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BH

검색결과 601건 처리시간 0.029초

강원도지방(江原道地方) 소나무 동령임분(同齡林分)의 최대임목본수(最大林木本數) 및 고사(枯死)모델 (Maximum Stem Number and Mortality Model for Even-Aged Pinus Densiflora Stand in Kangwon-Province, Korea)

  • 이우균;서정호;배상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34-64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ha당 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임목본수가 그 임분이 유지시킬 수 있는 최대임목본수라는 Sterba의 이론을 강원도지방 소나무의 임시표본점 조사자료에 적용시켜 강원도지방 소나무 동령임분의 최대임목본수 및 고사모델을 유도하였다. ha당 임목본수와 우세목수고를 변수로 하여 평균흉고직경을 추정하는 평균흉고직경식의 통계적 신뢰성은 매우 높았으며, ha당 임목본수 및 우세목수고에 따른 흉고직경생장의 변이를 잘 설명해 주었다. 또한, 이 평균흉고직경식으로부터 유도되는 ha당 흉고단면적식은 ha당 임목본수의 변화에 따른 ha당 흉고단면적의 변화를 우세목수고별로 잘 나타내 주었다. ha당 흉고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임목본수로 부터 우세목수고 및 흉고직경별로 유도되는 최대임목본수곡선은 임목본수 관측치의 상부를 지나면서 임분의 최대임목본수를 잘 나타내 주었다. 또한, 평균흉고직경에 대한 최대임목본수식으로부터 추정되는 최대임분밀도지수는 임분의 최대잠재밀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활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대임목본수식 및 최대임분밀도지수식은 최대밀도에 도달한 임분자료를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밀도를 나타내는 임분으로부터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고사량추정, 최대잠재생산량추정 둥 임분밀도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신갈나무-전나무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경신(更新) 및 무육방법(撫育方法) I. 임분구조(林分構造)와 작업종(作業種) (Regeneration and Tending Practices for Natural Mixed Stands of Quercus mongolica-Abies holophylla I. Stand Structure and Silvicultural System)

  • 신만용;임주훈;전영우;고영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21-29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강원도(江原道)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소재(所在)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구조(構造) 파악(把握)을 통하여 작업종(作業種) 결정(決定)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실행(實行)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상(對象) 임분(林分)의 직경(直徑), 분포(分布), 수고(樹高) 분포(分布), 그리고 경급별(徑級別) 재적(材積) 분포(分布)가 분석(分析)되었고 이를 이용(利用)하여 택벌임(擇伐林)의 가능성(可能性)이 검토(檢討)되었다. 1. 직경(直徑) 분포(分布)는 전형적(典型的)인 택벌임(擇伐林)에서 볼 수 있는 지수감소형(指數減少型) 구조(構造)를 나타냈고 수고(樹高) 분포(分布)에서도 택벌림(擇伐林)으로 유도(誘導)될 수 있는 높은 가능성(可能性)을 보였는데 이는 이 대상(對象) 임분(林分)이 자생(自生) 천연림(天然林) 특유(特有)의 복층림(複層林) 구조(構造)를 소유(所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급별(徑級別) 재적(材積) 분포(分布)에서는 택벌(擇伐) 임형(林型)에 이르지 못한 미성숙(未成熟) 구조(構造)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理由)는 30cm 이상(以上)의 경급(徑級)에서의 본수(本數)의 부족(不足)에 기인(起因)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이러한 구조상(構造上)의 부확실성(不確實性)은 앞으로의 연구에서 밝혀져야 하는데 특(特)히 직경(直徑)과 재적(材積) 생장율(生長率)의 추정(推定)에 의한 미래(未來) 임분(林分) 구조(構造)의 파악(把握)이 시급(時急)한 것으로 보인다.

  • PDF

전남(全南)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混淆林)의 종간경쟁(種間競爭) 및 물질생산(物質生産) (Species Competetion and Productivity in a Natural Mixed Forest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at Mt. Mohu Area)

  • 박인협;문광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62-468
    • /
    • 1999
  • 전남 모후산지역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을 대상으로 종간경쟁의 양상과 물질생산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10m{\times}10m$ 조사구 10개를 설치한 후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소나무와 굴참나무 각 8주씩 총 16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성장특성, 물질생산구조, 현존량, 순생산량 등을 조사하였다. 평균 수령은 소나무 33년, 굴참나무는 26년이였으며, 소나무림 초기에 굴참나무가 침입한 후 상층임관에서 종간경쟁을 하고 있는 초기단계의 임분이었다. 굴참나무는 동일 수령일 때의 소나무에 비하여 수령 15년 이전까지는 흉고직경과 수고가 모두 컸으며, 수령 15년 이후에는 흉고직경은 작은 반면 수고는 수령 15년 이전보다 큰 차이로 높았다. 동일 흉고직경일 때 생산기관인 잎의 건중량은 수종간 별 차이가 없었으나, 축적기관인 줄기의 목질부, 수피, 가지의 건중량은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굴참나무가 소나무에 비하여 큰 차이로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굴참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순동화율이 높고 현존량축적율이 낮았다. 이상을 종합하면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에서 굴참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수고성장이 빠르고, 동일 흉고직경일 때 잎의 건중량은 유사한 반면 생산능률이 높으며, 현존량축적율이 낮기 때문에 종간갱쟁에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굴참나무혼효림의 지상부 전체 현존량은 87.7t/ha, 순생산량은 8.3t/ha/yr이었다.

  • PDF

한국재래산양 송과체와 앞쪽목신경절의 관계규명을 위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ineal body and superior cervical ganglia of the Korean native goat)

  • 이흥식;이인세;송승훈;윤성태;황인구;이충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7-211
    • /
    • 2000
  • The pineal body have been known to be affected by superior cervical ganglia, and most of its nerve fibers containing peptidergic neurotransmitters have been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 this ganglia. To confirm this relationships, some peptidergic neurotransmitters were identified in both of pineal body and superior cervical ganglia of the Korean native goat, which were divided into two group; breeding season and non-breeding season. The localizations of two catecholamine-synthesizing enzymes; tyrosine hydroxylase (TH) and dopamine beta-hydroxylase (DBH), were investigat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the superior cervical ganglia and the pineal body of adult Korean native goats. Substance P (SP),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VIP), neuropeptide Y (NPY) and galanin (GAL) were also identified in these organs by immunohistochemical and double immunofluorescent methods. In superior cervical ganglia, immunoreactivities for TH and DBH were confirmed in the same ganglion cells. The immunoreactivites for SP, VIP(only in male), NPY and GAL were identified in both of ganglion cell bodies and nerve fibers in the ganglia. CGRP immunoreactivity, however, was observed only in nerve fibers. Most NPY- and VIP-immunoreactive(IR) ganglion cells also contained TH. SP and TH were colocalized in the cell bodies, but not in the nerve fibers. TH immunoreactivity was shown in almost all of ganglion cells in the superior cervical ganglia. The immunoreactivity for NPY had some seasonal variation and was stronger in breeding season than in non-breeding season. In pineal body, lots of TH-IR fiber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parenchyma including the pineal stalk and most of them also contained DBH. SP- and NPY-IR fibers were also immunostained with TH or DBH. But a few SP- and NPY-IR fibers were not colocalized with TH or DBH. Exceptionally, a bipolar neuron-like cell was observed to be immunostained with NPY in the pineal body. A few CGRP and GAL-IR fibers were observed, while VIP-IR fibers were not present. It is concluded that most TH- and DBH-IR fibers as well as the peptidergic immunoreactive fibers of the pineal body might be originated from the superior cervical ganglia. Some peptidergic immunoreactive fibers, however, might be come from other regions of brain. We also suggest that NPY in pineal body plays a important role for pineal function. The seasonal variation of NPY immunoreactivity indicates that the synthesis and use of NPY may be different between in breeding and non-breeding seasons.

  • PDF

밤나무림에 있어서의 꽃 생산에 관하여 (Flower Production in a Chestnut (Castanea crenata) Forest.)

  • Young-Deuk R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권1호
    • /
    • pp.25-30
    • /
    • 1978
  • The flower production in the Castanea crenata forest in Gapyong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litter trap and allometric method. Among serveral variables, DBH is the most reliable one but the estimated value by DBH showed remarkable difference from the value obtained by the litter trap method. Litter trap showed 149.3 kg of flower production per ha in the Castane crenata forest. And the F/L ratro increased with the itme until flowers began to fall. The variation of flower production among trees by allometric method seems to be unreliable.

  • PDF

PNMT유전자 조각의 shot-gun cloning에 관한 연구

  • 조홍범;최영길
    • 미생물과산업
    • /
    • 제16권1호
    • /
    • pp.21-26
    • /
    • 1990
  • 동물체의 신경전달물질은 acetylcholine을 비롯한 9종 이상의 물질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물질의 생체내에서의 기작과 생합성 과정에 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고 또한 이 방면의 연구도 활발하다. 그중에도 Joh와 Baetge등에 의하여 DBH와 PNMT 효소의 생산에 관여하는 mRNA가 면역침전법에 의하여 순수 분리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DBH와 PNMT 효소 생산에 근본이 되는 유전자의 염기서열 및 유전자의 구조를 규명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그 전체가 규명된 바는 없다 (Baetge등, 1981;1983;Joh등, 1983;1984). 그리하여 본인들은 상기의 연구자들로부터 PNMT 유전자인 cDNA를 M13mp18과 19의 vector phage에 재조합시키고 이 cDNA를 JM107rhk 109의 host bacteria에 도입하여 형질발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 PDF

Dopamine $\beta$-Hydroxylase Inhibitory Activity of Chinese Herbal Drugs

  • Sun, Ji-Yeon;Lee, Jee-Hwan;Ki, Chan-Young;Han, Yong-Nam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72.2-272.2
    • /
    • 2003
  • Dopamine ${\beta}$-hydroxylase (DBH) synthesizes norepinephrine from dopamine under the presence of ascorbate as a coenzyme. Dopamine is transported into the vesicles of the varicosity, where the synthesis and the storage of norepinephrine take place. Some drugs such as DBH inhibitors, dopaminergic agonists,etc. are known to assist in treating Parkinson's disease. (omitted)

  • PDF

임상도 작성시 정밀 영급분석기법 연구 (Analysis Methology of Detailed Stand Age Classes in Forest Type Map)

  • 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47-655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urrent state of the stand age classes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it defined in the existing forest type map and propose the more accurate method of calculating the stand age classes. The object for the study was selected as the forest scattered around the Geesan village Paju city in Kyunggi province. For the accurate method of calculating the stand age classes, such items as, the type of actual vegetation, establishment of grid-type standard area scaled down at the level of the 5% of the actual area, the types, number, DBH and age of tree found by the plots,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out actual vegetation was divided into the total 24 types and the 20 types of them belonged to the growing tree areas. As the plots, the 125 places(unit area: $400m^2$) were established the types of the trees found were distributed in the range where the minimum was 1 type, the maximum was 9, the mean was $4.4{\pm}1.5$, and the mode was 4 types. The number of the trees found was distributed in the range where the minimum was 17, the maximum was 125, the mean was $4.4{\pm}1.5$, and the mode was 70. In the DBH, the minimum was 6 cm, the maximum was 30 cm, the mean was 13 cm and the mode was 10 cm. A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ge of the 5 trees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mode in DBH, selected among the dominant species by the plots, less than 20 years was 17 places, the 115 places were included in the range from 21 to 30 years, and more than 31 years was the 6 places.

LiDAR 자료를 이용한 산림 CO2 흡수량 산출 연구 (Study of CO2 Absorption in Forest by Airborn LiDAR Data)

  • 고신영;박정기;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35
    • /
    • 2013
  • 산림지역에서 이산화탄소흡수량 산출을 위해서는 현지산림조사와 영상정보 등의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흉고직경이나 수고와 같은 산림 탄소흡수량 추정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정량적으로 수집하여 활용한다. 그러나 여전히 현장조사의 비중이 높고 혼효림이 많은 국내 산림 여건상 취득된 산림정보의 정확도가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경사기반 영역확장법을 적용하여 수목의 수직적 구조를 파악하고 수목 정점추출 알고리즘을 통한 개체목의 수고 및 개체수를 파악하여 이를 현장조사를 통한 자료로부터 도출된 수고-흉고직경 관계식에 대입하여 정량적인 이산화탄소흡수량 산출에 필요한 기본데이터를 산출 할 수 있었다. 또한 총 3종류의 수목에 대한 이산화탄소흡수량을 계산하고 단위면적당 이산화탄소흡수량을 추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