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

검색결과 2,042건 처리시간 0.034초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 자실체 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연구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riolus versicolor Fruit Body Crude Extracts)

  • 최병용;이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15-422
    • /
    • 2016
  • 본 연구는 운지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HE)과 메탄올 추출물(ME)의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과 일부 생리활성을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에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HE의 총 polyphenol 함량(129.60 mg/dl)은 ME함량(43.80 mg/dl)보다 85,8 mg/dl가 더 높았으며, 열수에서 추출이 더 높았다. HE의 총 flavonoid 함량(30.50 mg/dl)은 ME함량(20.90 mg/dl)보다 9.5 mg/dl가 더 높았다. DPPH의소거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41.03%가, M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16.36%로 더 높았으며, Tyrosinase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8.29%, ME 3 mg/ml에서는 10.32%가 더 높았고, Elastase 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3.12%가, ME에서는 21.53%가 더 높았다. Collagenase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5.44%가, ME에서는 4.07%로 더 높았다. 상기 효소활성은 모두 추출액농도증가에 비례하여 활성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상기의 두 종류의 추출물은 항산화 및 생리활성기능을 나타내어 피부의 주름의 완화제로서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대한민국 성인에서 비만과 Uric acid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Obesity and Serum Uric acid in Korean adults)

  • 박선영;윤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27-634
    • /
    • 2016
  • 본 연구는 일부 종합검진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비만수준이 혈 중 uric acid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 광주광역시의 일개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20세 이상의 지역주민 1,118명(남자 636, 여자 482)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는 혈청 uric acid, 요소 질소, creatinine 뿐만 아니라 신체계측 (SBP, DBP 및 BMI)에 대해 평가하고, 분석에 포함 하였다. Model I에서, 연령, 성별, SBP, DBP, TC, TG, HDL-C, FBG를 보정하였을 때, 남성(p<0.001)과 여성(p=0.036)에서 uric acid의 평균값은 비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Model II에서, BUN과 creatinine을 추가로 보정하였을 때, 남성에서는 uric acid의 평균값이 정상 체중군은 $4.89{\pm}0.07mg/dl$, 과체중군은 $5.01{\pm}0.09mg/dl$, 비만군은 $5.35{\pm}0.08mg/dl$로 비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01). 그러나 여성에서는 uric acid의 평균값이 정상체중군은 $5.03{\pm}0.08mg/dl$, 과체중군은 $5.19{\pm}0.11mg/dl$, 비만군은 $5.27{\pm}0.09mg/d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91). 결론적으로, 남성에서 비만수준의 증가는 혈 중 uric acid의 증가와 관련이 있지만, 여성에서는 관련이 없었다.

중년 남성 비만의 혈압 및 혈액 성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middle-Aged men Obesity)

  • 이현옥;박혜순;승정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6-371
    • /
    • 1996
  • 우리나라 일부 중년 남성의 혈압 및 혈청지질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40세 이상의 중년남성 1,524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체질량지수를 통해 비만군 453명과 대조군 1,071명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군의 평균 시장, 체중, 체질량지수는 169.4$\pm$5.2cm, 76.3$\pm$6.1kg, 26.6$\pm$1.4kg/$ extrm{cm}^2$ 이었다. 대조군은 각각 169.0$\pm$7.1cm, 63.7$\pm$7.0kg, 22.2$\pm$1.9kg/$\textrm{cm}^2$로 비만군의 체중과 체질량지수가 높았다.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은 비만군은 124.0$\pm$20.5mmHg, 81.9$\pm$14.0mmHg였고 대조군은 119.2$\pm$18.1mmHg, 78.6$\pm$12.5mmHg로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숙의 경우, 비만군은 202.1$\pm$34.7mg/dl, 210.0$\pm$121.8mg/dl, 43.4$\pm$10.3mg/dl, 116.7$\pm$33.5mg/dl, 3.8$\pm$1.2였고, 대조군은 193.9$\pm$36.0mg/dl, 162.9$\pm$120.0mg/dl, 46.4$\pm$11.0mg/dl, 115.0$\pm$35.5mg/dl, 3.4$\pm$1.6을 LDL-콜레스테롤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지혈증의 경우 비만군은 혈청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 모두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동맥경화지수가 3.0 이상인 경우도 비만군은 77.3%로 대조군의 57.0%보다 높았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able Embryos and Major Metabolite Concentrations in Holstein Donor Cows

  • Son, Jun-Kyu;Jung, Yeon-Sub;Cho, Sang-Rae;Baek, Kwang-Soo;Yoon, Ho-Beak;Lim, Hyun-Joo;Kwon, Eung-Gi;Kim, Sang-Bum;Choe, Changyo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29-235
    • /
    • 2012
  •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in high-producing Holstein donor cows, between the number of the transferable embryos and the blood serum concentrations of Blood Urea Nitrogen (BUN), glucose and cholesterol, which affect the nutritional state of cows. CIDRs were inserted into the vaginas of twenty two heads of Holstein cows, regardless of estrous cycle. Superovulation was induced using folliclar stimulating hormone (FSH). For artificial insemination, donor cows were injected with $PGF_{2{\alpha}}$ and estrus was checked about 48 hours after the injection. Then they were treated with 4 straws of semen 3 times, with 12-hour intervals. Embryos were collected by a non-surgical method 7 days after the first artificial insemination. The total numbers of ova collected from 3 experimental groups whose blood BUN concentrations were <10 mg/dl, 11~18 mg/dl and ${\geq}19$ mg/dl were 8.9, 12.5 and 19.0, respectively; whereas the numbers of transferable embryos were 5.8 + 1.9, 7.9 + 2.8 and 5.2 + 1.4, respectively. When glucose concentration was <60 mg/dl, the total number of collected ova was 9.9, which was smaller than when the concentration was 60~70 mg/dl or ${\geq}70$ mg/dl. When glucose concentration was 60~70 mg/dl, th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was 7.1 + 2.4, which was slightly larger than the numbers 6.4 + 2.1 and 6.1 + 1.7 that were obtained when the concentrations were <60 mg/dl and ${\geq}70$ mg/dl, respectively ;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0.05). When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150 mg/dl, 150~200 mg/dl and ${\geq}200$ mg/dl, the total numbers of collected ova were 11.2, 11.3 and 8.6, respectively. Whereas the numbers of transferable embryos were 7.1 + 2.1, 7.3 + 1.9 and 5.6 + 1.3, respectively ;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again not significant (p>0.05).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um recovery rate and th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according to major metabolite concentrations in high-producing Holstein donor cow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failure of maintaining proper nutritional status would cause the fall in in vivo embryo productivity.

민들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분쇄돈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 최영준;박경숙;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51-659
    • /
    • 2015
  • 본 연구는 민들레 추출물이 분쇄돈육의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등심과 지방에 냉수 10% 첨가(대조군), 민들레 잎 추출물 10% 첨가(DL), 민들레 뿌리 추출물 10% 첨가(DR), 그리고 전체 부위 추출물 10% 첨가(DW)하여 네 종류를 제조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군, DL, DR 및 DW가 각각 2,07, 6.49, 3.85 및 5.77 mg/100 g으로 DL이 다른 분쇄돈육들보다 더 높았다. 명도($L^*$) 및 황색도($b^*$)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적색도($a^*$)는 DL이 가장 높았다. pH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VBN 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BARS는 대조군, DL, DR 및 DW가 각각 0.52, 0.20, 0.31 및 0.24 mg MA/kg으로 DL에서 가장 낮았다. 생육 및 가열육의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분쇄돈육의 수율, 보수력, 수분 보유율, 지방 보유율 및 직경 감소율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343.65~2,395.39 ppm으로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풍미는 DL이 가장 우수하였다. 민들레 추출물 첨가의 경우, 다른 부위보다 잎 추출물의 첨가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으며, 적색도와 관능적 풍미를 개선하고, 지방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육제품의 천연 항산화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리 새싹 분말 섭취가 50대 여성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탐색 연구: one case 보고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Barley Sprout Powder Intake on Blood Lipids in Women in Their 50s: One Case Report)

  • 전계삼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6-69
    • /
    • 2021
  • 목적: 본 연구는 보리 새싹분말을 섭취한 50대 여성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18개월간 보리 새싹분말을 매일 3g씩 섭취하면서 6개월에 한 번씩 혈액검사를 통해 사전 및 사후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수축기 혈압은 1차 검사 수치는 107 mmHg에서 4차 검사치는 91로 감소하였다. 확장기혈압은 1회차 검사치는 69 mmHg에서 49 mmHg로 감소하였다. 복부둘레는 첫 측정치인 84 cm에서 4회차에서는 78 cm로 감소하였다. 공복혈당과 HDL은 영향이 없었다. 총콜레스테롤은 1차 측정치는 264 mg/dl에서 4회차 측정에서는 172 mg/dl로 크게 감소하였다. 중성지방은 2018년 1차 측정치는 179 mg/dl이었고, 4회차 측정치는 80 mg/dl로 크게 감소하였다. LDL의 1회 측정치는 182 mg/dl이이었고, 4회차는 97 mg/dl로 높게 감소를 하였다. 결론: 50대 여성이 새싹보리를 18개월간 섭취 후 전반적으로 공복혈당, 혈압, 혈중 중성지방과 LDL의 농도를 많이 감소시키어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외선 흡수 스펙트람에 의한 의학품 분석연구 I dl-alpha-Tocopherol 및 dl-$\alpha$-Tocopherol Acetate의 정량분석 (Analyses of Drugs and Chemicals by Infrared Absoption Spectroscopy I. Determination fo dl-alpha-Tocopherol and Its Acetate in Pharmaceutical Preparation)

  • 노영수
    • 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2
    • /
    • 1973
  • Determination of dl${\alpha}$-tocopherol and its acetate in their preparation through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was examined, using the sharp bands at 1085cm$^{-1}$ and 1210cm$^{-1}$ res[ectovely as the key bands.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was 100${\pm}$2% to the weight taken.

  • PDF

가스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l-에페드린과 dl-메칠에페드린의 정량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l-ephedrine and dl-methylephedrine)

  • 윤용균
    • 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4
    • /
    • 1972
  • The determination method of l-ephedrine and dl-methylephedrine by gas chromatography was developed, using reactive alkaline precolumn packed with celite 545 containing KOH. Symmetrical peaks were achieved under the condition, inlet temperature, $180^{\circ}C$-$230^{\circ}C$; column temperature, $180^{\circ}C$- $160^{\circ}C$; carrier gas flow rate, 30ml/minute. The peaks of the salts coincided with those of bases. When this method was applied to preparations, using d-dimethylaminobenzaldehyde as inner standard, good results were obtained. The relative retention times of l-ephedrine and dl-methylephedrine to p-dimethyl aminobenzaldehyde were 0.50 and 0.65 respectively.

  • PDF

Orotic Acid 유도체의 합성에 관한 연구(I) Orotyl-$_{DL}$-alanine 및 Orotyl-$_{L}$-tyrosine의 합성 (Studies on the Syntheses of Orotic Acid Dervatives I. Synthesis of Orotyl-$_{DL}$-alanine and Orotyl-$_{L}$-tyrosine.)

  • 변온성;채동규
    • 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5-47
    • /
    • 1964
  • Two new orotic acid derivatives orotyl-DL-alanine and orotyl-L-tyrosine were synthesized. They were obtained as high melting crystalline masses by condensing DL-alanine and L-tyrosine each with orotyl chloride in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followed by acidifying the reaction mixture.

  • PDF

DL-alanine과 1,2-indanedione을 이용한 종이에 남은 족적의 증강 (Development of latent footwear impression on porous surfaces using DL-alanine solution and 1,2-indanedione solution)

  • 홍성욱;김은아;박미선;이은혜
    • 분석과학
    • /
    • 제30권6호
    • /
    • pp.303-311
    • /
    • 2017
  • 잠재지문 증강시약인 1,2-indandione (1,2-IND) 용액을 사용하여 종이에 유류된 족적의 형광을 얻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인쇄물이 출력된 A4 용지에 유류된 dry origin 및 wet origin 족적에 아미노산의 일종인 DL-alanine 용액과 아미노산 검출시약인 1,2-IND 용액을 뿌려서 DL-alanine-1,2-IND 이성분착물을 만들었다. 이 이성분착물은 족적에 있는 미량의 금속성분과 반응하여 광발광을 내는 삼성분착물을 형성함으로써 족적의 형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1,2-IND 용액 대신 5-methylthioninhydrin (5-MTN) 용액을 이용하면 처리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해도 족적의 형광이 일정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DL-alanine 용액과 1,2-IND 용액으로 처리한 족적을 다양한 온도조건 (30, 40, $50^{\circ}C$)과 다양한 습도조건 (30, 40, 50, 60 % RH)에서 보관한 결과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족적과 바탕면의 대조비가 감소하였다. DL-alanine 용액과 1,2-IND 용액으로 처리한 족적을 $30^{\circ}C$, 30 % RH에서 1 h 동안 보관하면 족적의 최적 형광을 얻을 수 있었다. 저자들이 개발한 방법의 감도를 black gelatin lifting, 2,2'-dipyridil 용액 처리 방법, 8-hydroxyquinoline 용액 처리방법의 감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저자가 개발한 방법의 감도는 gelatin lifting 방법보다는 떨어졌으나 2,2'-dipyridil 용액 혹은 8-hydroxyquinoline 용액 처리방법보다는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