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N/DIP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5초

광합성 측정기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광합성 효율 측정 (Evaluation of the ETRmax in Microalgae Using the PHYTO-PAM Fluorometer)

  • 조은섭;이필용;오현주;최윤석;최양호;이삼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8호
    • /
    • pp.727-735
    • /
    • 2006
  • In this study, the PHYTO-PAM-fluorometric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ETR$_{max}$ in terms of sensitivity to DIN/DIP against 14 microalgae: Prorocentrum micans, Heterocapsa triquetra, Gymnodinium impudicum, Cymnodinium catenatum, Amphidinium caterae, Chlorella vulgaris, Chroococcus minutus, Microcystis aeruginosa, Chlorella ellipsoidea, Nannochloris oculata, Oocystis lacustris, Chroomonas salina, Gloeocystis gigas, and Prymnessium parvum. We found that P. micans, H. triquetra, and A. caterae exposed to the maximum level of DIN/DIP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ETR$_{max}$ than that of the minimum and moderate mixture. Unlikely the ETR$_{max}$, the initial slope alph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level of 60 DIN/DIP. In G. catenatum, the moderate levels of 15 and 20 in DIN/DI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TR$_{max}$ at Chl-Ch4. Gymnodinium impudicum had a higher value than that of the ETR$_{max}$ than that of dinoflagellates used in this study, ranging from 306.1 (Ch4, DIN/DIP: 10) to 520.1 (Ch4, DIN/DIP: 30). The ETR$_{max}$ value obtained from other microalgae was similar to C. impudicum at any of the ratios of DIN/DIP and channels. Consequently, the influence of offshore water current assures us of the suppression of photosynthesis and electron transport rate in dinoflagellates. Gymnodinium impudicum has not been researched in the area of red tides in Korea, but it will be enough to creat the massive algal blooms in the future because of higher potential photochemical availability.

마산만 주변 해역에서 오염인자와 해양환경변동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ollution Factors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Waters around Masan Bay)

  • 신소영;이충일;황선출;조규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9-79
    • /
    • 2004
  • 1981년부터 1998년까지 연구해역에서 COD와 DIP의 2월, 4월, 8월, 11월의 월별 분포양상은 비슷하였고, 두 항목 모두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DIN의 경우는 2월, 4월, 8월, 11월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OD값은 1990년부터 1992년까지점차 증가하다가 1993년, 1994년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마산만의 준설기간 중반부터 준설의 효과가 표층까지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DIN과 DIP의 표층 농도 변화에는 준설의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COD의 공간적인 변동에서 적조가 빈발하였던 연도가 그렇지 않았던 연도에 비해 높은 COD농도의 분포가 마산만 밖으로 확장되어 있었고, 준설에 의한 COD값의 뚜렷한 변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DIN농도의 공간적인 분포 양상을 살펴보면 마산만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오염이 점차 확장되었다. 마산만의 가장 안쪽 지점이 일정한 경향이 없이 높은 DIN농도를 유지하였으며, 내만 유역에 마산만의 오염원이 집중되어 있고, 마산만 유역에서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가 계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었다. DIP농도의 공간적인 분포에서도 마산만 준설이 DIP의 표층 농도 변화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량과 COD, DIN, DIP 농도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적조발생일수와 COD 농도 사이에는 0.66의 대체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

영산강 하구해역에서의 단순 박스모델에 의한 물질수지 (Material Budgets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with Simple Box Model)

  • 이경식;전수경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8-254
    • /
    • 2009
  • 영산강 하구해역에서 계절별로 물질순환과 영양염 플럭스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순 박스모델을 이용하여 담수수지, 염분수지, 영양염 물질수지를 산정하였다. 외해, 시스템영역으로 유입되는 계절적 평균담수의 양은 $36.481{\times}10^6{\sim}663.634{\times}10^6m^3/month$로 나타났다. 염분수지에 의해 계산된 담수존재량은 $2.515{\times}10^6{\sim}5.812{\times}10^6m^3$이었고 평균 체류시간은 0.26~2.03일로 계산되었다. 평균체류시간은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강우가 집중된 하계 풍수기에는 0.26일의 짧은 체류시간을 보인 반면 추계 갈수기에는 2.03일의 평균체류시간을 나타내었다. 해수교환량은 $1,248{\times}10^6{\sim}9,489{\times}10^6m^3/month$으로 하계 풍수기에 해수교환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영양염의 부하량은 DIP과 DIN가 각각 2.9~61.22 ton/month, 76.63~1,149.91 ton/month로 계산되었다. 영양염의 체류시간은 DIP의 경우 0.45~1.10일의 범위를, DIN의 경우 0.28~1.92일의 범위를 보였고, 담수체류시간과 비교하면 DIP과 DIN는 하계를 제외한 전 계절에서 담수 체류시간 보다 짧은 체류시간을 보여 영양염이 빠르게 순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DIP는 동계에 외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이고 같은 시기에 해수교환에 의한 플럭스가 시스템 영역내로 유입되는 결과를 보여 외부 유입원 존재를 추정하게 하였다.

  • PDF

물질순환모델을 이용한 제주항의 수질관리(III) - 오염부하의 정량적 관리 - (Water quality management of Jeiu Harbor using material cycle model(III) - Quantitative Management of Pollutant Loadings -)

  • 조은일;강기봉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7-317
    • /
    • 2003
  • In this study, the material cycle model was applied to suggest alternativ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for Jeju Harbor. The distribution of COD, D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and DIP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concentrations was reasonably reproduced by simulations on the model area of the Jeju Harbor using a material cycle model. The simulations of COD, DIN and DIP concentrations wer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20∼100% pollution loadings reductions from pollution sources. In case of the 100% reduction of the input loads from Sanzi river, concentrations of COD, DM and DIP were reduced to 39%, 78% and 52%, respectively at Jeju harbor. In contrast, in case of the pollutant loadings reductions from sediment, the effect of DIN and DIP reduction relatively seemed to increase around the center of study area. The 95% reduction of the pollutant loadings from river and sediment is required to meet the COD and nutrients concentration of second grade of ocean water quality criteria.

BOX 모델을 이용한 금강 하구해역의 물질수지 산정 (Estimation of material budget for Keum river estuary using a Box Model)

  • 김종구;김동명;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76-90
    • /
    • 2000
  • 물질수송 해석을 위한 박스모델 형태의 물질수지모델을 이용하여, 주변의 많은 환경적 변화 요인을 내재하고 있는 금강하구를 대상으로 계절별 영양염 물질순환 특성을 평가하였다. 담수 유입 및 유출은 계절에 따라 약 4~14배의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물수지에 의한 담수유 출량은 1.014×10/sup 8/~12.566×10/sup 8/m³/month로 나타났으며, 담수유출량의 99.7%가 하천수의 유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수지에 의해 계산된 담수존재량은 0.339×10/sup 8/~0.652×10/sup 8/m³이었고, 평균체류시간은 1.6~10.0일, 해수교환시간은 2.2~11.9일로 계산되었다. 평균체류시간은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강우집중시기인 하계 풍수기에는 1.6일의 짧은 체류시간을 보인 반면 동계 갈수기에는 10.0일의 평균체류시간을 나타내었다. 영양염 수지로 계산된 DIP의 유입flux의 범위는 5.57~32.68ton/month이었고, DIN 유입flux는 234.93~2,373.39ton/month로 계산되었다. 영양염의 체류시간을 보면, DIP의 경우 1.1~6.4일의 범위를, DIN의 경우 1.8~10.9일의 범위를 보였고, 담수체류시간과 비교하면, DIP는 0.39~2.31배, DIN은 0.83~l.13배를 나타내었다. DIP의 경우 하계를 제외한 전 계절에서 담수 체류시간보다 짧아 DIP가 빠르게 순환되었으나, DIN의 경우 하계와 동계에 담수체류시간보다 긴 순환비를 보여 영양염이 축적됨을 알 수 있다.

  • PDF

육상축양장 배출수 처리에 의한 가막만의 수질개선 시뮬레이션 (A Simulation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the effluent treatment of landbase-seawater culture system in the Kamak bay)

  • 김동명;장주형;조현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4-59
    • /
    • 2003
  • 육상축양장 배출수 처리에 의한 대상해역의 수질개선 효과를 산정하기 위하여 생태계 모델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가막만에서의 잔차류 패턴은 해수가 출입하는 북쪽의 협수도에서는 남향류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쪽 만구부에서는 동향류가 우세하며 시계방향의 환류가 강하게 나타났다. 9개 정점 표층에서의 DIP, DIN과 COD 농도의 지점별 계산치와 관측치를 비교한 결과 DIP의 경우 상대오차는 평균 14.3%, DIN은 평균 25.8% 그리고 COD는 평균 14.4%였다. DIP, DIN과 COD 모두 오염부하의 영향이 큰 만의 북서쪽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육상축양장 배출수의 오존처리 시스템 처리효율을 DIP 90%, DIN 80% 그리고 COD 60%로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DIP의 경우는 9개 정점에서 34.4~54.0% 범위로 평균 46.4%의 수질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DIN의 수질 개선효과는 0.4~25.4% 범위로 평균 8.4%로 나타났다. 그리고 COD는 만 전체적으로 농도가 감소하여 수질환경기준 I등급 영역이 확장되었으며, 9개 정점에서 15.6~29.4% 범위로 평균 22.7%의 수질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Seasonal Variation in Mokpo and Wando Costal Areas

  • Kim, Woo-Hang;Lee, Young-Sik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9-273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and phytoplankton. This study was done by the comparison to two costal areas Mokpo, which inflow fresh water, and Wando. In August, salinity of the sea water decreased by 3.5-4.5%o in Mokpo coastal area, but was not nearly decreased in Wando coastal area. This suggests a lot of fresh water inflow in Mokpo coastal area. DIN and DIP were decreased by water temperature increasing in Wando. However, in Mokpo, DIN and DIP were increased greatly during the summer season. Nitrogen was limited to a 10 NIP ratio especially during the summer season in Wando coastal area while phosphorus in Mokpo coastal area was limited with over 28 N/P ratio in all the season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between DIP and Chl.-a was 0.91 in Mokpo coastal area. On the other h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between Chl.-a and DIN, DIP were 0.93 and 0.89, respectively, in Wando coastal area. These results suggest DIP in Mokpo and DIN and DIP in Wando might be limited at the increase of phytoplankton.

방사무늬김 황백화 발생에 해양환경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a discoloration outbreak of Pyropia yezoensis)

  • 이상용;김영희;이지은;유현일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535-544
    • /
    • 2019
  • 김 황백화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김양식장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양식환경 특성과 황백화 피해 엽체의 형태 및 세포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금강 하구역에 위치한 개야도에서는 황백화가 확인되지 않았고 새만금방조제 주변의 도청리, 비안도, 무녀도와 선유도에서 황백화가 발생하였다. 김의 황백화 피해는 2011년 11월, 2014년 4월과 11월에 확인되었으며, 황백화 피해 엽체는 엽체 퇴색과 세포 내 액포 비대가 발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황백화는 DIN과 DIP의 농도가 각각 5 μM와 0.4 μM 이하에서 발생하였다. 용존무기질소(DIN)와 용존무기인(DIP)의 비를 통해 결핍된 용존무기영양염을 확인한 결과 DIN 결핍은 양식 초기, 낮은 DIP 농도는 양식 말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성만 수질의 장기변동 특성 (Characteristic of Long Term Variation of the Water Quality at the Waters of Goseong bay)

  • 권정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9-287
    • /
    • 2010
  • 고성만 해역의 수질 특성 및 정체성을 알기 위해 1987년~2009년간의 만내 1개 정점에 대한 표.저층 수질에 대한 장기관측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성만 해역의 수질은 chlorophyll-a, DIP, DIN을 기준으로 중영양(Mesotrophic) 단계이고,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기준으로 해역등급 2등급으로 볼 수 있어, 고성만은 만내에 유입된 물질수지의 확산이 비교적 더딘 폐쇄성 내만임에도 불구하고 수질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기간 전 기간에 걸친 수질성분에 대해 이동평균 시계열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한 결과 고성만 해역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용존무기인(DIP)은 축적되고, 용존무기질소(DIN)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고성만 해역의 식물성플랑크톤 성장의 제한인자는 용존무기질소(DIN)이고, chlrophyll-a의 농도는 8월의 $4.60{\mu}g/L$로 가장 높았다. 계절 평균 및 계절지수는 11월이 가장 높아 고성만의 영양염 수지는 담수 등에 의한 외부유입보다 만의 내부 즉 수산생물의 대량 양식 및 저층 퇴적물에서의 용출 등이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따라서 고성만 해역의 수질 또는 해역 관리를 위해서는 목적에 따라 동 해역의 용존무기인(DIP), 용존무기질소(DIN) 등의 영양염 수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군산 연안 해역에서의 부영양화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utrophication control in coastal area of Gunsan)

  • 김종구;정태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9호
    • /
    • pp.957-966
    • /
    • 2003
  • Gunsan coastal area is one of region increasing pollution problems. To improve water quality, the reduction of these nutrients loads should be indispensible. In this study, the three-dimensional numerical hydrodynamic and ecosystem model were applied to analyze the processes affecting the eutrophication. In field survey,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DIP) at surface waters were found to be 0.43mg/$\ell$ and 0.03mg/$\ell$ respectively, which were exceeding second grade of water quality criteria. In hydrodynamic modelling, the comparison between the simulated and observed tidal ellipses showed fairly good agreement. The ecosystem model was calibrated with the observed data in study area. The simulated results of DIN were fairly good coincided with the observed values within relative error of 32.39%, correlation coefficient(r) of 0.99. In the case of DIP, the simulated results were fairly good coincided with the observed values within relative error of 24.26%, correlation coefficient(r) of 0.82. The simulations of DIN and DIP concentrations using ecosystem model wer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20∼80% reductions for pollutant loading. At simulation results, concentration of DIN and DIP were reduced to 20∼80% and under 10% in case of the 80% reduction of pollutant loading,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