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M 비교

Search Result 42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Comparison of LOS Detection Probability Area for DEM and DSM (DEM 과 DSM 의 가시선 탐지확률 비교)

  • Song, Hyun-Seung;Park, Wang-Yong;Park, Hyun-Chun;Lee, Young-L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2
    • /
    • pp.165-173
    • /
    • 2011
  • Generally, A acquisition of the target is affected by the detector performance and whether it is covered with features or not. This paper represente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tection probability for DEM and DSM, when we used by the infrared surveillance device. In the first place, we c1assified as the visible area and invisible area for DEM and DSM, and obtained the acquisition probability values using the ACQUIRE mode. We have known that The Detection Probability of the DSM is very lower than the DEM and is rising when elevates the height value of the detection point.

Accuracy Evaluation of ASTER DEM, SRTM DEM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ASTER DEM과 SRTM DEM의 구축정확도 평가)

  • Kang, Kyung-Ho;Kim, Chang-Jae;Sohn, Hong-Gyoo;Lee, Wo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1
    • /
    • pp.169-178
    • /
    • 2010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the accuracy of ASTER DEM and SRTM DEM covering 99% of the earth surface using large-scale Digital Topographic Map in mountainous area(Sokcho), mixed area(Jinan, mountainous area and even land area) and even land area(Anyang). We made DEM using contour lines of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of study area and also acquired ASTER DEM and SRTM DEM of their corresponding area. In order to verify accuracy of DEM, this study compared ASTER DEM and SRTM DEM data using 15m resolution DEM generated from contour lines of Digital Topographic Map as basis for each study area.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STER and SRTM DEM data, statistical such as RMSE and correlation were calculated and histogram and scatter plot were drawn.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both ASTER DEM and SRTM DEM have high accuracy but in aspects of future availability, ASTER DEM covering larger areas bas relatively more potential than SRTM data.

Antarctic DEMs Generation Using KOMPSAT-3A Stereo Images and Comparison by DEM Matching (KOMPSAT-3A 입체영상을 이용한 남극 DEM 제작과 DEM 매칭에 의한 두 시기의 DEM 비교)

  • Lee, Hyoseong;Hwang, Hobin;Seo, Doochun;Ahn, Kiw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5 no.3
    • /
    • pp.167-174
    • /
    • 2017
  • Antarctica, where ice sheet has been declined rapidly, should be monitored periodically. However, there are difficult to access for local survey or aircraft observation due to the vast and extreme environments of the polar region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by acquiring radar or laser data by satellite. It is also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changes of the surface where is composed of snow or ice layer, and it is also difficult to product a high-resolution DEM.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product DEMs of two periods using high-resolution KOMPSAT-3A stereo images, and DEM matching is implemented by the LZD(Least-squares Z-Differences) method to detect DEM changes in both periods.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suggested as comparing height differences of the two DEMs within 1m precision.

Examination of the Algorithms for Removing Sink and Flat Area of DEM (DEM에서의 Sink와 Flat Area 처리 알고리즘에 대한 비교 검토)

  • Kim, Kyung-Tak;Choi, Yun-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4
    • /
    • pp.91-101
    • /
    • 2005
  • To determine stream network and watershed boundary using DEM, it is necessary to remove sink and flat area in proper way. There are filling algorithm and breaching algorithm to remove sink and Jenson and Domingue algorithm, relief algorithm and combined gradient algorithm to determine flow direction in flat area. In this study, the algorithms are reviewed. The computer program which uses filling algorithm with breaching algorithm and combined gradient algorithm to remove errors in DEM is developed. The results from this program are compared with Arc/Info which uses filling algorithm and Jenson and Domingue algorithm. The characteristics of stream network extracted from the DEM are analyzed. They are compared with the stream from NGIS map for stream morphology and characters by stream order to examine the value of this study.

  • PDF

Comparison of SPOT5 Orthorectification Imagery Accuracy by DEM Scale (DEM축척에 따른 SPOT5영상의 정사보정 정확도 비교)

  • Lee Chong-Soo;Lee Sang-Ik;Lee Woo-Kyun;Jeon Seong-Woo;Kang Byung-Ji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319-322
    • /
    • 2006
  • 2002년 5월 촬영이 시작된 SPOTS 영상은 공간해상도가 2.5mX2.5m로 고해상도이면서도 촬영폭이 광역적이어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SPOT5영상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순 기하보정 보다는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는 정사보정이 요구된다. 보정영상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지형, GCP, DEM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조건들은 동일하게 하고, 자료 구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DEM(수치표고모델)의 축척만을 달리하여 보정 영상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DEM의 축척 변화가 보정 영상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할 경우에 소축척의 DE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DEM Generation over Tidal Flat using ERS-1/2 tandem data (ERS-l/2 tandem 자료를 이용한 조간대 지역의 DEM 생성)

  • 김상완;홍상훈;나영호;이윤경;원중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5-138
    • /
    • 2003
  • 레이더 interferometry 기법을 이용하여 1995년 12월 11일과 12일에 획득된 ERS-1(orbit: 23180, frame 2853), ERS-2(orbit: 03507, frame: 2853) tandem 자료로부터 서해안(강화도-아산만) 지역의 조간대 DEM을 추출하였다. 사용된 SAR 자료는 영상획득 당시의 낮은 조위(ERS-1: 0.89 cm, ERS-2: -0.02 cm), 짧은 시간 간격(1일), 그리고 비교적 긴 기선 간격(270 m 수직 baseline)을 갖기 때문에 조간대 DEM 추출에 매우 적합하였다. 비록 추출된 DEM의 정확도 평가는 수행되지 않았지만 기존에 광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남양만 지역의 waterline과 시각적으로 단순 비교될 수 있었다. 보다 정밀한 정확도 평가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와 같은 날 획득된 곰소만 지역의 자료(frame: 2886)를 사용하여 waterline 방법으로 추출된 DEM 및 현장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될 것이다. Temporal 그리고 baseline decorrelation 등을 무시하고 SAR 영상의 위상측정 오차만을 이용하여 계산된 고도 정밀도는 SNR 20 dB에서 약 0.57 m이다.

  • PDF

Comparison of Geomorphological Parameters Derived from Different Digital Elevation Model Resolutions in Chuncheon, South Korea (수치표고모델 해상도에 따라 도출된 춘천지역의 지형학적 매개변수 비교)

  • LEE, Jun-Gu;SUH, Young-Cheol;LEE, Dong-H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1
    • /
    • pp.106-114
    • /
    • 2018
  • DEM(Digital Elevation Model) are now easily produced with advanc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Depending on desired task, UAV can produce high resolution DEM. But high resolution comes with issues of data storage and processing time and cost. To check the effect of DEM resolution, this study compares six geomorphological parameters derived from different resolution DEM in a test area around Chuncheon, Korea. The comparison analysis was based on statistics of each derivatives of slope, curvature, flow direction, flow accumulation, flow length and basi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EM remained unchanged and so did the flow accumulation area. However, slope, curvature, flow length and basin numbers were decreased with the normalization of increasing pixel size. DEM resolution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recision of application required.

Comparison of DEM Accuracy and Quality over Urban Area from SPOT, EOC and IKONOS Stereo Pairs (SPOT, EOC, IKONOS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도심지역 DEM의 정확도 및 성능 비교분석)

  • 임용조;김태정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8 no.4
    • /
    • pp.221-231
    • /
    • 2002
  • In this study we applied a DEM generation algorithm developed in-house to satellite images at various resolution and discussed the results. We tested SPOT images at l0m resolution, EOC images at 6.6m and IKONOS images at 1m resolution. These images include the same urban area in Daejeon city. For camera model, we used Gupta & Hartley's(1997) DLT model for all three image sets. We carried out accuracy assessment using USGS DTED for SPOT and EOC and 23 check points for IKONOS. The assessment showed that SPOT DEM had about 38m RMS error, EOC DEM 12m RMS error and IKONOS DEM 6.5m RMS error. In terms of image resolution, SPOT and EOC DEM error corresponds to 2∼4 pixels where as IKONOS DEM error 6∼7pixels. IKONOS DEM contains more errors in pixels. However, in IKONOS DEM, individual buildings, apartments and major roads are identifiable. All three DEMs contained errors due to height discontinuity, occlusion and shadow. These experiments show that our algorithm can generate urban DEM from 1m resolution and that, however, we need to improve the algorithm to minimize effects of occlusion and building shadows on DEMs.

Developing Geologic Loss Estimation Factors : Effect of DEM Resolution in Site Classification (지질재해예측 입력인자 개발 : DEM 해상도가 지반분류에 미치는 영향)

  • Kang, Su Young;Kim, Kwang-He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1-161
    • /
    • 2011
  • 지진, 산사태, 액상화 등의 지질재해 예측을 위한 지역적 지반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지질도 또는 지형도를 이용하여 간접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DEM에서 추출한 경사도는 지반분류 시 하나의 기준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고, 이때 DEM의 해상력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산출될 수도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DEM의 해상력에 따라 우리나라 일부지역의 지반분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각기 다른 해상도의 DEM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동남부 지형을 경사도 기준으로 지반분류한 후 그 면적차이를 해상도별로 비교한 결과, 지반분류 C 지역의 면적 변화가 가장 뚜렷하였다. $V_s30$ 범위로 분류한 결과에서는 180 m/sec 이하의 지역에서 해상도별로 가장 큰 변화가 있었다. 고해상도에서는 지반분류 B와 E의 지역에서 면적이 저해상도 보다 크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었고, 저해상도에서는 지반분류 C와 D 지역의 면적이 고해상도 보다 크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DEM의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각기 다른 지반정보를 함유한 작은 셀이 큰 셀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평균화되는 지반정보가 과대평가 또는 저평가되었기 때문이다. 연구지역 내 시추지역의 지반과 지반분류 결과를 비교하면 해상도별로 78%~52%까지 일치하였고, 고해상도에서 일치율이 더 높았다. 지형의 변화가 심하고 인구나 산업시설이 밀집된 재해 고위험군 지역은 고해상도의 지도를 이용하고, 지형의 변화가 없거나 단단한 지반의 지역은 재해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저해상도의 사용으로 자료처리 시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Use of Drone to Analyze the Damaged Field by Debris Flow Disaster (토석류 피해지역 분석을 위한 드론 활용에 관한 연구)

  • Yoon, Byung Ha;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1-341
    • /
    • 2017
  • 토석류는 기본적으로 강우에 기인하는 산지재해이다. 따라서 국토의 64%가 산지인 동시에 여름철 강우가 집중되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토석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 또한 최근 높은 인구밀도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토석류 발생 시 큰 인명피해마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토석류저감을 위해서 FLO-2D, RAMMS, DEBRIS-2D 등의 다양한 수치해석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왔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토석류를 해석하려면 조사하려는 지역의 지형자료를 습득하는 것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하지만 토석류 재해지역의 접근성 및 위험성을 감안할 때 해당 지역으로의 접근이 곤란하여 지형자료를 직접 얻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재해 위험지역에서 드론촬영을 실시하여 후처리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지역의 DEM을 생성하였다. 생성한 DEM이 효용가치를 지니려면 실제 지형과의 차이를 최소한으로 가져야 한다. 따라서 드론촬영으로 생성한 DEM을 수치지도를 통해 생성한 DEM과 비교하여 좌표의 편차, 고도의 편차 등을 계산하였다. 또한 각각의 DEM 자료에 FLO-2D를 적용하여 토석류 재해 위험지역에 설치된 사방시설의 저감능력을 확인해보았다. 두 DEM의 비교분석을 통해 드론촬영으로 생성한 DEM이 충분한 실용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해당 지점에 설치된 사방시설의 저감능력을 다방면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현재 급부상하고 있는 드론을 통해 사방사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토석류 저감 부문에서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