reduce noise and vibration of power train system and to improve the comfortability of passenger car. In this paper, design concept of new DMF model, analytical/numerical model, test procedure and tuning results are presented. Design parameters are studied by some numerical methods and tests. As the result, we can find more efficient model of DMF and reduce vibration level in power train system.

  • PDF

초기 흡착량, 온도, pH가 활성탄 피흡착물인 페놀의 유기용매 탈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Initial Adsorbed Amount, Temperature, and pH on the Desorption of Phenol from Activated Carbon by Organic Solvents)

  • 김승도;오영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985-1994
    • /
    • 2000
  • 본 연구는 페놀의 초기 홉착량, 온도, pH가 유기용매에 의한 페놀 탈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methanol, acetone, N,N-dimethylformamide(DMF)를 유기용매로 사용하였다. 초기 흡착량은 166.1mg/g, 180.7mg/g, 197.9mg/g의 세 경우, 온도는 $15{\sim}55^{\circ}C$까지 $10^{\circ}C$ 간격으로 다섯 온도 조건, pH는 산성, 중성, 염기성에서의 페놀 탈착율 변화를 살펴보았다. 페놀의 탈착은 용매의 극성 모멘트와 비례하여 methanol < acetone < DMF 순으로 나타났으며, acetone과 DMF의 경우에는 탈착율이 약 90% 정도로 유사하였다. 초기 흡착량이 증가할수록 용매에 의한 페놀 탈착율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으며, DMF에 의한 탈착율 감소 정도가 가장 완만한 것으로 미루어 초기 흡착량이 DMF 탈착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페놀 탈착도 증가하였으며, methanol의 증가폭이 가장 큰 것으로 미루어 methanol에 의한 페놀 탈착반응이 온도에 가장 민감함을 알 수 있다. 용매 pH가 높아질수록 페놀 탈착율도 증가하였으며, 특히 methanol의 경우는 pH 12에서 페놀의 탈착율이 10% 이상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이는 methanol의 탈착 능력이 pH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세 용매 중에서 methanol의 페놀 탈착율이 가장 떨어졌으나, 온도와 pH를 조절하게 된다면 acetone, DMF와 유사한 탈착율을 보였으며, methanol이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적정한 탈착 조건을 선정 적용한다면 경쟁력있는 재생 용매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흡착-열탈착-GC/MS를 이용한 환경대기 중 N,N-Dimethylformamide 농도 측정 (Determination of N,N-Dimethylformamide in Ambient Air Using Adsorption Sampling and Thermal Desorption with GC/MS Analysis)

  • 서영교;황윤정;이순진;이민도;한진석;백성옥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7-36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N,N-Dimethylformamide (DMF) and to apply the method to the ambient air samples. For the determination of DMF together with other general VOCs (e.g., benzene, toluene, and xylenes), adsorption sampling and thermal desorption with GC/MS was used in this study. The sampling and analytical approaches tested in this study showed a good repeatability and linearity with lower detection limits of less than 0.35 ppb. Field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at three industrial sites (Daegu-Seongseo, Siwha and Banwall industrial complexes) and one residential site in Daegu city during a period from October 2006 to November 2008. DMF was detected in 71.8% of the total samples from the Seongseo industrial complex, well known for textile industry. In contrast, DMF was detected in only 20.4% and 12.9% of all the samples from the other two sites in Banwall and Siwha industrial complexes, respectively. This implies that sources of DMF should be strongly associated with textile industry. The mean concentration of DMF also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Seongseo site (5.95 ppb), followed by a residential site in Daegu (3.28 ppb), Banwall (0.88 ppb) and Siwha (0.55 ppb).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DMF in urban ambient air. To our knowledge, the DMF measurement introduced in this paper is the first case of an official report in Korea.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PVA Gel의 상전이에 관한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Phase Demixing of PVA Gel)

  • 홍성구;손정인;이인종;김수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17-128
    • /
    • 2001
  • DMF는 특별히 PVA에 대해 수소결합 등의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용매가 아니다. 오히려 UCST계로서 온도가 낮아질수록 상분리나 phase demixing을 일으킨다. PVA/DMF의 겔화는 x-ray 회절이나 열분석을 통해 crystallization-induced gelation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겔화 온도가 낮을수록 결정화는 빠르게 진행되었다. 소량의 PEG는 PVA/DMF 겔 형성을 도왔으며 urea는 겔 형성을 방해하였다. 전자현미경은 이 겔화 과정을 잘 보여 주었다. 갓 만들어진 젤은 표면에 깊은 주름이 있으며 아직 상분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의 상태로서 아주 미세한 DMF가 차지하는 공간인 구멍들이 사진에 포착되지 않는다. Aging시간이 길어지면서 상분리가 시작되면 표면의 분화구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이 분화구는 원래 용매상이 차지하고 있던 공간으로서 phase demixing에 의해 PVA chain들은 분화구 주변으로 분리된다. 상분리과정에서 PVA chain들은 서로 당겨져서 표면적이 줄어듬과 동시에 분화구 크기도 커진다. Aging에 따른 x-ray결과와 열적 성질은 이 모든 과정을 뒷받침한다.

  • PDF

Paddle-wheel유형의 2차 쌓음 단위 $Zn_2(CO_2R)_4$에 기초한 2차원 아연 배위 고분자: [Zn(ATP)(DMF)] $(ATP=2-aminoterephthalate,\;H_2N-C_6H_3-1,4-(COO)_2;\;DMF\;=\;N,\;N-dimethylformamide)$ (Two-dimensional Zinc Coordination Polymer Based Paddle-Wheel Type Secondary Building Units of $Zn_2(CO_2R)_4$: [Zn(ATP)(DMF)] $(ATP=2-aminoterephthalate,\;H_2N-C_6H_3-1,4-(COO)_2;\;DMF\;=\;N,\;N-dimethylformamide)$)

  • 민동원;이희근;이순원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8-82
    • /
    • 2004
  • 벤젠 존재 하에서, DMF와 에탄올의 혼합 용매에서 zinc(II) nitrate $(Zn(NO_3)_2\;{\cdot}\;6H_2O)$$ATP(2-aminoterephthalate,\;H_2N-C_6H_3-1,4-(COO)_2)$의 용매열 반응으로 2차원 배위 고분자 [Zn(ATP) (DMF)] (1)이 얻어졌다 X-ray구조 결정 결과, 2개의 아연 금속과 4개의 ATP 리간드가 paddle-wheel유형의 2차 쌓음 단위들을 형성하고, 이것들은 ATP 리간드에 의해서 연결되어 2차원 4각 망을 이룬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연 금속을 기준으로 각 4각형의 크기는 약$11.1\times11.1\;{\AA}$효이다. 고분자 1을 양질의 결정 상태로 얻기 위해서는 벤젠이 요구되었다.

섬유코팅업종사 근로자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폭로에 의한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Biological Monitoring of Workers Exposed to N,N-Dimethylformamide in Textile Coating Factories)

  • 정인성;김종환;최상국;배종연;이미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2호
    • /
    • pp.171-176
    • /
    • 2006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factors influencing biological monitoring of textile coating factory workers exposed to N,N-dimethylformamide(DMF). Methods : We studied 35 workers who were occupationally exposed to DMF from 9 textile coating factorie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wo phases; summer and winter. While air concentration of DMF,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assessed in order to monitor the atmospheric conditions, biological monitoring was done to determine the internal dose by analyzing the N-methylformamide(NMF) collected from urine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hift. Questionnaires and medical surveillance were also obtained during the two phases. Results : Median air concentrations of DMF in winter and summer were 1.85 ppm and 2.78 ppm respectively. Al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urinary NMF concentration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hift $({\Delta}NMF)$ was always significant in each season (P < 0.001). The correlations between log DMF in air, log end-of-shift urinary NMF (r=0.555, P < 0.001) and log ${\Delta}NMF$ (r = 0.444, P < 0.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mmer. The temperature, humidity, a shift system and different styles of clothing wor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the two phases. In a multivariate analysis, temperature and the concentration of DMF in the air wer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biological monitoring of textile coating factory workers. Conclusions : Concerning more comprehensive prevention measures to reduce exposure for those workers occupationally exposed to DMF, dermal exposure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together with the air concentration of DMF should be assessed and biological monitoring is necessary to reduce adverse health effects, especially during the su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