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NA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9초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간의 직접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P2P Standard Group Formation 구현 (Implementation of P2P Standard Group Formation in WiFi Direct for Direct Communication Services between Internet-of-Things Gateways)

  • 박윤기;한권희;서정욱;김현식;박용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6-43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간의 직접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P2P Standard Group Formation(P2P-SGF)을 구현한다. 일반적으로 AP(Access Point)를 통해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간에 여러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더불어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네트워크 트래픽 혼잡 문제와 속도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AP를 거치지 않고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간에 직접통신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구현이 필요하다. 논문에서 구현한 P2P-SGF는 기본적으로 Discovery, GO(Group Owner) Negotiation, WPS(WiFi Protected Setup) Provisioning, Address Configuration을 수행하며, 특히 대용량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서비스 기능을 지원한다. 구현한 P2P-SGF를 통해 대용량의 동영상이 성공적으로 공유되는 것을 실험실 테스트로 확인하였다.

  • PDF

u-Home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실 표준화 현황

  • 이광근
    • TTA 저널
    • /
    • 통권110호
    • /
    • pp.75-81
    • /
    • 2007
  • u-Home 서비스 분야는 최첨단 IT 기술을 Home에 접목시키는 분야로 전 세계적으로 관련 핵심 기술의 개발과 국제 표준화를 통해 시장 선점을 추진하고 있는 주요한 분야 중 하나이다. 그러나 u-Home 분야는 통신.방송.가전.건설 등 다양한 이종 산업분야가 상호연계 및 융합되어 파생된 특성 때문에 각 산업군별 플레이어들이 각자의 기술표준을 제시하고 있어 현재 업계 내에서 명확한 표준체계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현황 속에서 u-Home 분야의 대표적인 표준화 기구인 DLNA 및 Zigbee Alliance의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기술 및 표준화 동향 (Technology and Standard Trends of Home Network Middleware and Services)

  • 박준희;손영성;이창은;김동희;문경덕;박광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9권5호통권89호
    • /
    • pp.53-58
    • /
    • 2004
  • 홈네트워크 서비스는 가정에서의 편안함과 즐거움을 주기 위한 기술이다. 홈네트워크 시장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시장의 생성기로 접어들고 있으며, DLNA라고 하는 국제 산업 표준 단체에 의해 상호운용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어 가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내 및 국제 표준 미들웨어들을 소개하고 이들의 최근 동향, 그리고 홈네트워크와 관련된 국내 및 국외의 표준화 동향을 소개한다.

WiFi 채널분석에 따른 스마트 플랫폼의 HDMI 해상도 조정 (HDMI Resolution Control of Smart Platform with WiFi Channel Analysis)

  • 홍성찬;강민구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2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ISM(Industry-Science-Medical) 대역의 와이파이-AP(Access Point)의 채널추정에 따라 스마트 미디어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해상도를 조정하고자 한다. 2.4/5GHz 대역에서의 채널모델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같은 RF특성에 따라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별히, 스마트 디바이스의 증가와 무선 랜 공유기(AP)로 인한 동일채널 간섭으로 인한 와이파이의 전송 속도저하와 미디어 스트리밍의 화질저하가 발생된다. 이때 무선채널의 전송속도에 따라 HDMI-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를 활용한 동영상 비디오 형식(Video Format Timing)의 최적화를 설계한다. 이로서 스마트 다바이스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다양한 전송방식(Protocol)에 따라 홈 게이트웨이와 디지털TV 등의 HDMI 해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화질유지의 기법 및 PIP 위치설정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지능형 가전제품 전력 컨트롤 (Intelligent Home appliances Power Control using Android and Arduino)

  • 박성현;김아용;김웅준;배근호;유상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54-856
    • /
    • 2014
  • 일인 다기기 시대에 맞추어 스마트 기기로 다양한 가전제품과 전자기기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하게 출시하고 있다. 또한, 청소로봇과 냉장고, 에어컨, TV 등의 제품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을 이용하여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외에서 IoT(Internet Of Things)나 Alljoyn 같은 기술들을 개발 및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가전제품이나 전자기기들은 운영체제가 설치되어있는 제품보다 설치되어있지 않은 제품이 많다. 또한, 스마트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는 스마트 가전제품 보다는 기존의 전자제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수치화하고 아두이노 보드에 전송하여 운영체제가 없는 기존의 가전제품도 스마트 기기와 같은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 PDF

Machine to Machine 기반의 N Screen 서비스 기술

  • 양승률;권영환;이재호;김경호;이현재;김진필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9호
    • /
    • pp.3-12
    • /
    • 2013
  • N Screen 서비스는 하나의 콘텐츠를 스마트폰, PC, 태블릿, 자동차 등 다양한 디지털 정보기기에서 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컴퓨팅, 네트워크 서비스를 말한다. 이는 시간, 장소, 디지털 기기에 구애 없이 언제 어디에서나, 어떠한 기기에서나 하나의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고, 사용자는 가장 편리한, 가장 좋은 환경의 기기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본고에서는 N Screen 서비스를 위한, 기기 간의 연동 기술을 홈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UPnP, DLNA 표준과 특정 업체를 중심으로한 DIAL, AllJoyn 기술 및 스마트 TV 플랫폼에서 출발한 STA (Smart TV Alliance)의 N Screen 서비스 적용 그리고, Wi-Fi 통신망을 이용한 Wi-Fi Display 표준기술을 소개하고 서로 비교 함으로써, 기기간의 N Screen 서비스 기술 및 표준화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멀티 스크린 환경에서 양질의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방송 플랫폼 기술

  • 권기선
    • 정보와 통신
    • /
    • 제29권9호
    • /
    • pp.24-29
    • /
    • 2012
  • 스마트 디바이스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인해 멀티스크린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 짐에 따라 전통적인 방송 서비스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멀티스크린 환경에서 다양한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살펴보았다. 멀티스크린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기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양질의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스트리밍 기술과 멀티 디바이스 간의 콘텐츠 공유 기술이다. 방송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기술은 최근에 HTTP를 기반으로 하는 Adative Streaming 기술이 이슈화 되고 있어, 본고에서는 HAS(Http Adaptive Streaming) 기술의 개념과 표준화 및 도입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또하나의 방송기술인 멀티 디바이스 간의 콘텐츠 공유 기술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홈네트워킹 기술, 웹플랫폼과 HTML5 를 중심으로 한 웹기술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밖에 애플의 AirPlay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SOA 기반의 디지털 셋탑 박스 개발 (Development of SOA based Digital Settop Box)

  • 황지연;고형준;신승중;류대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22-425
    • /
    • 2011
  • 디지털 셋탑 박스가 보편화 되면서 다양한 콘텐츠들이 나오고 있으며, 사용자나 방송사, 사업자의 요구에 따라 웹 서비스, DLNA, FTP Server, Media, SI, 등이 변경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의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SOA를 적용하여 기능을 서비스 단위로 재해석하고, 여러 요구조건에 대응 할 수 있는 셋탑 박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SOA 기반의 셋탑 박스는 Media, SI, Cas, Demux, Subtitle, Caption, 예약 등을기능을 서비스 단위로 재해석하여 여러 요구조건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셋탑 박스 사용자, 방송사, 사업자에 의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신속히 적응할 수 있다.

무선 애드 혹 환경에서의 UPnP의 SSDP 기능 향상을 위한 서비스 발견 및 광고 기법 (Adaptively Flexible Service Discovery and Advertisement for SSDP of UPnP in Wireless Ad-hoc Network)

  • 정소라;윤희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5호
    • /
    • pp.237-248
    • /
    • 2010
  • UPnP(Universal Plug And Play)는 홈 네트워크 기술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서로를 인식 가능하도록 하는 미들웨어(middleware)이다. UPnP는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기반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 및 광고(Advertisement) 기능을 제공한다. SSDP는 네트워크상에 서비스 검색 요청 메시지를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전달하고, 탐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검색 요청 기기에게 유니캐스트한다. 일반적으로 기존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은 유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동적으로 상태가 변화하는 노드에 따라 예측 불가능한 무선 애드 혹 환경에서는 최적화되어 있지 못하다. 이에 따라 무선 애드 혹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 제안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SSDP도 기본적으로 유선 환경을 기반으로 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노드에게 메시지가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플러딩(flooding)에 의한 메시지 오버헤드를 가진다. 본 논문은 해당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무선 애드 혹 환경에 적합한 P2P 기반의 flexible SSDP(fSSDP)를 제안한다. fSSDP는 멀티캐스트 대신에 브로드캐스트 기반으로 동작한다. 광고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은 서비스 발견 요청의 뎁스와 비교를 통해 업데이트되고, 광고 통지 주기에 따라 광고 전송 영역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 발견 요청 메시지의 전송 범위는 동적으로 축소가 된다.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 상에서 fSSDP는 서비스 발견 요청에 따라 발생하는 메시지 플러딩(flooding)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메시지 오버헤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Contents List Aggregation 구현 (Implementation of Content List Aggregation for Home Network)

  • 금승우;김경원;임태범;이석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5-77
    • /
    • 2011
  • 최근 수년간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홈 네트워크를 통한 방송 및 통신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유 기기 시장이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의 진보를 통하여 사진, 음악, 영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공유가 홈 네트워크 상에서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업계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UPnP 및 DLNA에 기반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홈 네트워크 표준은 Peer-to-peer 네트워크를 근간으로 하고 있어 홈 네트워크 내에 복수의 서버가 있을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이에 본 논문은 홈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 리스트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Contents List Aggregation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되는 서비스는 홈 네트워크 내의 미디어 서버들로부터 Contents List를 전송받아 통합된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기존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서비스의 제안과 함께 서비스를 지원하는 UPnP Device 및 Control Point의 서비스 시나리오, 그리고 서비스 연동에 대한 운용환경 및 사용예가 함께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