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NA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2초

홈 미디어 기기의 DLNA 소프트웨어 효율적 적용 (Effective Utilization of DLNA Functions in Home Media Devices)

  • 강기철;김세영;김대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7-48
    • /
    • 2012
  • 최근 홈 네트워크 시장에서는 가전 업체를 중심으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 기반 홈 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가 활발히 제공되기 시작하고 있다. 현재 DLNA 미디어 기기와 함께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DLNA 네트워킹 소프트웨어는 서버 기능, 렌더러 기능 및 디바이스 제어 기능 모두를 포함한 통합 소프트웨어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홈 미디어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하나의 기기가 여러 기능을 동시에 내장할 필요가 없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스마트TV의 재생 기능, NAS(Network Attached Storage)의 미디어 저장 기능과 같이 각각의 기기가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홈 미디어 네트워크 환경에서 DLNA 통합 소프트웨어 활용은 오히려 네트워킹 및 프로세싱 측면에서 낭비를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통합 기능 DLNA 네트워킹 소프트웨어를 분석하고, DLNA 디바이스 클래스를 근거로 홈 미디어 기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기기 별 DLNA 소프트웨어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제시한 DLNA 소프트웨어 모델 중 스마트TV 및 스마트폰 용 DLNA 소프트웨어를 구현해 일반적인 DLNA 네트워킹 소프트웨어와의 자원 효율성을 비교한다.

DLNA 기술 개발을 위한 표준 분석 (Standards Analysis for DLNA Technology Development)

  • 정상국;최원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5-536
    • /
    • 2014
  • DLNA 기술 개발을 위해서 총 11부로 구성된 DLNA 가이드라인 문서들을 참고해야만 하고 본 문서들 중 일부는 IEC 국제 표준으로 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가이드라인 문서들을 분석하고 국제 표준화 동향을 기술하였다. 분석을 통해 DLNA 기술에 대한 주요 이슈와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사물인터넷에서 미디어 콘텐츠 연동을 위한 양방향 DLNA 어댑터 (Two-way DLNA Adaptor for Interconnecting Media Contents in Internet of Things)

  • 임형준;이규철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706-710
    • /
    • 2014
  • 사물인터넷(IoT)은 사람과 사물이 상호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이 가능하다. DLNA는 오디오/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는 표준으로 사물과 연동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기반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사물인터넷의 웹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다양한 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양방향으로 연동하기 위한 양방향 DLNA 어댑터를 제안한다. DLNA 어댑터는 DLNA 기기의 서비스를 가상의 웹서비스로 변환하고 외부의 가상의 웹서비스를 DLNA 서비스로 변환하여 양방향성을 지원한다.

홈 네트워크에서 미디어 호환성 분석 기법 (Method for Analyzing Media Compatibility in Home Networks)

  • 박용석;김현식;박세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41-643
    • /
    • 2014
  •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은 홈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인 사용자는 DLNA 인증을 받은 기기라면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기기 간 상호호환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겠지만, 옵션 사양으로 지정되거나 제조업체가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포맷은 호환되지 않는다. 또한 DLNA 기기들이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포맷과 관련된 정보들이 쉽게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및 재생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DLNA 기기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 받는 콘텐츠 디렉터리 정보를 분석하여 기기 간 미디어 호환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다룬다. 미디어 포맷이 상호호환 가능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사용자는 보다 쉽게 DLNA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 PDF

DLNA시스템에서의 IP기반 DTV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및 제한수신 기법 (Research on solution for IP-based DTV Contents sharing and Conditional-Access via DLNA protocole)

  • 김현식;박용석;박세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9-63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ATSC-M/H 방송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개 방송콘텐츠 서비스와 제한된 유료 방송 콘텐츠 제공을 위한 신규 방송 서비스를 송출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CAS 등 복잡한 수신제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북미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DVR를 포함한 셋탑박스를 디지털 미디어 서버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DLNA 시스템에서 ATSC-M/H 시스템을 통해 전송된 공개 방송 콘텐츠 서비스와 제한된 유료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기 위한 DLNA 시스템과 그 DLNA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DLNA 기기의 상호운용성 시험을 위한 패킷교환정보 시각화 방법 (A Visualization Technique of Inter-Device Packet Exchanges to Test DLNA Device Interoperability)

  • 김미정;김봉;윤일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1-534
    • /
    • 2014
  • Allshare 또는 Smartshare 등으로 잘 알려져 있는 DLNA 기술은 유무선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DLNA 표준을 지원하는 기기 사이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산업 표준이며,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폰, 태블릿 등에 탑재되어 있다. 휴대기기 이외에도 DLNA 서비스는 스피커, 프린터 등 다양한 기기에 탑재될 수 있으나, DLNA 기기 사용자 포럼 등을 통해 기기 간 상호운용성 문제가 발생하는 사례가 자주 보고되었다. 개발자들은 기기 간의 교환된 패킷 정보를 분석하여 원인을 파악할 수 있지만, 필요한 패킷 정보의 필터링 및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흐름의 재구성을 위한 노력이 별도로 필요하며, 결과적으로는 서비스 개발에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DLNA 기기 간 교환되는 패킷을 라우터에서 포획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패킷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 및 시각화하여 개발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도구를 소개한다. 시각화된 패킷 교환 정보는 DLNA 기기 및 서비스 개발자들이 기기 간 교환된 패킷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개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LNA 네트워크 접속 (Accessing DLNA Network with Cellular Communication Terminals)

  • 김상록;이현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19-525
    • /
    • 2014
  • 이 논문은 스마트폰의 3G/4G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가정과 사무실의 DLNA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활성화된 무선 통신 모듈의 종류에 상관없이 DLNA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의 구현을 위해 이 논문에서는 소형기지국인 펨토셀을 사용하였다. 스마트폰의 3G/4G 통신 모듈이 가지는 IP 주소체계와 지역망의 IP 주소체계의 차이로 발생하는 문제들은 LIPA 기법을 적용하여 해결하였다. 또한 DLNA 프로토콜 구동에 필요한 멀티캐스트 패킷 처리 기능을 터널링 기법을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에서 활성화된 무선 통신 모듈의 종류에 상관없이 DLNA 서비스의 사용이 가능해졌다. 설계 결과는 상용 WCDMA 펨토셀에 적용하여 그 적정성을 입증하였다.

DLNA Protocol Inspection Tool for Compatibility Analysis

  • Park, Se-Ho;Park, Yong-Suk;Seo, Jeong-Wook;Choi, Jun-Rim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6호
    • /
    • pp.2104-2117
    • /
    • 2014
  • The propagation of smart devices and the rapid expansion of wireless mobile networks have increased the need for ubiquitous device connectivity and contents access. DLNA is currently being used as the de facto standard for connectivity of consumer devices in the digital home. The guidelines provided by DLNA are intended to facilitate device and contents discovery, management, sharing and distribution. However, consumer experience with DLNA has been rather poor and usability not up to speed. Different problems and issues in limited compatibility have been reported due to manufacturer customizations. Such compatibility issues are often difficult to identify by average consumers who are not savvy in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technology. In this pape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LNA protocol inspection tool is presented for compatibility analysis among DLNA certified devices. The tool monitors the home network and performs analysis of the underlying protocols used by DLNA. The tool can be used for diagnostics and troubleshooting, enabling the user to identify compatibility issues between devices or problems in the network.

인터넷을 통한 원격 미디어 공유를 지원하는 DLNA 프락시 시스템 (The DLNA Proxy System for sharing DLNA-based media contents distributed in home via Internet)

  • 오연주;이훈기;김정태;백의현;박광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49-252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proxy system, to provide services for accessing and sharing various DLNA-based media contents which are distributed over his/her or other's home facilities via home network or internet. The proposed system based on DLNA[1] and SIP Notification mechanism[2] so that data such as contents can be transferred from home network consisted with private IP from outside public IP networks.

  • PDF

미디어 공유를 위한 DLNA 스마트 리모컨 개발 (Development of the DLNA Smart Remote Controller for Media Sharing)

  • 이진;강기철;김대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6-98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의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이 기기들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소비 또한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자연스레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DLNA 기기 간 미디어 콘텐츠 공유에 대한 욕구로 이어졌다. DLNA 기술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욕구가 해소되기는 했지만 DLNA 제품 간의 효과적인 콘텐츠 상호 공유 및 재생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전용의 S/W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DLNA와 UPnP의 분석을 통하여 미디어 공유와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스마트 리모컨 S/W의 구현 구조에 대하여 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