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 scaveng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Modeling Study on Dispersion and Scavenging of Traffic Pollutants at the Location Near a Busy Road

  • Ma, Chang-Ji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9권4호
    • /
    • pp.272-279
    • /
    • 2015
  •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persion and scavenging of traffic-related pollutants at the locations near busy expressways is very helpful to highway planners for developing better plans to reduce exposures to air pollution for people living as well as children attending 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near roadways.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give information in the dispersion and scavenging of vehicle-derived pollutants at the region near a busy urban expressway by a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model calculations. The modified Gaussian dispersion model and the Lagrange type below-cloud scavenging model were applied to evaluate $NO_x$ dispersion and DEP (Diesel exhaust particles) wet removal, respectively. The highest $NO_x$ was marked 53.17 ppb within 20-30 meters from the target urban expressway during the heaviest traffic hours (08:00AM-09:00AM) and it was 2.8 times higher than that of really measured at a nearby ambient measuring station. The calculated DEP concentration in size-resolved raindrops showed a continuous decreasing with increasing raindrop size. Especially, a noticeable decrease was found between 0.2 mm and 1.0 mm raindrop diameter.

백자인의 6-하이드록시도파민으로 유도된 뇌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Thujae Semen against Neurotoxicity Induced by 6-hydroxydopamine in PC12 Cells)

  • 김효근;심진섭;주미선;조성훈;오명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25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Thujae Semen(TSW) in PC12 cells. Methods : We performed 2,2-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cation scavenging assay, and determination of total polyphenolic content to examine the antioxidant effects of TSW. We also carried out 3-(4,5- 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MTT), reactve oxygen species(ROS) assay, and nitric oxide(NO) assay to examine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6-hydroxydopamine(6-OHDA) in PC12 cells. Results : TSW showed $IC_{50}$ values of 404.3 and 219.9 ${\mu}g/mL$ in DPPH and in ABTS assays, respectively. TSW showed 9.74 ${\mu}g/mL$ of total polyphenol contents. TSW incresed cell viability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it showed protective effect against 6-OHDA neurotoxicity at the concentration of 25-200 ${\mu}g/mL$. Moreover, it recovered 6-OHDA induced cell death at the same concentrations. The extract showed a dose dependent reduction of ROS and NO generation by 6-OHDA. Conclusions : We concluded that TSW has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6-OHDA-induced toxicity in PC12 cells through ROS and NO inhibition.

  • PDF

윤활시스템에서 마모메카니즘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영향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the Effect of physico-chemical Factors in Wear Mechanism in a Lubricated Concentrated Contact (II))

  • 최웅수;권오관;문탁진;유영흥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4권1호
    • /
    • pp.43-55
    • /
    • 1988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additives in lubricating oil wa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 thermal activated wear theory in terms of their wear behaviours, using four ballwear machine. The sample oils, which included diethyl-3, 5-di-t-butyi-4-hydroxy-benzyl phosphonate (DEP), ZDDP and TCP additives respectively, showed distinct wear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the bulk oil temperature and the sliding velocity. The newly synthesized additive, viz., DEP showed excellent antiwear performance cornpared with the conventional additives, ZDDP and TCP.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reduced that the wear mechanism of the conventional additives, viz., ZDDP and TCP is the protective film formation and their antiwear capability is depending upon the shearing strength of the film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new additive, DEP showed that the secondary activation energy was much eliminated and so, the thermal instability was reduced by the hydrogen scavenging reaction of the new additive, which was virtually an endothermic reaction process.In conclusion, a new concept of antiwear mechanism is estabilished and testified. And new chemical, which showed the function of hydroge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role, is synthesized and introduced as the new, highly antiwear effective lubricating oil additive.

반룡환의 흰쥐태아중뇌에서의 도파민세포 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Banryong-hwan in Primary Rat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 주미선;김효근;심진섭;오명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3-60
    • /
    • 2008
  • Objectives : Oxidative stress has a critical role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e ethanolic extract of Banryong-hwan (BRHE) in SH-SY5Y cells and primary rat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Methods : To assess the antioxidant effects, we carried out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and determination of total polyphenolic content. We evaluated the effect of BRHE treatment on neuroprotection against 6-hydroxydopamine(6-OHDA) toxicity using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MTT) assay, nitric oxide(NO) assay, reactive oxygen species(ROS) assay in SH-SY5Y cells and tyrosine hydroxylase(TH) immunocytochemistry in primary rat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Results : BRHE showed IC50 values of 328.10 ${\mu}g/mL$ and 43.12 ${\mu}g/mL$ in DPPH assay and in ABTS assay,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ic content was 180.76 ${\mu}g/mL$. In SH-SY5Y cells, BRHE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toxicity induced by 6-OHDA at the concentrations of 25-100 ${\mu}g/mL$ pre- and post- treatment in MTT assay. While 6-OHDA increased the NO and ROS contents, BRHE decreased them in a dose dependent manner. Moreover, in primary dopaminergic neuron culture, BRHE significantly protect-ed the dopaminergic cell loss against 6-OHDA toxicity up to 136% at the concentration of 75 ${\mu}g/mL$.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RHE has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6-OHDA induced neurotoxicity through decreasing NO and ROS generation.

  • PDF

건조방법과 감마선 조사에 따른 포도가공부산물의 색상 변화 및 항산화활성 (Effect of Drying Methods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Color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By-Products)

  • 조지은;육홍선;김경희;백종연;문영자;박성진;장순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26-1831
    • /
    • 2010
  • 본 연구는 폐자원인 포도가공부산물을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 마련을 위해, 열풍 및 동결건조한 뒤 1~20 kGy의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포도가공 부산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색도는 열풍건조 시료의 경우 3 kGy에서 가장 높은 L값과 a값을 나타낸 후 조사선량 증가에 따른 감소를 나타내었고, 동결건조시료의 경우 가장 높은 조사선량인 20 kGy에서 가장 높은 L값과 b값을 나타내어 열풍건조라는 고온의 전처리를 통한 색소의 파괴가 미리 진행되어 감마선 조사에 따른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3 kGy의 감마선 조사는 열풍건조한 포도가공 부산물 시료의 색택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풍건조시료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3 kGy 조사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조사선량 증가에 따른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비조사구보다는 조사구에서 더 높은 페놀화합물 함량을 나타냈다. 동결 건조시료 메탄올추출물의 경우, 비조사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조사구에서는 3 kGy 조사구가 가장 높은 페놀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및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의 측정 결과 역시 페놀화합물 함량의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열풍건조시료의 메탄올추출물에서 3kGy 조사구가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시료를 1~5 m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열풍과 동결건조시료 모두 3 kGy 조사구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3 kGy의 감마선 조사는 포도 가공 부산물의 색택 및 항산화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가공부산물 활용의 측면에서 볼 때, 감마선 조사에 따른 포도부산물의 항산화 활성 증가는 미약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나 큰 의미를 갖지 못했다.

피마자(Ricinus communis L.) 잎과 열매의 열수(熱水)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항산화 효능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Ricinus communis L. Leaves and Fruits)

  • 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353-361
    • /
    • 2018
  • 천연 항균제 및 항산화제 개발의 일환으로 선택한 피마자 열매의 열수 추출물(RFW)과 에탄올 추출물(RFE)은 각각 15.8%와 18.4%의 수율을 나타냈다. Paper-disc method을 통한 항균활성 측정 결과, 피마자 열매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녹농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서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캔디다균에서도 배양 16시간까지 1.5mm 정도의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나 24시간 이후에는 캔디다균의 증식이 다시 관찰되었다. 피마자 열매 에탄올추출물(RFE)의 MIC실험 결과 S. aureus와 P. aeruginosa에서 각각 96%와 93%의 항균력이 나타났다. 피마자 잎 열수추출물(RLW)과 피마자 잎 에탄올추출물(RLE)의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효능 결과는 $1000({\mu}g/m{\ell})$에서 각각 $1.8{\pm}0.6%$, $2.1{\pm}0.7%$의 free radical 소거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가 향후 천연물을 이용한 항균제 및 항산화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리라 사료된다.

제조방법에 따른 제호탕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Jehotang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 정세현;김순임;심기현;진소연;김명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33-242
    • /
    • 2012
  • 제호탕은 오매, 사인, 백단향, 초과 등의 한약재와 꿀을 넣어 만든 여름철 전통음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호탕의 재료인 오매, 사인, 초과, 백단향의 항산화 활성, Total phenolic content,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를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조리법(연밀)과 현대적인 조리법(중탕법, 모두 끓이는 방법)으로 제호탕을 만들었을 때 pH, 색도, 당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Total phenolic content는 사인이 120.45 mg GAE/g, 오매분말 연밀미비법이 152.66 mg GAE/g를 나타냈으며,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사인이 93.13% 그리고 오매분말 연밀미비법이 56.44%를 나타내었다. ${\rho}$-nitrophenyl-${\alpha}$-Dglucopyranoside를 기질로 사용한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는 $100{\mu}g/mL$ 농도에서 사인이 89.51% 저해율을 보였으며, 끓이는 방법이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 52.38%, ${\alpha}$-amylase 저해활성 72.52%로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 제호탕 소재로는 사인이 항산화, 항당뇨 효과에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리방법에 서는 오매분말 연밀미비법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항당뇨 효과는 끓이는 방법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백복령 가루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okies added with Baekbokrung(Poria cocos Wolf) Powder)

  • 유현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43-45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백복령 가루를 첨가(0, 3, 6, 9, 12%)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반죽 pH는 백복령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반죽 밀도는 대조군에 비해 백복령 가루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지다가(p<0.001), 9%와 12%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퍼짐성 지수는 백복령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반대로 수분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쿠키의 색도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백복령 첨가량에 따라 L값과 b값은 감소,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백복령 가루첨가 쿠키의 총 페놀 화합물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페놀 화합물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쿠키의 관능검사(색, 맛, 외관, 조직감, 향,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쿠키의 색과 맛, 전체적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점수는 대조군, 3%와 6% 첨가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9%와 12%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조직감은 3%와 6% 첨가군이 대조군과 다른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01), 외관, 향은 백복령 가루 첨가량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로보다 백복령 첨가 쿠키 제조 시 품질특성, 항산화성, 기호도 면에서 3%~6% 백복령 가루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레시피가 되겠다.

맥종별 주산지와 재배한계지 수집종자의 활력, 초기생장 및 이차화합물 차이 (Differences in Seed Vigor, Early Growth, and Secondary Compounds in Hulled and Dehulled Barley, Malting Barley, and Naked Oat Collected from Various Areas)

  • 박현화;국용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71-18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맥종별 주산지 및 재배한계지에서 수집한 종자에 대한 종자활력과 이들 수집종에 대해 다른 온도조건(25, 13℃)하에서 발아율 및 생장과 저온 조건(13℃)하에서 엽록소 함량, 광합성 효율, 이차화합물(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라디컬 소거능력)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맥종에 상관없이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전기전도도 값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자간에는 전기전도도 값에 차이를 보여 종자활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5℃의 조건하에서 맥종별로 주산지와 재배한계지 수집종간에 발아율, 초장, 근장 및 지상부 생체중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저온조건하에서도 맥종에 상관없이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출현율, 초장 및 지상부 생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겉보리 수집종은 파종 후 5일째에 출현하였고, 맥주보리와 쌀귀리는 파종 후 7일에 출현하여 맥종별 차이를 보였다. 맥종에 상관없이 수집종간에 엽록소와 광합성의 효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맥종에 상관없이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라디컬 소거능력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특히 맥주보리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강진>창원>해남=전주>나주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기후 변화에 따른 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 및 쌀귀리 등은 동일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종자활력 뿐만 아니라 생장 및 이차화합물의 함량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