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P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9초

Accuracy of maxillofacial prototypes fabricated by different 3-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ies using multi-slice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Yousefi, Faezeh;Shokri, Abbas;Farhadian, Maryam;Vafaei, Fariborz;Forutan, Fereshte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1권1호
    • /
    • pp.41-4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ccuracy of 3-dimensional(3D) printed models derived from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ystems with different fields of view (FOVs). Materials and Methods: Five human dry mandibles were used to assess the accuracy of reconstructions of anatomical landmarks, bone defects, and intra-socket dimensions by 3D printers. The measurements were made on dry mandibles using a digital caliper (gold standard). The mandibles then underwent MDCT imaging. In addition, CBCT images were obtained using Cranex 3D and NewTom 3G scanners with 2 different FOVs. The images were transferred to two 3D printers, and the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and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techniques were used to fabricate the 3D models, respectively. The same measurements were also made on the fabricated prototypes. The values measured on the 3D models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values, and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the paired t-test. Results: The landmarks measured on prototypes fabricated using the FDM and DLP techniques based on all 4 imaging systems showed differences from the gold standar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he FDM and DLP techniques. Conclusion: The 3D printers were reliable systems for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In this study, scanners with smaller voxels had the highest precision, and the DLP printer showed higher accuracy in reconstructing the maxillofacial landmarks. It seemed that 3D reconstructions of the anterior region were overestimated, while the reconstructions of intra-socket dimensions and implant holes were slightly underestimated.

지역병원에서의 전산화단층촬영 검사에 대한 DRL 평가 (Assessment of DRL for Computed Tomography in Local Hospital)

  • 최석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19-625
    • /
    • 2022
  • 영상의학 분야에서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검사는 가장 보편화된 검사 방법 중의 하나이고 병원에서 이용 빈도가 매우 높은 검사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검사 방법에 비해 매우 높은 방사선 피폭을 동반한다. 피폭 저감화를 위해서 CT 검사가 꼭 필요한 경우만 검사를 시행하는 방법과 꼭 필요해서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에도 검사의 목적에 부합하고 적은 선량으로 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대표적 종합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장 최신의 방사선량 사용정보를 알아보고 진단기준수준(Dignostic Reference Level, DRL)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두부 CT, 복부 CT검사에서 DLP는 NRPB(U.K) 와 Korea DRL보다 높게 나타났다. 흉부 CT의 사용 DLP 값은 CT장치 3종 모두 낮게 나타났다. 해당 병원에서는 CT 검사 시 피폭 저감화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두부 CT, 복부 CT에서 피폭 저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Effect of exposure energy dose on lateral resolution and flexural strength of three-dimensionally printed dental zirconia

  • Kyle Radomski;Yun-Hee Lee;Sang J Lee;Hyung-In Yo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5권5호
    • /
    • pp.248-25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posure energy on the lateral resolution and mechanical strength of dental zirconia manufactured using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MATERIALS AND METHODS. A zirconia suspension and a custom top-down DLP printer were used for in-office manufacturing. The viscosity of the suspension and uniformity of the exposed light intensity were controlled. Based on the exposure energy dose delivered to each layer, the specime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low-energy (LE), medium-energy (ME), and high-energy (HE). For each energy group, a simplified molar cube was used to measure the widths of the outline (Xo and Yo) and isthmus (Xi and Yi), and a bar-shaped specimen of the sintered body was tested. A Kruskal-Wallis test for the lateral resolution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r the mechanical strength were performed (α = .05). RESULTS. The zirconia green bodies of the ME group showed better lateral resolution than those of the LE and HE groups (both P < .001). Regarding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sintered bodies, the ME group had the highest mean value, whereas the LE group had the lowest mean value (both P < .05). The ME group exhibited fewer agglomerates than the LE group, with no distinctive interlayer pores or surface defect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ateral resolution of the green body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sintered body of dental zirconia could be affected by the exposure energy dose during DLP. The exposure energy should be optimized when fabricating DLP-based dental zirconia.

복부CT에서 면적에 따른 CTDI와 유효선량 및 SNR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TDI and the Effective Dose and the SNR according to the Area in the Abdominal CT)

  • 최성준;강준국;김수인;김윤호;이도경;정진경;조아라;장재혁;권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3호
    • /
    • pp.245-252
    • /
    • 2015
  • 복부CT에서 면적을 산출하여 CTDI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 변화에 따른 유효선량 및 SNR (signal to noise ratio)을 비교함으로써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얻는 동시에 환자가 받는 피폭 선량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복부CT 검사 환자 60명을 $400-499cm^2$ (12명), $500-599cm^2$ (21명), $600-699cm^2$ (17명), $700-799cm^2$ (9명) 4그룹으로 나누었다. 복부CT 데이터를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환자의 면적을 산출하였고, CTDI, DLP, SNR 및 유효선량을 계산하였다. 복부면적이 증가할수록 CTDI는 7.3 mGy에서 13 mGy로 증가였고, DLP는 $394.4mGy{\cdot}cm$에서 732로, 유효선량에서도 5.9 mSv가 11mSv로 증가하였다. SNR은 12.7에서 15 dB을 유지하였다. 복부면적에 따른 CTDI의 평균은 8.9 mGy, DLP의 평균은 $481.54mGy{\cdot}cm$, 유효선량은 7.2 mSV로 산출되었다. 복부하중계수에 DLP를 곱하여 산출한 유효선량은 통계적의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p < .05), SNR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5). 복부CT 영상검사에서 영상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의 면적에 따른 CTDI를 고려하여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한다.

PET/CT 검사 시 CT 피폭선량 감소 방법들의 최적화 평가 (Evaluation for Optimization of CT Dose Reduction Methods in PET/CT)

  • 도용호;이홍재;김진의
    • 핵의학기술
    • /
    • 제19권2호
    • /
    • pp.55-62
    • /
    • 2015
  • PET/CT 검사 시 피폭 선량 감소를 위한 방법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parameter 변경이 가능한 3가지 방법인 automatic exposure control(AEC), automated dose-optimized selection of X-ray tube voltage(CAREkV), sinogram affirmed iterative reconstruction(SAFIRE) 적용 시 각 방법의 적용 시와 3가지 방법의 조합에 따른 피폭선량 감소효과와 영상의 질 그리고 SUV 변화 유무를 평가하였다. Bograph mCT64 (Siemens, Germany)장비를 사용하여 anthropomorphic head, chest, pelvis phantom을 torso 모형으로 접합하여 스캔하였다. 120 kV, 40 mAs 조건으로 AEC의 적용 유무와 120 kV, 40 mAs AEC 조건으로 CAREkV의 적용 유무에 따른 피폭 선량 감소 효과를 평가 하였다. 120 kV, 25 mAs SAFIRE 조건에서 영상을 획득하여 120 kV, 40 mAs SAFIRE 미적용 시 대비 노이즈와 피폭선량 감소효과가 평가되었다. 120 kV, 40 mAs AEC 적용, 120 kV, 25 mAs 3가지 방법의 조합 조건으로 AAPM perfomance, anthropomorphic, IEC body phantom을 스캔하여 노이즈, 공간 분해능, 피폭선량 감소효과 그리고 PET SUV의 변화 유무를 평가하였다. AEC 적용 시, 미적용 대비 CTDIvol 50.52%, DLP 50.62% 감소하였다. CAREkV 적용 시 100 kV가 적용됨에 따라 mAs가 61.5% 증가하였으나 CTDI 6.2%, DLP 5.5% 감소하였다. Reference mAs를 낮게 지정할수록, strength값을 높게 지정할수록 피폭선량 감소 효과는 증가하였다. SAFIRE의 경우 40 mAs에서 25 mAs로 tube current를 37.5% 감소시켰음에도 불구하고 mean SD 2.2%, DLP 38% 감소하였다. AAPM phantom에서는 3가지 방법의 조합 시 AEC 대비 SD는 5.17% 감소하였으며 공간 분해능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orso phantom의 경우 3가지 조합에서 AEC 대비 mean SD 6.7% 증가, DLP 36.9% 감소하였으며 IEC phantom 실험에서 PET SUV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논문에서 CT선량 감소를 위한 각 방법들 모두 피폭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3가지 방법의 조합을 통하여 화질 저하와 PET SUV 변화 없이 AEC만 적용 시 대비 36.9%의 선량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량 감소 방법들의 최적화를 통하여 환자 피폭선량 저감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소아 환자에 적극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64 다중 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관전류 자동노출조절 기법을 이용한 두개부 방사선량 감소 정도 평가 (Reducing of Craniofacial Radiation Dose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Technique in the 64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 성열훈;김영옥;최보영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2호
    • /
    • pp.137-144
    • /
    • 2010
  • 64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에서 두개부의 과도한 선량이 문제가 되어 고정관류기법과 관전류 자동노출조절(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기법을 이용하여 선량 감소 정도를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한 장비는 Siemens사의 SOMATOM Definition 64 multi-detector CT를 이용했으며, Whole body phantom (KUPBU-50, Kyoto Kagaku CO. Ltd)의 두개부를 사용했다. 실험 protocol은 helical scan 방식을 적용하여 120 kVp, rotation time은 1 sec, slice thickness와 increment는 각각 5 mm, FOV는 250 mm, matrix size는 $512{\times}512$, collimation은 $64{\times}0.625\;mm$, pitch는 1로 조사하였다. 선량감소효과의 측정방법은 관전류를 350 mAs로 고정한 방법과 AEC 기법을 적용한 방법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영상품질은 CT number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영상의 잡음을 측정하였다. 이 때 두개부(craniofacial bone)는 머리덮개뼈(calvaria) 끝부분에서 눈썹활(superciliary ridge)까지를 1구역, 논썹활 아래부터 코가시점(acanthion)까지를 2구역, 그리고 코가시점 아래부터 턱(mentum)끝까지를 3구역으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고정관류기법에서 구역별로 CTDIvol은 57.7 mGy였으며, DLP는 $640.2\;mGy{\cdot}cm$로 동일하였다. AEC 기법을 적용한 1구역은 CTDIvol: 30.7 mGy, DLP: $340.7\;mGy{\cdot}cm$, 2구역은 CTDIvol: 46.5 mGy, DLP: $515.0\;mGy{\cdot}cm$, 그리고 3구역은 CTDIvol: 30.3 mGy, DLP: $337.0\;mGy{\cdot}cm$으로 나타났다. 영상품질을 나타내는 CT number의 표준편차는 1구역에서 고정 관류기법은 2.6, AEC 기법은 3.0, 2구역에서 고정 관류기법은 3.1, AEC 기법은 3.4, 3구역에서 고정 관류기법은 2.7, AEC 기법은 3.2으로 측정되었다. 64 MDCT에서의 AEC 기법은 기존의 고정관류법에 비해 안구, 이하선 그리고 갑상선 부위에 대해 큰 선량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 두개부의 방사선량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유용한 기법으로 사료된다.

개선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축 (Improved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Design and Construction)

  • 전병진;윤덕병;신승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5-33
    • /
    • 2017
  • 기업에서는 정보유출을 막기 위해 방화벽, DLP 기능의 개별 보안시스템과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내부직원에 의한 정보유출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다. 특히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의 많은 로그 데이터 때문에 시간과 금전적인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시스템 속도 저하로 인해 빠른 정보유출 인원을 감지하기 힘들다. 빠른 정보유출 감지를 위해 대용량의 로그 데이터를 일자별, 개인별로 수치화하여 시스템 속도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보유출 징후 인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치과용 3D 프린터로 제작된 임시 수복용 레진의 정확도 평가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provisional restorative resins fabricated using dental 3D printers)

  • 김민수;김원기;강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89-1097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ccuracy of provisional restorative resins fabricated using dental three-dimensional (3D) printers. Methods: Provisional restorative resins were fabricated using the first molar of the right mandibular. Three groups comprising a total of 24 samples of such resins were fabricated. The prepared abutment was scanned initially and then designed using a computer-aided design (CAD) software. The conventional subtractive manufacturing system was employed to fabricate the first group of resins, while the second and third groups were fabricated using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3D printer and a stereolithography (SLA) 3D printer, respectively. The internal surfaces of the resins were scanned and 3D measurements of the resins were taken to confirm their accuracy. Results: The root-mean-square deviation (RMS±SD) of the accuracy of the resins fabricated using the conventional subtractive manufacturing system, DLP 3D printer, and SLA 3D printer were 68.83±2.22 ㎛, 74.63±6.23 ㎛, and 61.74±4.09 ㎛, respectively.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p < 0.05). Conclusions: Provisional restorative resins fabricated using DLP and SLA 3D printers demonstrated clinically-acceptable results.

광중합 방식의 적층 가공으로 제작된 전치과 구치 단일 크라운의 적합도 평가 (Evaluation of fit of anterior and posterior single crowns manufactured by light-curing additive manufacturing)

  • 배은정;이완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74-8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fit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printed using two light-curing three-dimensional (3D) printers. Methods: Anterior and posterior single crowns were designed using dental software and were printed using 2 types of 3D printers,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n=40). After the printed crown was scanned again from inside and outside, the prepared teeth were evaluated using a 3D program. To compare the root mean square (RMS) results among groups (α=0.05),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s test were used.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mean RMS values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p>0.05). 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nternal, external, and tooth shapes, the DLP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 errors i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an LCD group (p<0.05). Conclusion: In terms of clinical acceptance standard of 100 ㎛, the fit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fabricated using LCD and DLP was clinically acceptable.

CT Scan Mode와 관전압 변경에 따른 소아 두부 영상의 선량 및 영상평가 (Dose and Image Evaluation of Pediatric Head Image according to CT Scan Mode and kVp Changes)

  • 김병제;김동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01-808
    • /
    • 2023
  • 소아 두부 CT 검사 시 방사선 피폭 최소화와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확보하기 위하여 Volume Axial Mode, High Pitch Mode, Helical Mode 간 피폭 선량과 영상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Volume Axial Mode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1세 미만의 소아 두부 CT Helical Mode, High Pitch Mode, Volume Axial Mode에서 70, 80, 100 kVp의 관전압에 따라 영상평가와 선량평가를 시행하였다. 영상평가는 각 영상에 ROI를 설정해 SNR과 CNR을 산출하여 영상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고, 선량평가는 검사 후 장비에서 직접 제공하는 Dose Report에 표시되는 DLP값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Volume Axial Mode를 사용하여 검사하였을 때, DLP 값은 전체적으로 낮게 나왔고, SNR과 CNR은 각각 ROI와 kVp별 차이를 가졌다. Volume Axial Mode가 다른 Scan Mode와 비교하여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을 때, 그 차이 값이 균일하지 않아 특정 Mode가 우수하다고 볼 수 없었으나 선량 측면에서는 가장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Volume Axial Mode의 짧은 스캔 시간과 Table의 이동 없이 제자리에서 검사 할 수 있는 점은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1세 미만 소아 CT검사에서 유용하게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