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 Utilization of DLNA Functions in Home Media Devices

홈 미디어 기기의 DLNA 소프트웨어 효율적 적용

  • Kang, Ki-Cheol (Dept. of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e-Young (Dept. of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Dae-Jin (Dept. of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강기철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과) ;
  • 김세영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과) ;
  • 김대진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과)
  • Received : 2011.08.25
  • Accepted : 2011.11.22
  • Published : 2012.01.30

Abstract

These days many DLNA home media network services start in home network area. DLNA networking softwares included in DLNA media devices contains all of server, renderer and controller functions. But a home media device in home media network environment not uses all of DLNA functions but uses only limited functions. Using all of integrated DLNA functions wastes networking and processing resources especially in home media network, because a home media device uses very limited functions. For example, a smart-TV has a main role of playback and a network attached storage has a main role of media content storage. In this paper, we analyze integrated DLNA networking softwares and design DLNA software models representing each home media device so as to utilize device resources efficiently. And we implement DLNA softwares for smart-TV and smart-phone and test resource efficiency.

최근 홈 네트워크 시장에서는 가전 업체를 중심으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 기반 홈 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가 활발히 제공되기 시작하고 있다. 현재 DLNA 미디어 기기와 함께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DLNA 네트워킹 소프트웨어는 서버 기능, 렌더러 기능 및 디바이스 제어 기능 모두를 포함한 통합 소프트웨어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홈 미디어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하나의 기기가 여러 기능을 동시에 내장할 필요가 없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스마트TV의 재생 기능, NAS(Network Attached Storage)의 미디어 저장 기능과 같이 각각의 기기가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홈 미디어 네트워크 환경에서 DLNA 통합 소프트웨어 활용은 오히려 네트워킹 및 프로세싱 측면에서 낭비를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통합 기능 DLNA 네트워킹 소프트웨어를 분석하고, DLNA 디바이스 클래스를 근거로 홈 미디어 기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기기 별 DLNA 소프트웨어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제시한 DLNA 소프트웨어 모델 중 스마트TV 및 스마트폰 용 DLNA 소프트웨어를 구현해 일반적인 DLNA 네트워킹 소프트웨어와의 자원 효율성을 비교한다.

Keywords

References

  1. DLNA, DLNA Interoperability Guidelines, version 1.5, October 2006.
  2. 이경훈,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컨트롤 포인트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공개번호: 1020100087483, 대한민국특허청, 2010.
  3. Patel, Keyurkumar J., Vijay Anand, S., Sumant Kumart, S.P, "A robust QoS framework on Android for effective media delivery to DLNA Enabled Home gateway in smart home environ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ing and Information Security (WCNIS), 201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217-222, June 2010.
  4. Byungsoo Lim, Kichul Park, Joonoo Kim, "UPnP AV Transport Service Using the Add-in System", Next Generation Mobile Applications, Services and Technologies, 2009. NGMAST '09.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52-57, september, 2009.
  5. UPnP Forum, UPnP Device Architecture v1.1, October 2008.
  6. Fagui Liu, Kai Li, Zhipeng Zhu, "DLNA-Protocol-Based Media Server & Its Application in HSS", Scalab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bedded Computing, 2009. SCALCOM-EMBEDDEDCOM'0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370-374, September, 2009.
  7. 김상범, "홈네트워크 기기간의 효율적인 자원관리 및 운용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8. 박천교, 이윤철, "이동 컴퓨팅 단말 동향",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동향자료, 2001.
  9. 강기철, 김대진, "SCTP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DLNA 미디어 스트리밍 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2011한국방송공학회 하계학술대회, 2011년 7월.
  10. UPnP Forum, UPnP AV Architecture v1.1, September 2008.
  11. Gstreamer features, http://gstreamer.freedesktop.org/features/.

Cited by

  1. Interworking architecture between Smart-TV and Smart-phone using NFC and QR technology vol.38, pp.4, 2014, https://doi.org/10.5916/jkosme.2014.38.4.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