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GGE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초

남태평양에 서식하는 두 종의 해면 Hyrtios sp.와 Callyspongia sp.의 공생세균 군집의 다양성 (Bacterial Community Diversity Associated with Two Marine Sponges from the South Pacific Ocean based on 16S rDNA-DGGE analysis)

  • 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5-261
    • /
    • 2010
  • 남태평양에 서식하는 두 종의 해면 Hyrtios sp. 604와 Callyspongia sp. 612로부터 16S rDNA DGGE 방법을 이용하여 공생세균 군집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DGGE band로부터 염기서열 분석 결과, Hytrios sp. 604의 공생세균은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Chloroflexi, Cyanobacteria, Firmicutes로 나타났으며, Callyspongia sp. 612의 공생세균 그룹은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Chloroflexi, Cyanobacteria로 나타났다. 풍부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자로 보고된 Hyrtios 해면 속의 Hyrtios sp. 604는 Callyspongia sp. 612에 비해 더 다양한 공생세균 군집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공생세균 군집으로 Actionobacteria가 포함되었다. 동일 지역에 서식하나 화학적 특성이 다른 두 해면 종의 세균 군집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발견된 공생세균의 염기서열은 90% 이상이 uncultured clone들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in Bulk Soil and Rhizospheres of Aluminum-Tolerant and Aluminum-Sensitive Maize (Zea mays L.) Lines Cultivated in Unlimed and Limed Cerrado Soil

  • Mota, Da;Faria, Fabio;Gomes, Eliane Aparecida;Marriel, Ivanildo Evodio;Paiva, Edilson;Seldin, Lucy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805-814
    • /
    • 2008
  • Liming of acidic soils can prevent aluminum toxicity and improve crop production. Some maize lines show aluminum (Al) tolerance, and exudation of organic acids by roots has been considered to represent an important mechanism involved in the tolerance. However,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impact of liming on the structures of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in Cerrado soil, nor if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microbial communities from the rhizospheres of Al-tolerant and Al-sensitive maize lin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liming on the structure of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in bulk soil and rhizospheres of Al-sensitive and Al-tolerant maize (Zea mays L.) lines cultivated in Cerrado soil by PCR-DGGE, 30 and 90 days after sowing. Bacterial fingerprints revealed that the bacterial communities from rhizospheres were more affected by aluminum stress in soil than by the maize line (Al-sensitive or Al-tolerant). Differences in bacterial communities were also observed over time (30 and 90 days after sowing), and these occurred mainly in the Actinobacteria. Conversely, fungal communities from the rhizosphere were weakly affected either by liming or by the rhizosphere, as observed from the DGGE profiles. Furthermore, only a few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DGGE profiles of the fungal populations during plant development when compared with bacterial communities. Cloning and sequencing of 16S rRNA gene fragments obtained from dominant DGGE bands detected in the bacterial profiles of the Cerrado bulk soil revealed that Actinomycetales and Rhizobiales were among the dominant ribotypes.

Perchloroethylene과 Trichloroethylene의 혐기적 탈염소화 및 미생물 군집 분석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During the Anaerobic Dechlorination of Perchloroethylene and Trichloroethylene)

  • 이재원;김병혁;안치용;김희식;윤병대;오희목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1-286
    • /
    • 2005
  • 울산, 여수 등 공단지역의 토양, 하천의 저니, 해양의 준설토 둥을 이용하여 난분해성 염소화합물인 PCE (perchloroethylene)및 TCE (trichloroethylene)의 혐기성 탈염소화에 관련하는 미생물을 탐색하고 이들의 탈염소화 효율을 조사하였다. 혐기성 상호대사에 의한 탈염소화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전자공여체로 acetate를 사용하여 혐기성 회분식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병행하여 분자생물학적인 기법인 16S rDNA의 PCR-Double Gradient DGGE (DG-DGGE)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군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울산 태화강 및 여수 하남천의 저니를 접종한 경우 PCE는 $70\%,\;65\%$, TCE는 $50\%,\;45\%$의 높은 탈염소화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16S rDNA의 PCR을 이용한 DG-DGGE로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탈염소화 효율이 높은 지역의 저니에는 Desulfovibrio sup.의 미생물이 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Metagenomic Analysis of BTEX-Contaminated Forest Soil Microcosm

  • Ji, Sang-Chun;Kim, Doc-Kyu;Yoon, Jung-Hoon;Lee, Choo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668-672
    • /
    • 2007
  • A microcosmal experiment using a metagenomic technique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 of BTEX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s) on an indigenous bacterial community in a Daejeon forest soil. A compositional shift of bacterial groups in an artificial BTEX-contaminated soil was examined by the 16S rDNA PCR-DGGE method. Phylogenetic analysis of 16S rDNAs in the dominant DGGE bands showed that the number of Actinobacteria and Bacillus populations increased. To confirm these observations, we performed PCR to amplify the 23S rDNA and 16S rDNA against the sample metagenome using Actinobacteria-targeting and Bacilli-specific primer sets, respectively. The result further confirmed that a bacterial community containing Actinobacteria and Bacillus was affected by BTEX.

생물학적 질소제거 공정에서 용존산소변화에 따른 미생물의 군집변화 (Changes of Microbial Community Depending on Different Dissolved Oxygen in Biological Nitrogen Removal Process)

  • 박종일;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939-9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PCR-DGGE 기법을 이용하여 DO 농도에 따른 동시 질산화.탈질 반응조 내 미생물 군집 변화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DO 농도의 변화에 따른 eubacteria의 군집 변화 해석 실험에서, DO 농도를 2와 1 mg/L로 운전한 반응조 내의 band profile은 거의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며 5종의 우점화 미생물(Uncultured Bacterium 3종, Bacillus sp. 1종, Uncultured Bacteroidetes sp. 1종)을 포함한 16종의 미생물을 동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DO 농도 0.5 mg/L로 운전한 반응조 내의 DGGE 결과 7종의 우점화 미생물(Uncultured Bacterium 5종, Zoogloea sp. 2종)을 포함한 12종의 미생물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DO 농도 0.1 mg/L로 운전한 반응조의 경우 3종의 우점화 미생물(Uncultured Bacterium 1종, Zoogloea sp. 2종)을 포함한 11종의 미생물을 동정할 수 있었다. 반응조 내 DO 농도의 변화에 따른 $\beta$-AOB($\beta$-Ammonia Oxidizing Bacteria)의 군집 변화 해석 실험 결과, 하나의 band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 band는 Uncultured Nitrosomonas sp. done DNB Y20와 97%의 유사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 1, 그리고 0.5 mg/L의 DO 농도에서 추출한 sample에서는 선명하게 관측되었으나, 0.1 mg/L DO 농도에서 추출한 sample에서는 선명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NH$_4{^+}$-N의 질산화 양상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반응조 내 DO 농도에 따른 탈질 bacteria의 군집 변화 해석실험 결과, 다섯 개의 band(nirS를 함유하는 Uncultured organism 미생물 3종, nirK를 함유하는 Uncultured bacterium 미생물 2종)가 관측되었으며 관측된 band 중 한 band는 DO 농도가 낮아질수록 선명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band에 해당하는 미생물은 86%의 유사도를 가진 Uncultured organism clone eS1 cd1 nirS gene, partial cds로, 본 연구의 탈질 반응에 직접적으로 관여 하는 미생물로 사료된다.

황 산화를 통해 퍼클로레이트를 분해하는 미생물 군집 분석 (Analysis of a Sulfur-oxidizing Perchlorate-degrading Microbial Community)

  • 김영화;한경림;황희재;권혁준;김예림;김건우;김희주;손명화;최영익;성낙창;안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8-74
    • /
    • 2016
  • 퍼클로레이트(ClO4)는 지표수 및 토양/지하수에서 검출되는 신규 오염물이다. 이전 연구에서 저렴한 원소 황(elemental sulfur, S0) 입자와 쉽게 구할 수 있는 활성슬러지를 이용하여 독립영양방식으로 ClO4를 제거할 수 있다는 실험적 증거가 제시되었다. 또한 식종균으로서 농화배양 미생물을 사용했을 때 활성슬러지보다 제거효율과 시간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황을 산화하여 독립영양방식으로 ClO4를 분해하는 농화배양 미생물 군집을 PCR-DGGE로 분석하였다. 이 농화배양 미생물은 초기농도가 약 120 mg ClO4/l 일 때 7일 후 99.71% 이상의 ClO4- 제거 효율을 나타내었다. 농화배양 미생물과 그것의 식종균으로 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16S rRNA 유전자의 PCR-DGGE 분석에 사용하였다. PCR-DGGE 분석결과 농화배양 미생물과 식종균 시료들이 다른 밴드패턴을 나타냄에 따라 이 두 시료의 군집조성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는 농화배양되는 동안 식종된 미생물이 그 환경에 잘 생장하는 미생물로 군집조성이 변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농화배양 미생물군집에는 β-Proteobacteria, Bacteroidetes, 그리고 Spirochaetes 강에 속하는 개체군들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 우점 개체군들의 순수분리와 더불어 황 산화를 통한 ClO4 분해 환경에서 이들의 대사적 역할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DGGE 방법과 배양법을 이용한 강원지역 전통 발효 청국장에서 미생물의 다양성 분석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d Culture-based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Cheonggukjang,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 from Gangwon Province)

  • 홍성욱;임인규;김용우;신승미;정건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15-520
    • /
    • 2013
  •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청국장과 볏짚시료로부터 배양방법과 비배양방법인 DGGE를 이용한 청국장의 발효미생물 군집을 분석하였다. 배양방법에서는 미륵산농원의 볏짚과 청국장 시료에서 P. agglomerans (65%)와 B. subtilis (60%)가 우점미생물로 나타내었고, 흥업토속 청국장의 볏짚과 청국장 시료에서는 B. amyloliquefaciens (57%와 52%)가 우점미생물로 확인하였다. DGGE 분석에서는 미륵산농원의 볏짚과 청국장 시료에서 P. agglomerans (Band intensity 20.6%)와 B. subtilis (Band intensity 25.7%)가 우점미생물로 나타내었고 흥업토속 청국장의 볏짚과 청국장 시료에서는 B. amyloliquefaciens (Band intensity 27.3%, 26.4%)가 우점미생물로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볏짚에서는 Pantoea sp. Enterococcus durans, Enterobacter sp, P. ananatis, Bacillus sp., Rhodococcus sp. Pseudomonas fulva, Acinetobacter sp., B. licheniformis, B. amyloliquefaciens 등의 미생물을 확인하였고 청국장에서는 B. licheniformis, B. subtilis, Bacillus sp., B. circulans, Acinetobacter sp. 등의 미생물을 확인이 되었으며, 비배양 방법을 이용한 청국장 발효미생물 균총 조사는 배양이 불가능한 미생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류 분해 근권세균 Rhodococcus sp. 412와 옥수수를 활용한 유류 오염 토양의 정화 (Bio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Using an Oil-Degrading Rhizobacterium Rhodococcus sp.412 and Zea mays.)

  • 홍선화;박혜림;고우리;유재준;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0-157
    • /
    • 2007
  • 디젤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해 식물과 미생물의 상호관계를 활용하는 생물복원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디젤을 분해하는 근권 세균인 Rhodococcus sp. 412와 디젤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 식물인 옥수수(Zea mays)를 이용하여 디젤로 오염되어진 토양의 디젤 제거능과 미생물 군집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 개시 30일 후, 디젤 오염 토양에서 Rhodococcus sp. 412를 접종한 토양의 옥수수의 성장이 412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토양에서의 옥수수 성장보다 약간 우수하였다. 또한 식물을 식재하거나 412균주를 접종한 토양에서 존재하는 토양에서 디젤의 잔류농도도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디젤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해 옥수수와 Rhodococcus sp. 412를 동시에 활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의미한다. 토양세균 군집 변화를 16S rDNA-PCR과 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fingerprinting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비오염 토양 시료와 디젤 오염토양 시료의 DGGE fingerprint의 유사도는 $20.8{\sim}39.3%$이었다. 또한, 비오염 토양 시료 사이의 DGGE fingerprint의 유사도는 $21.9{\sim}53.6%$, 그리고 디젤 오염 토양 시료 사이의 유사도는 $31.6{\sim}50.0%$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디젤 오염으로 인해 토양 세균 군집구조가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혐기성 PCE 탈염소화 미생물 농화 배양 및 미생물 군집 해석

  • 문부영;이태호;박태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32-336
    • /
    • 2004
  • An anaerobic PCE(tetrachloroethylene) dechlorinating bacterial culture from a landfill soil was enriched and characterized. The enrichment culture could dechlorinate 60$\mu$mol/$m\ell$ of PCE during a month of incubation and cis-DCE(cis-dichloroethylene) was observed as a main product of PCE dechlorination. Microbial analysis of the dechlorinating enrichment culture by rising PCR-DGGE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method showed that at least three microorganisms were related to the anaerobic PCE dechlorination.

  • PDF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사용한 질산화유도 반응기내 군집동태변화

  • 조순자;정용주;김정철;이상준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5년도 봄 학술발표회지 제14권(제1호)
    • /
    • pp.247-248
    • /
    • 2005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조건에서 질산화를 유도한 반응기의 군집동태를 살피기 위해 RAPD, ARDRA, DGGE와 같은 기법들을 적용시켜 반응기 초기의 슬러지 구성 군집의 상태 와 질산화 유도후의 군집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1.5 kb정도의 165 rDNA를 이용한 RAPD와 ARDRA에서는 RAPD에 의한 군집 Patterns변화가 훨씬 다양했으며, 250 bP정도의 PCR산물로 분리를 시도한 DGGE에서도 비교적 예상했던 바와 같이 군집이 단순화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