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HA%28docosahexaenoic acid%29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황소개구리에서 추출한 지방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pids Extracted from Bullfrogs)

  • 황금택;홍진선;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51-35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 Shaw)가 불포화지방산의 주요 공급원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황소개구리에서 지방을 추출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황소개구리의 다리와 몸통에는 1%(w/w)이하의 지방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계절에 따른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황소개구리 다리에서 분리한 지방에는 26~31%(w/w) 포화지방산, 16~24% 모노엔산, 30~40%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몸통에서 분리한 지방에는 23~28% 포화지방산, 29~44% 모노엔산, 16~30%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황소개구리에서 추출한 지방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이었다. 다리에서 분리한 지방에는 3~8% eicosapentaenoic acid(EPA)와 6~10% docosahexaenoic acid(DHA)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몸통에서 분리한 지방에는 1~3% EPA 와 DHA가 각각 함유되어 있었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esophilic Arthrospira maxima Strain Capable of Producing Docosahexaenoic Acid

  • Hu, Hongjun;Li, Yeguang;Yin, Chuntao;Ouyang, Yex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7호
    • /
    • pp.697-702
    • /
    • 2011
  • A strain of the cyanobacterium Arthrospira was isolated from Lake Chahannaoer in northern China and was characterized according to microscopic morphology, photosynthetic oxygen-evolving activity, growth rate, and nutritional profile. Compared with thermophilic Arthrospira species occurring naturally in tropical and subtropical lakes, this isolate is mesophilic and grows optimally at ${\sim}20^{\circ}C$. The total protein, fatty acid, phycocyanin, carotenoid, and chlorophyll a contents were 67.6, 6.1, 4.32, 0.29, and 0.76 grams per 100 grams of dry weight, respectively. The strain is rich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An essential omega-3 fatty acid, docosahexaenoic acid (DHA), was detected, and ${\gamma}$-linolenic acid (GLA) and DHA accounted for 28.3% of the total fatty acid content. These features of this newly isolated strain make it potentially useful in commercial mass culture in local areas or as a biofuel feedstock. It is also an alternative resource for studying the metabolic PUFA pathways and mechanisms of cold stress tolerance in cyanobacteria.

DHA가 풍부한 어유가 새끼쥐의 뇌발달과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HA-Rich Fish Oil on Brain Development and Learing Ability in Rats)

  • 정경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3호
    • /
    • pp.267-277
    • /
    • 1996
  • Effect of DHA-rich fish oil on brain development and learning ability has been studied in Sprague Dawley rats. Female rat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either corn oil fish oil at 10%(w/w) level throughout the gestation and lactation. Corn oil was added in fish oil diet to supply essential fatty acid at 2.3% of the calories. All male pups were weaned to the same diets of dams at 21-days after birth. Plasma fatty acid composition was analyzed for dams and pups at 21-days, 28-days and 22-weeks after birth. The analysis of DNA and fatty acid profile in the brain were undertaken at birth, 3, 7, 14, 21, 28 days and 22 weeks after birth and learning ability was tested at 18-20 weeks of age. Regardless of dietary fats, arachidonic acid(AA) and docosahexaenoic acid(DHA) were the princip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brain. Rats fed CO diet showed a continouus increase of AA content in the brain from 10.9%(at birth) to maximum 15.3% level (14-days old), while the rars fed FO diet showed 78-79% of CO group throughout the period. Rats fed FO diet showed higher incorparation of DHA from 15.2% at birth to a maximum level of 18.5% at 140days, while the rats fed CO diet showed only 7.0% incorporation of DHA at birth and a maximum level of 11.1% at 21-days. Compared to CO group, FO group showed lower ratio of chol/PL and higher content of DHA in brain microsomal membrane, resulting in better membrane fluidity. Total amount of DNA per gram of brain was reached maximum level at 21 days in both groups. This would be a period of the cell proliferation during brain development. Overall, the rats fed fish oil diet showed a higher incorporation of DHA and membrane fluidity in the brain and better learning performances (p<0.05).

  • PDF

수유기에 식이와 함께 섭취한 DHA가 산모의 혈액과 모유의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HA Supplementation in Maternal Diet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Plasma Lipids and Human Milk)

  • 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2호
    • /
    • pp.213-222
    • /
    • 1996
  • The most abundant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 in brain lipids is docosahexaenoic acid(C22 : 6 N-3, DHA). It is incorporated into nerve tissues mostly in utero and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DHA in brain is derived from either pre-formed DHA in human milk or by infant hepatic synthesis from linolenic acid in milk.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HA supplementation on fatty acid profiles in maternal plasma lipid and breast milk. Twenty lactating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Seven women took 3g of fish oil per day and vitamin E for 28 days starting from the day of giving birth. Five women consumed 1.5g of fish oil as well as tivamin E, and the rest took vitamin E supplements for the same period of time. Dietary questionnaires and 3 consecutive 24-h recalls were collected to evaluate theri nutritional status and food habits. Finding that DHA intake from fis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experimental groups, the partcipants were instructed to continue eating their usual home diets. Milk samples were taken on the day of giving birth, as well as the 7th, 14th and 28th day being the supplement phase, and finally 2 weeks after the cessating of DHA supplements. The amounts of the fish oil supplements produced significant dose-dependent increased in the DHA content of milk and plasma, but to a lesser degree. Base-line for 28 days raised the level to 2.05$\pm$0.43% and 1.5g/day supplement produced DHA levels of 1.02$\pm$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relatively small amount of dietary DHA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elevats DHA content in milk. This would clearly elevate the infant's DHA intake which in turn may have implications for the infant's brain development.

  • PDF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fat-soluble nutrients and phospholipids in seven types of commercial infant formulas

  • Tae Yong, Ahn;Jung-Ah, Sh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771-786
    • /
    • 202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fat-soluble nutrients (tocopherols, retinol, carotenoids, fatty acids, and cholesterol) and phospholipids (PLs) in seven types (imported SPA, SPS, SFS, and SSI; and domestic MLM, MPM, and NIX) of commercial infant formulas (IFs). The contents of tocopherol and retinol activity equivalent (RAE) in the seven IFs were 1.42 - 3.86 mg α-TE·100 kcal-1 and 64.90 - 144.95 ㎍ RAE·100 kcal-1, respectively. The imported IFs contained high contents of lutein + zeaxanthin (29.68 - 32.49 ㎍·100 g-1) and lycopene (71.80 - 93.28 ㎍·100 g-1), while the domestic IFs did not contain lycopene. The contents of linoleic acid (C18:2) and α-linolenic acid (C18:3) in the seven IFs were also within the recommended ranges (C18:2, 300 - 1,400 mg·100 kcal-1 and C18:3, over 50 mg·100 kcal-1) of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ratio of arachidonic acid (ARA, C20:4)/docosahexaenoic acid (DHA, C22:6) was 2.42 - 2.74 in the imported IFs and 0.96 - 1.08 in the domestic IFs. However, the DHA content of the domestic IFs (0.37 - 0.65 g·100 g-1 fat%)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imported IFs (0.16 - 0.18%). Total PL contents were 108.02 - 135.93 mg·100 kcal-1 for the domestic IFs and 6.05 - 66.70 mg·100 kcal-1 for the imported IFs. The main PLs of the domestic IFs were phosphatidyl choline (48.5 - 71.1% of total PLs), phosphatidyl ethanolamine (12.8 - 23.1%), phosphatidyl serine (7.0 - 11.6%), and sphingomyelin (4.3 - 21.5%).

장기간에 걸친 DHA 보충이 영아의 신체발육 및 두뇌발달에 미치는 영향 (Long-Term Effects of the DHA Supplementation on Physical and Brain Development in Full-Term Infants)

  • 정현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8호
    • /
    • pp.1295-130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정상으로 출생한 영아를 대상으로 DHA가 첨가된 분유 및 이유식을 섭취시켰을 때 영아의 신체발육 및 두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영아의 체중, 신장, 체위 , 두위 등 신체 발육은 소 아발육 기준치의 50th percentile에 해당하였으며.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2) 혈중 총 지방질 농도는 470.4~542.9mg/dl,중성 지방은 107.0c-128.8mg/dl,총콜레스테롤 147.6-169.Omg/dl, LDL-콜레스테롤은 74.7~104.9mg/dl로 모 두 정상범위에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영아의 혈중 지방산 수준을 살펴본 결과 식이 섭취 에 따른 군간의 DHA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적혈구내의 D DHA는 Breast十DHA(+) 군에서 5.26%. DHA(+ 군에서 4.20%, Breast +DHA( -) 군에서 3.98%. 그리고 DHA(-) 군에서 2.85%로 섭취에 따라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AA는 7.1O~8.93의 수준으로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총 n-3계 지방산은 5.82~7.75%. 총 n-6계 지방산은 27.62~30.29%의 수준으로 역시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영아의 두뇌 발달 생태를 flash VEP 검사를 통하여 실시한 결과 모든 군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자극에 대해 가장 빨리 반응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잠복기 $N_1$ 와 경우, 오른쪽 눈이 82.8~89.8ms, 왼쪽 눈이 84.8~94.4ms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자극에 반응하는 증폭 $N_1-P_2$의 경우는 오른쪽 눈은 $-11.5~-18.3\mu\textrm{V}$, 왼쪽눈은 $-11.2~-19.1\mu\textrm{V}$, 의 수준을 나타냈다. 5) 생후 48주에 영아와 지능발달과 행동발달을 살펴 본 결과 지능 발달지수는 90.3~96.3로 정상수치라고 할 수 있는 $100\pm16$ 범위에 속하였다. 행동발달지수의 경우에도 93.9~101 수준으로 지능발달지수와 마찬가지로 정상범위에 속하였고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가다랑어 자숙액, 혈합육, 두부 및 내장의 유효성분 (Available Components of Cooking Drips, Dark Muscle, Head and Raw Vicera from Skipjack)

  • 최영준;김인수;이근우;김근배;이남걸;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01-708
    • /
    • 1996
  • 가다랑어 부산물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성과 해산어 사료원으로서의 가치를 판단할 목적으로 자숙액, 자숙 혈합육, 해동 된 내장 및 자숙 두부를 시료로 택하여 일반성분, 총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조성, 지방산 조성과 핵산관련물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분의 함량은 자숙액, 내장, 혈합육, 두부의 순으로 낮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혈합육이 $26.6\%$로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조지방은 가다랭이 두부가 가장 높은 $8.5\%$였으며, 내장과 혈합육은 거의 비슷한 $6.1\%$$6.8\%$였다. 2. 자숙액의 총아미노산 중 비교적 많은 아미노산은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 그리 고 histidine으로 총아미노산의 $53\%$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혈합육, 내장 및 두부의 중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그리고 leucine으로서 부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자숙액, 혈합육, 내장 및 두부의 유리아미노산 양은 각각 543.7mg/100mL, 1429.7mg/100g, 5397.5mg/100g, 594.9 mg/100g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부위에 따라 조성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합육과 두부의 중요 아미노산은 taurine, histidine, anseriene 이었다. 한편 내장은 몇가지 아미노산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고른 아미노산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특히 혈합육은 다른 시료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histidine, anserine 및 carnosine을 포함하고 있었다. 5. 혈합육, 내장 및 두부의 포화지방산은 $46.21\%,\;43.69\%,\;50.24\%$, 모노엔산은 $18.07\%,\;28.87\%,\;24.58\%$, 폴리엔산은 $35.74\%,\;27.80\%,\;25.14\%$였다. 혈합육의 총지 방산은 DHA, palmitic acid, stearic acid의 순으로 함유 비율이 높았으나, 내장과 두부는 palmitic acid, DHA, oleic acid의 순으로 함유 비율이 높았다. 6. 혈합육, 내장 및 두부에서 ATP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inosine과 hypoxanthine의 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내장의 hypoxanthine의 양은 혈합육의 4배, 두부의 3배에 해당하였다.

  • PDF

출하 일령에 따른 오리육의 수율, 물리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 변화 (Effect of Rearing Period on Yield Rate, Phys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Duck Meats)

  • 채현석;유영모;안종남;김동훈;함준상;정석근;이종문;최양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04-309
    • /
    • 2005
  • 본 연구는 오리육의 출하 일령(45, 70일)에 따른 수율 및 물리적 특성,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45일령 오리육의 100수에 대한 평균체중은 2.2kg이었고, 현재 가장 많이 소비되는 2.1 kg 대의 대분할 부분육 수율은 통 다리가 $14.1\%$, 통 날개 $8.7\%$, 통 가슴 $12.5\%$로 통 다리와 통 가슴의 비율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소분할은 북채 $6.8\%$, 넓적다리 $7.3\%$, 가슴살 $11.7\%$, 안심 $0.8\%$로 나타났고, 날개 $2.6\%$, 봉 $4.9\%$로 날개보다는 봉이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지방산에서 oleic acid(C18:1, n9) 조성은 가슴육이 $50.87\~51.32\%$, 다리육 $49.84\~50.03\%$로 가슴육에서 $1.03\~1.29\%$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사육 일령에 따른 가슴부위의 Oleic acid의 조성은 45일에서 70일령으로 증가함에 따라 50.87에서 $51.32\%$로 높아졌다. Docosahexaenoic acid(C22:6, n3, DHA)는 가슴육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다리육에서 $0.13\~0.28\%$로 미량이 검출되었다. 육색에서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은 가슴부위에서 $16.67\~17.92$를 나타내었고 다리부위는 $15.81\~17.15$로 가슴 및 다리육의 적색도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육일령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가열 감량은 가슴육에서 $26.37\~28.79\%$이고 다리육은 $30.32\~31.32\%$로 다리육에서 가열감량이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육일령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전단력은 가슴육에서 45일령이 $2.20\;kg/0.5inch^2$, 70일령 $2.84\;kg/0.5inch^2$로 사육일령이 증가함에 고기의 연도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한우육 및 돈육의 부위별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Fat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Beef and Pork)

  • 장혜림;박서연;이종헌;황명진;최용민;김세나;김진형;황진봉;서동원;남진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03-7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식육인 한우육 10부위(안심살, 등심살, 채끝살, 목심살, 앞다리살, 부채살, 우둔살, 차돌박이, 아롱사태, 갈비살)와 돈육 10부위(안심살, 등심살, 목심살, 앞사태살, 항정살, 뒷사태살, 홍두깨살, 삼겹살, 갈매기살, 갈비살)의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을 측정하여 부위에 따른 차이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각종 부위별 지방 및 지방산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우육의 지방 함량은 5.25~35.94%로 우둔살이 가장 낮은 함량을, 차돌박이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C16:0)와 stearic acid(C18:0),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C18:1, n-9)가 주요 지방산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oleic acid가 지방산 중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가장 유사한 지방 함량을 보인 부위는 등심살과 갈비살이었으나 지방산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채끝살에는 오메가-3 지방산인 linolenic acid(C18:3, n-3)가 100 g당 38.63 mg이, 갈비살에는 오메가-6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 n-6)가 100 g당 564.71 mg이 함유되어 있어 부위 중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채끝살, 부채살 및 갈비살에는 다른 부위에 검출되지 않은 arachidonic acid(C20:4, n-6)가 존재하였으며, 그 함량은 갈비살(2.50 mg/100 g)> 채끝살(1.33 mg/100 g)> 부채살(1.19 mg/100 g)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우둔살의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다른 부위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P<0.05),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차돌박이($1.83{\pm}0.02$)가 가장 높고 앞다리살($1.03{\pm}0.00$)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돈육의 지방 함량은 4.16~18.47%로 삼겹살이 가장 높고 안심살이 가장 낮았으나 안심살, 등심살, 앞사태살, 뒷사태살, 홍두깨살의 지방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삼겹살에는 다양한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등심에는 검출되지 않은 지방산이 많았다. 그러나 미엘린의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ervonic acid(C24:1)는 오직 등심에서만 검출되었다. 삼겹살에는 다른 부위에 검출되지 않은 docosahexaenoic acid(DHA, C22:6, n-3)가 존재하였다. 돈육의 10부위 중 앞사태살과 뒷사태살, 홍두깨살은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이 가장 유사하였으며, 같은 앞다리라도 앞사태살과 항정살의 지방산 함량에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돈육의 총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삼겹살(143.58 mg/100 g)> 항정살(127.86 mg/100 g)> 목심살(101.36 mg/100 g)> 갈비살(94.91 mg/100 g)> 갈매기살(86.68 mg/100 g)> 안심살(29.57 mg/100 g)> 뒷사태살(27.97 mg/100 g)> 홍두깨살(27.49 mg/100 g)> 앞사태살(25.98 mg/100 g)> 등심살(15.45 mg/100 g)의 순서로 확인되었으며,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뒷사태살이 2.01로 가장 높고 갈매기살이 1.28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 한우육과 돈육 각 10부위에 대한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은 부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부위별 지방 및 지방산 함량과 조성의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강 추출물의 어유에 대한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Ginger Extracts on Fish Oil)

  • 변한석;윤호동;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7-332
    • /
    • 1986
  • 천연항산화제의 유효이용을 위하여, 생강으로부터 추출한 산항화성물질을 정어리유에 첨가하여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 산가, TBA가, 중량변화 및 지방산조성 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여 그 항산화성을 검토하였다. 1. 저장중 과산화물가의 변화에 있어서, 생강의 $80\%$ ethanol 추출구와 지용구는 10일 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수용구는 25일 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2. 저장중 TBA가의 변화는 수용구가 10일 째까지 완만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 비교적 빠른 속도로 증가한 반면 $80\%$ ethanol 추출구와 지용구는 초기부터 비교적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3. 저장중 산가의 변화에 있어서 대조구는 10일째부터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수용구는 30일 째까지 완만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4. 저장중 중량변화에 있어서 대조구는 15일 째까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는데 $80\%$ ethanol 추출구는 20일 째 약 $3.5\%$, 지용구는 $1.7\%$, 증가한 반면 수용구는 약 $0.5\%$ 증가하였다. 5. 저장중 지방산조성을 살펴보면 저장초기에 포화산은 약 $41.4\%$ 이었으며 $C_{14:0}$가 약 $9\%$, $C_{16:0}$$28.9\%$로서 포화산의 $90\%$ 이상을 차지하였고, monoene산은 $19.0\%$로서 $C_{16:1}$이 약 $9\%$, $C_{18:1}$$8.6\%$로서 monoene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polyene산은 약 $32.1\%$로서, $C_{20:4},\;C_{20:5},\;C_{20:6}$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생강의 각 추출구를 첨가한 후 저장 40일 째의 지방산조성을 살펴보면 대조구에 있어서 포화산이 약$62.2\%$이고 monoene산은 $29.0\%$, polyene산은 약$5.6\%$인데, polyene산의 경우 저장초기에 비하여 약$26.5\%$ 감소하였는데 $C_{20:4},\;C_{20:5},\;C_{22:6}$이 주감소요인으로 작용하였다. $80\%$ ethanol 추출구. 지용구 및 수용구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대조구에 비하여 모두 polyene산의 감소비율이 작았는데 특히 $C_{22:6}$의 경우 수용구의 감소비율이 가장 적었고 다음으로 지용구 $80\%$ ethanol 추출구의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