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

검색결과 1,749건 처리시간 0.038초

드론을 이용한 함평만 갯벌 DEM 제작과 해수 변화량 파악 (Tidal Flat DEM Generation and Seawater Changes Estimation at Hampyeong Bay Using Drone Images)

  • 이효성;김덕진;오재홍;신정일;정재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25-33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함평만에서 만조 시 갯골 해수 변화량 파악을 위해 드론과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갯벌 DEM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접근이 곤란한 갯벌에서 기준점 측량 대신 과거 구축한 기준 DEM으로 DEM 매칭방법을 적용하여 제작 DEM을 보정하였다. 보정된 시간대별 DEM으로부터 정사 영상을 제작한 후, 토지피복 분류영상을 제작하였다. 시간대별 토지피복분류영상과 DEM을 이용하여 만조 시간대에 따른 해수 변화량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만조시간이 지날수록 물의 양은 급속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린란드 수치표고모델의 수직정확도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ccuracy Assessment of Digital Elevation Model in the Greenland)

  • 박호준;최윤수;김재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59-65
    • /
    • 2014
  • 최근 북극지역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각종개발 및 기후변화 연구 등을 위하여 수치표고모델 수요가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수치표고모델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확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이 빙하로 덮여 있는 그린란드에 구축된 수치표고모델 중 ASTER GDEM과 GIMP DEM을 검증하였다. 수치표고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토지피복도를 사용하여 그린란드를 내륙빙상지역과 해안비빙상지역으로 나누었으며, 두 수치표고모델과 ICESat 표고값과의 차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내륙빙상지역에서는 GIMP DEM의 정확도가 더 높았으며, 해안비빙상지역에서는 ASTER GDEM의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FDM 기반 셀룰라 시스템에서 DEM 알고리듬을 이용한 채널추정 기법 (Channel Estimation for OFDM-based Cellular Systems Using a DEM Algorithm)

  • 이규인;우경수;이주현;윤상보;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7C호
    • /
    • pp.635-64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 셀룰라 시스템에서 채널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DEM(Decision-directed Expectation Maximization)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DEM 알고리듬은 다중안테나를 사용하는 단말이 셀 경계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효율의 감소 없이 채널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한 그룹 내 채널변화 성분을 고려하여 채널갱신을 함으로써 고속 이동환경에도 큰 열화 없이 채널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DEM 알고리듬이 EM(Expectation Maximization) 기법과 비교하여 고속이동 환경에서 채널추정 성능을 향상 시키면서 연산 복잡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다.

DEM병합을 통한 수치표고모델의 정확도 평가 (Generation of DEM Using Elevation and Accuracy Assessment of DEM)

  • 김감래;곽강율;정해진;김명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63-266
    • /
    • 2004
  • We make DEM of the area that elevation value varies rapidly by the aid. This study evaluates the accuracy and workability between the existing DEM making mathod by processing break line and the DEM absorption method by using the program like ARC TIN or AML. The object data of DEM generation is 1/5,000 digital map publicated by NGII and this study uses 100pieces of map as the criteria. We correct the error by Geoconv and generate DEM by using ARC TIN, ARC VIEW. Accuracy Evaluation accomplished by drawing 100 points from 1/5000 digital map.

  • PDF

2단계 스테레오 정합기법을 이용한 DEM 추정 (DEM Estimation Using Two Stage Stereo Matching Method)

  • 남창우;우동민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49권12호
    • /
    • pp.659-666
    • /
    • 2000
  • A stereo matching has been an important tool for reconstructing three dimensional terrain. By using stereo matching technique, DEM(Digital Elevaton Map) can be generated by the disparity from a reference image to a target image. Generally disparity map can be evaluated by matching the reference image to the target image and if the role of the reference and the target are interchanged, a different DEM can be obtain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usion technique to estimate the optimal DEM by eliminating the false DEM due to occlusion. To detect the false DEM, we utilize two measure of accuracy: self-consistency and cross-correlation score. We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s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simulated images. Experimental result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s show 24.4% and 33.1% improvement over either DEM.

  • PDF

The Effects of DEM Resolution on Hydrological Simulation in BASINS-HSPF Modeling

  • Jeon, Ji-Hong;Yoon, Chun-Gyung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53-456
    • /
    • 2002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EM resolution (15m, 30m, 50m, 70m, 100m, 200m, 300m) on the hydrological simulation was examined using BASINS (Better Assessment Science Integrating point and Nonpoint Source) for Heukcheon watershed (303.3km2) data from 1998 to 1999. Generally, as the cell size of DEM increased, topographical changes were observed as the original range of elevation decreased. The processing time of watershed delineation and river network needed more time and effort on smaller cell size of DEM. The larger DEM demonstrated had some errors in the junction of river network which might effects on the simulation of water quantity and quality. The area weighted average watershed slope became lower but the length weighted average channel slope became higher as the DEM size increased. DEM resolution affected substantially on the topographical parameter but less on the hydrological simulation. Considering processing time and accuracy on hydrological simulation DEM mesh size of 100m is recommended for this watershed.

  • PDF

도심지역의 지형분류를 통한 DEM의 정확도 향상 (Improvement of DEM Accuracy Using by the Topography Classification in Urban Area)

  • 이현직;이승호;김정일;김현태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92
    • /
    • 2002
  • 일반적으로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통해 도심지역에서 자동으로 DEM을 추출하는 경우 해석도화원도에서 추출하는 DEM에 비하여 정확도가 크게 저하되어 도심지역에 대한 정사투영영상 생성이나 정사투영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시 품질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한 도심지역 지형공간정보 생성시 정확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도심지역 DEM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수행결과,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하여 도심지역에 대한 DEM 추출시 대상지역에 대한 지형분류를 통한 DEM추출방법을 적용하여 도심지역에 대한 DEM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항공사진을 이용한 DEM 제작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duction of DEM Using Aerial Photo)

  • 박충선;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05-120
    • /
    • 2018
  • This study estimates possibility and limitation on production of DEM using aerial photo by comparison of DEMs using aerial photo and digital map. Mountain and urban areas show higher elevation in DEM using aerial photo than in DEM using digital map, due to height of vegetation cover and buildings, respectively. However, artificial affects due to bridge, embankment and road construction are responsible for areas with higher elevation in DEM using digital map than in DEM using aerial photo. This difference in elevation between DEMs seems to be caused by rapid change in real elevation that is not reflected in digital map.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elevation between DEMs in plain and area with little or no vegetation cover. This study suggests that problems associated with vegetation cover and error by GCP should be fixed, although DEM using aerial photo can quantitatively and 3-dimensionally reconstruct topography with a high resolution.

항공사진 영상을 이용한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 취득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by Using Aerial Photo Images in Urban Area)

  • 이현직;김정일;황창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7-36
    • /
    • 2003
  • 일반적으로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 취득은 대축척 항공사진영상을 이용하여 수치사진측량방법에 의해 수치 표고모형(DEM) 및 정사투영영상을 제작함으로써 수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치사진측량방법을 이용하여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를 취득할 때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자동으로 추출되는 DEM의 정확도가 크게 저하되어 정사투영영상 및 수치지도의 정확도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사진측량방법을 이용하여 도심지역의 DEM 정확도 향상방안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 추출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수행결과, 지형분류를 통하여 DEM을 각 지형별로 제작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동추출된 DEM에 비하여 DEM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으며 또한, 경계선추출방법을 적용함으로써 3차원 수치지도의 제작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M의 표고자료 해상도에 따른 수문지형인자의 민감도 해석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logic-Topograpical for Elevation Data Resolution of DEM)

  • 류재욱;최현일;지홍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384-1388
    • /
    • 2009
  • 래스터 기반 DEM 모델을 이용한 수문지형인자의 산정은 DEM의 해상도(셀크기)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DEM의 해상도에 따른 불확실성은 강우-유출모델의 결과에 전파되어 모델의 모의결과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흐름경로의 결정은 수문모델링에서 DEM으로부터 수계를 형성하고 유역을 생성 및 분할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각 셀의 경사는 흐름방향을 결정하고 흐름길이는 흐름경로를 따라 측정된 거리로서 결정된다. 이러한 모든 일련의 과정들은 셀간의 연산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점에서 DEM의 해상도에 따른 DEM 처리연산 및 수문지형인자의 변동성은 중요한 고려사항이라 할 수 있다. DEM의 해상도에 따른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주요 수문지형인자를 대상으로 DEM의 해상도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천, 황강 및 금호강 유역에 대해 DEM의 셀크기에 따른 유역면적, 유로연장과 최원유로연장, 유역평균경사와 같은 수문지형인자의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셀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유로연장 및 최원유로연장이 감소하는 추세는 보이고 있지만 셀크기의 증가로 인해 반드시 흐름길이 및 유로연장이 감소 또는 증가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유역에 대한 적용을 통해 유로연장에 대한 변동을 규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역평균경사는 대체로 셀크기 $10\sim30m$에서 가장 큰 감소를 보이고 있으며, 셀크기 30m 이상에서는 감소크기가 점차 완만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셀크기가 증가할수록 유역평균경사에 대한 누가빈도곡선의 기울기는 점차 급해지고 누가빈도가 증가할수로 각 셀크기간의 유역평균경사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는 비록 유역평균경사에 대한 누가빈도분포의 추세가 모든 해상도에 대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급경사부에 대해서는 데이터 축약으로 인해 유역평균경사에 있어 상당한 감소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