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

검색결과 2,042건 처리시간 0.026초

주요 양식어류의 하절기 혈액성분 비교 (Comparison in Serum Constituents of Cultured Marine Fishes in Early Summer Season)

  • 전중균;김형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47-556
    • /
    • 1998
  • 주요 해산 양식어류의 혈액 성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기위하여, 적수온기(수온 16.5도씨)에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평균체중 553g), 농어(Lateolabrax japonicus, 평균체중 325g),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평균체중 390g), 돌돔(Oplegnathus fasciatus, 평균체중 490g), 은연어(Oncorhynchus kisutch, 평균체중 1,750g) 및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평균체중 438g)를 사용하여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청 중의 총단백질(TP), 알부민(ALB), 중성 지방(TRIG), 콜레스테롤(CHOL), 포도당(GLC), 리파제(LIPA), 아밀라제(AMYL), 아미노산전이효소(AST),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인(PHOS) 등을 측정하였다. TP 농도는 4.4~6.0 g/dl의 수준이었으며, ALB 농도는 1.7~2.4g/dl의 수준이었다. A/G비는 은연어가 0.9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는 0.6정도로 비슷하였다. 지질 성분 중 TRIG 농도는 어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전갱이와 조피볼락(178~180 mg/dl)이 가장 높았고, 은연어와 돌돔(102~114 mg/dl)이 가장 낮았으며, 넙치와 농어(126~159 mg/dl)는 그 중간 수준이었다. 그리고 CHOL 농도도 전갱이가 255 mg/dl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농어 (230 mg/dl)와 넙치, 은연어(206~217 mg/dl), 조피볼락(154 mg/dl)의 순서였으며 돌돔이 가장 낮아 88 mg/dl의 수준을 보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어종별 혈당(GLC)의 농도는 전갱이(138 mg/dl)가 가장 높았고 돌돔 (111b mg/dl), 은연어나 농어 (64~78 mg/dl), 조피볼락(47 mg/dl), 넙치(14 mg/dl)의 순서였다. 지질분해효소(LIPA)와 당질분해효소(AMYL)의 어종별 활성은 어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은연어 LIPA와 AMYL 활성이 모두 가장 높았지만 농어는 가장 낮았으며, 돌돔과 넙치와 조피볼락에서 AMYL 활성은 검출 한계치(5 U/dl) 이하였다. 그리고 무기질의 Na와 Cl의 농도는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Na 농도와 K 농도는 서로 상반되는 경향이었다. 각종 혈중 성분의 계절적인 차이를 조사하였더니, PHOS와 CHOL 농도는 계절적인 영향이 컷지만, K와 GLC 농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어류 중에서는 넙치가 큰 차이를 보였다. 즉, 넙치나 전갱이는 적수온기에서 혈중농도가 높았지만 조피볼락이나 돌돔은 저수온에서 혈중 농도가 높았다. 전해질과 LIPA 활성은 대체로 저수온기에서 농도가 높았으나, TP와 ALB등은 적수온기에서 더 높았고, 어너지로 쓰이는 TRIG나 CHOL, GLC 농도의 계절에 따른 차이는 어종에 따라 달랐다.

  • PDF

주요 하천 및 호수에 서식하는 붕어 (Carassius auratus and Carassius cuvieri) 근육에 축적된 2,3,7,8-치환 PCDDs, PCDFs 및 DL-PCBs 분석 (Analysis of 2,3,7,8-substituted PCDDs, PCDFs, and DL-PCBs in muscle of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and Carassius cuvieri) from major rivers and lakes)

  • 정기호;문지용;문동호
    • 분석과학
    • /
    • 제24권6호
    • /
    • pp.484-492
    • /
    • 2011
  • 우리나라 주요 하천수계의 대표적인 지점 한 곳씩 선정하여 이곳에 서식하는 붕어에 대한 PCDDs, PCDFs 및 DL-PCBs의 체내 축적 정도를 분석하고 분포특성을 살펴보았다. 회수율은 PCDDs 및 PCDFs는 50.6%~88.3%, DL-PCBs는 52.3%~93.2%이었으며, 붕어 체내에 축적된 PCDDs, PCDFs 및 DL-PCBs를 모두 합한 ${\sum}$dioxins은 평균 0.39 pg TEQ $g^{-1}$ wet wt., 중앙값 0.14 pg TEQ/g wet wt., 그리고 농도 범위는 0.047-1.0 pg TEQ/g wet wt.으로 나타났다. PCDDs 및 PCDFs는 일부 시료에서 검출된 반면, DL-PCBs는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sum}$dioxins에 대한 기여도가 83.6%로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PCDFs와 PCDDs가 각각 ${\sum}$dioxins의 12.7%와 3.7%를 기여하고 있었다.

Pseudomonas sp.에 의한 DL-Iactonitrile로부터 D-lact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D-Lactic Acid from DL-Lactonitrile by Pseudomonas sp.)

  • 김현수;황인균;정남현;방원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3-379
    • /
    • 2002
  • Nitrile 비대칭 가수분해효소를 지닌 미생물을 이용하여 DL-lactonitrile로부터 D-lactic acid를 생산하기 위하여, DL-acetonitrile을 효소유도제로 이용할 수 있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균주들 중 WJ-003균주가 D-lactic acid의 생산능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Pseudomonas sp.로 부분동정하였다. DL-lactonitrile로부터 D-lactic acid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반응조건을 검토하였으며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반응혼합액은 10mM의 DL-lactonitrile과 20g(wet weight)의 균체를 포함한 11의 20mM 인산완충액(pH7.0)이었으며, 이때 반응온도는 $30^{\circ}C$이었다. 또한, 18시간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0.843 g/l D-lactic acid가 생산되었고, 이때의 전환율은 93.7%,광학순도는 99.8%이었다 한편, 10mM의 DL-lactonitrile을 14시간 후에 다시 첨가했을 때 28시간에 1.64g/l의 D-lactic acid가 생산되었으며 이때의 전환율은 91.1%, 광학순도는 99.8%이었다.

DL-1-Amino Alkyl Phosphonic Acid 와 그 유도체들의 합성 (ll) (Synthesus of DL-1-Amino Alkyl Phosphonic Acids and Their Derivatives (II))

  • 조경연;김덕찬;김용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275-280
    • /
    • 1971
  • Six previously unreported N-acylated-DL-1-amino alkyl phosphonic acids were prepared; N-Acetyl-DL-1-amino-3-methyl butyl phosphonic acidN-Benzoyl-DL-1-amino-2-methyl propyl phosphonic acidN-Benzoyl-DL-1-amino-3-methyl butyl phosphonic acidN-Benzoyl-DL-1-amino-2-methyl butyl phosphonic acidN-Acetyl-DL-1-amino-2-methyl propyl phosphonic acidN-Acetyl-DL-1-amino-2-methyl butyl phosphonic acidThe first four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and the last two compounds were obtained in the crude oil state. The above three DL-1-amino-alkyl phosphonic acid were synthesized from iso-valeric acid, iso-caproic acid and ${\beta}$-methyl valeric acid using Hell-Volhard-Zelinsky reaction, the condensation reaction with triethyl-phosphite and the modified Curtius Reaction. Iso-caproic acid and ${\beta$-methyl valeric acid were prepared by the conventional methods.

  • PDF

Role of Amino Acids in Production of D-amino Acid Oxidase

  • Puneet Singh;Marwaha, Satwinder-Singh;Neelam Verma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3호
    • /
    • pp.229-231
    • /
    • 2001
  • Different DL-amino acids were studied as inducers of D-amino acid oxidase (DAAO) and for their influence on the growth of Trigonopsis variabilis. DL-amino acids with non-polar side groups were found to be the befit inducers of DAAO. Maximum increase in the growth of Trigonopsis variabilis (gram dry weight per liter culfure) was observed with DL-methionine (2.39 g/l) followed by DL-serine (2.22 g/l) and DL-alanine (2.21 g/l).

  • PDF

동물(젓소)건강 Monitoring System 모델 개발 IV. 혈액 성분의 생화학적 위해요소 분석 (Development of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Model IV. Analysis of Risk Factors in Biochemical Part)

  • 김곤섭;김종수;최민철;라도경;김용환;김충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8-31
    • /
    • 2000
  • An animall health monitoring system in Gyeongnam area(near Chinju) was studied to analysis of biochemical risk factors in 617 herds. Clinical serum factors such as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GO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GPT), Ca, P, Mg, glucose, and cholesterol were measured with automatic biochemical analyzer(Ra-X7T Techmmicon, USA). In serum analysis, 613 cattle were within normal llimits(GOT: 9.5-85 IU-dl, GPT: 25-77IU/dl, total protein: 5.8-8.5g/dl, Ca: 4.2-12.4mg/dl, P: 4.6-9.7mg/dl, Mg: 1.5-3.0mg/dl, glucose: 48-120mg/dl, Cholesterol: 70-170mg/dl), the other cattle showed high glucose and high cholesterol level. It is proposed that clinical serum factors to be estimated may be valuable for developing of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model.

  • PDF

Chitosan 고정화 Aminoacylase 를 이용한 DL 아미노산의 광학적 분할에 관한 연구 : 고정화 Aminoacylase의 성질 및 반응성 (Studies on the Optical Resolution of DL-Amino Acids by Aminoacylase Immobilized on Chitosan: Properties and Reactivity of Immobilized Aminoacylase)

  • 이상현;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7-552
    • /
    • 1988
  • 고정화 aminoacylase의 N-ac D Met N-ac DL Try 및 N-ac DL Phe에 대한최적 pH는 각각 8.0, 7.0, 7.5이었고. pH 안정성은 가용성 효소에 비해 감소하였다. 고정화 효소의 열 안정성은 가용성 효소와 별 차이가 없었고, 최적온도는 $45^{\circ}C$ 이었다. 그리고 고정화 효소는 N-ac DL Met N-ac DL Try, N-ac DL Phe의 농도가 각각 0.05, 0.03 및 0.05M일 때 반응속도가 최대였으며, 기질에 의한 효소 활성의 저해는 없었다. 0.05M N-ac DL amino acids를 고정화 aminoaclyase column에 연속반응 시킨 결과 공간속도 2.0까지는 100%의 가수분해율을 보였다. 그리고 고정화 효소 Column의 조작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Column의 반감기는 24.6일 이었다. 연속반응의 유출물로 부터 분리한 L-amino acids의 이론치에 대한 수율은 L-Met이 57%, L-Try 52%, L-Phe이 52% 이었고, 회수한 반응 산물의 비선광도와 융점은 표준 아미노산 보다 절대치가 약간 낮았다.

  • PDF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OWL 온톨로지를 추출하기 위한 SPARQL-DL 프로세서 (SPARQL-DL Processor to Extract OWL Ontologies from Relational Databases)

  • 최지웅;김명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9-4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RDB로부터 가상적 변환에 의해 생성되는 OWL 온톨로지의 질의 응답을 위하여 OWL을 위한 질의어인 SPARQL-DL의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SPARQL-DL 프로세서는 입력된 SPARQL-DL 질의문을 내부에서 SQL 질의문으로 변환하여 실행시킨다. 이러한 질의 처리 방식은 두 가지의 장점이 있다. 첫째, RDB로부터 생성된 OWL 온톨로지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소가 요구되지 않는다. 둘째, 대용량 ABox 추론에 문제점을 나타내는 Tableau 알고리즘 기반의 추론기의 사용 없이도 RDB 인스턴스로부터 생성된 대용량 ABox가 서비스 될 수 있다. 본 논문의 SPARQL-DL 질의문으로부터 SQL 질의문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은 RDB와의 연결 수립에 따른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입력된 하나의 SPARQL-DL 질의문이 하나의 SQL 질의문으로 변환되도록 설계되어있다.

일부 농촌 성인남녀의 아연, 구리, 철분의 섭취량, 혈액수준, 뇨중 배설량과 혈청지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s, Serum Levels, Urinary Excretions of Zn, Cu, Fe and Serum Lipids in Korean Rural Adults on Self-Selected Diet)

  • 이주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10호
    • /
    • pp.1112-1120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s, blood levels, and urinary excretions of zine, copper, and iron and serum lipids in 30 healthy adults living in Korean rural area. Analyses for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subjects were performed by 3-day intake recored, duplicated diet collections, 24-hour urine collection, and venous blood sampling before measuring of blood pressure. The daily intakes of zinc, copper, and iron estimated for 3 days were 8.2mg, 3.0mg, and 12.7mg in men and 8.4mg, 3.7mg, and 12.3mg in women, respectively. The serum contents of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were 165.9mg/dl, 119.4mg/dl, and 43.7mg/dl in men and 154.1mg/dl, 88.2mg/dl, and 47.1mg/dl in women, respectively. The serum levels of zine, copper, and iron were 146.0ug/dl, 120.3ug/dl, and 131.1ug/dl in men and 140.6ug/dl, 117.3ug/dl, and 112.2ug/dl in women, respectively. In the relation between dietary intakes, serum levels, and urinary excretions of these minerals,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zine intake and copper intake(p<0.05), copper intake and urinary excretion(p<0.001), and iron intake and serum zine level(p<0.05). In the relation between these minerals and serum lipids, dietary zin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riglyceride(p<0.05), and serum zine/copper ratio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HDL-cholesterol (p<0.05).

  • PDF

한국의 신생아에서 선천성 대사이상 Screening에 관한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Survey on Mass Screening for Inborn Errors of Metabolism)

  • 이재상;최철석;최규순;이무주;두화선;강상훈
    • 보험의학회지
    • /
    • 제18권
    • /
    • pp.107-110
    • /
    • 1999
  • The disorders of congenital metabolic errors causing mental retardation can be prevented by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We analysed 144,000 neonatal blood samples for phenyketonuria(PKU), maple syrup urine disease(MSUD), homocystinuria(HCU) and histidinuria(HE) by bacterial inhibition method, and galactosemia(GAL) by Paigen method. In our survey, the positive were 4 samples in PKU(4mg/dl;2, 6mg/dl;1, 8mg/dl;1), 8 samples in MSUD(4mg/dl;2, 6mg/dl;2, 8mg/dl;3, 10mg/dl;1), 4 samples in HCU(4mg/dl;2, 6mg/dl;2), 4 samples in Galactosemia(4mg/dl;2, 6mg/dl;1, 8mg/dl;1), respectively. while, no one was positive in HE. The frequncy rate were 1/36,000 for PKU, HCU and GAL, 1/18,000 for MSUD, respectively. But those for HE couldn't be detected in our survey. In this study, the hightest frequency rate was 1/18,000 of MSUD, following were 1/36,000 for PKU, HCU and GAL, respectively. As results our data, it is our opinion that neonatal screening should be performed in terms of national policies for ealy diagnosis and theraph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