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B구축

Search Result 1,66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통계 시스템 구축

  • Korea Energy Forum
    • 에너지협의회보
    • /
    • s.76
    • /
    • pp.38-43
    • /
    • 2006
  • 2007년이면 온실가스 배출통계 시스템 구축이 완료된다. 산자부는 에너지∙산업공정부문 배출통계 작성, 관리에 관한 법적근거를 에너지기본법에 신설하고, 『온실가스통계 DB구축 추진협의회』를 구성, 온실가스 인벤토리시스템(KONIS:Korean National Inventry System)을 구축한다. 또한 산업, 가정∙상업, 수송부문 최종소비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를 추진하여 국가에너지종합정보DB를 구축한다. 산자부는 온실가스통계 체계 구축을 통해 기술적, 경제적 감축잠재량을 분석하고, 정부-산업계가 수용 가능한 수준의 자발적 감축규모를 산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Post-2012 국제협상에 대비한 우리나라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산업계의 기후변화협약 대응능력과 조기감축 노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 for Facilitating Regional Development (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지리정보 DB 연구)

  • Kim, Hang-Jib;Choi, Bong-M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2
    • /
    • pp.69-80
    • /
    • 2002
  • GIS is essential to region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informatization age. But utilization of GIS in Korea remains still elementary area of automated mapping or facility management. In this paper, we suggest executable principles that are able to enhanc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regional development affairs using GIS DB. In order to accomplish the role of planning support tool, GIS DB have to be plentiful geographic contents. Metadata DB, user-friendly application interface and compatibility of data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must be constructed in GIS DB. And geographic information should be shared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 PDF

Deriving the Key Technical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Storm and Flood Damage Prediction System (풍수해 피해예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요소 도출)

  • Park, Sung je;Park, Eun hee;Park, Ju-i;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25-425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를 줄이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피해예측 및 피해규모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해외 주요국에서는 풍수해 재해통계 DB를 구축하고, 이를 피해예측시스템에 적용하여 피해규모를 산정함으로써 풍수해 재난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재해정보 피해통계가 공공시설에 한정되어 있거나 단순 복구비의 직접관리 수준에 그치고 있는 등 피해예측기술 및 시스템 개발 수준은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재해정보 기본통계를 정비하고 재난대응 단계별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할 수 있는 풍수해 피해예측 및 피해액 산정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피해예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요소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전단계인 재해정보 기본통계 DB구축 방안을 검토하여 재해연보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피해예측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필수 DB를 파악하고 기존 재해연보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재해연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피해예측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한 기초 DB를 구축하기 위하여 재해연보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미국에서 개발한 HAZUS-MH 시스템의 피해예측 관련 기술정보를 분류하고, 국내에서 개발 중인 피해예측시스템과 비교분석하여 핵심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풍수해 피해예측시스템의 핵심요소로서 세분화된 재해통계 DB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재해연보를 기초 DB로서 활용하기 위하여 재해항목 구체화 및 자료형태 다양화 등 재해연보의 개선이 시급하다. 둘째, 피해예측시스템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요소는 (1)함수(모형)의 개발, (2)지리정보시스템(GIS)과의 연계, (3)피해예측시스템 구축 및 모형분석을 위한 컴퓨팅기술, (4)실시간 관측기술 및 강우량 사전예측 등으로 도출이 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한 핵심 기술요소를 바탕으로 국가 R&D 및 재난안전분야의 기술개발을 추진하여야 한다.

  • PDF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for GIS-Based Client/Server Data Sharing in Climate and Environment Fields (GIS기반의 기후·환경 분야 자료 공유를 위한 Client/Server 방식의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

  • Choi, Yong-Kuk;Kim, Kye-Hyun;Lee, Chol-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32-43
    • /
    • 2014
  • To identify major causes of the global environment changes arising from extreme and unusual weather patterns occurring these days, and to foresee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it is highly important to shed ligh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e changes and global environment system.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e changes and global environment system, it calls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DB for analyzing comparatively the data on climatic changes and global environment system. In the preceding studies, we researched an XML-based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DB and developed a management system for the DB. However, the existing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DB, designed and installed only for individual PCs, does not allow multiple users 'simultaneous access. Accordingly, it fails to systematically update and sharing data which is being generated continuingly. Henc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asy-to-use GIS-based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by improving the existing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DB through the adoption of the client/server model. For thi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climate and environment data prior to designing and building a DBMS-based integrated DB. In addition, in order for multidisciplinary researchers to easily get access and apply the integrated DB, this study designed and developed a GIS-based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using a client/server model which facilitates connections with multiple PCs. The GIS-based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DB management system makes it easier to efficiently manage and locate scattered climate-environment data.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DB system will bring the effects in saving time and cost by avoiding the overlapping generation of data in the areas of integrated climate-environment researc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 Cycle Cost Database in Building (건축물의 LCC Database 구축에 관한 연구)

  • Jeon Chan-Min;Woo Kyung-Hun;Kim Joong-Hun;Kim Kyung-UP;Park Tae-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537-540
    • /
    • 2003
  • The importance of LCC analysis has been enlarged. Also, it would be necessary to computerize LCC analysis for accurate and logical analysis of LCC. In other papers, they showed LCC analysis model but the study of database development which could be applied in LCC analysis have been undeveloped. As a result,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LCC database. And this progress is devided 4 steps as design,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disposal and derived the detailed cost item in the progresses. Futhermore,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e cost DB, fluent DB, general DB, building section DB, material DB and to propose database which would be applied in accurate and logical analysis of LCC.

  • PDF

A Study on GIS-based Construction of the Climate-Environment Database (GIS기반의 기후-환경 분석 지원을 위한 통합DB 구축 방안)

  • Nam, Gi-Beom;Kim, Kye-Hyun;Lee, Chol-Young;Song, Hyun-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87-93
    • /
    • 2010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파괴, 해빙, 해수면 상승 등의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코펜하겐에서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간의 온실가스 감축 논의를 위한 총회가 개최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기후변화가 지구환경시스템과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 따라,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의 변화를 함께 고려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기후-환경 통합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산재되어 있고, 필요한 자료의 확보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원활한 연구 진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환경 분야의 분석 지원을 위한 통합DB의 구축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통합DB의 구축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고, GIS의 적용에 필요한 위치체계의 정의, 데이터 포맷에 따른 관리 방안과 통합 DB 구축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법을 이용하여 GIS기반 기후 환경 통합DB 구축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구축되는 통합DB는 기후-환경 데이터의 원활한 공유를 통해 기후 환경 상호작용의 분석 기반을 마련하고, GIS기반의 공간분석에 지원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나아가 기후-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 모의를 통해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Spatial DB for Developing Watersh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River Network (하천 네트워크 기반의 유역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공간 DB 구축에 관한 연구)

  • Kim, Kyung-Tak;Choi, Yun-Seok;Kim, Joo-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7 no.2
    • /
    • pp.87-96
    • /
    • 2004
  • When watershed spatial database is constructed from DEM, hydrological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can be easily extracted. And the characteristics can be assigned and managed as the attribute of spatial database. In this study the scheme of constructing framework spatial database which is basic information for managing watershed information is examined. We established framework spatial data and defined the relationship of the data. And framework spatial database of test site was constructed. In this study, HyGIS(Hydrolog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hich is developed by domestic technology for making hydrological spatial data and developing water resources system is used. Hydrological ge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ata is extracted by HyGIS. And the data from HyGIS is used for constructing framework spatial database of test sit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strategy of constructing framework spatial database for developing watersh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river network.

  • PDF

Personal DB establishing mashup service design based on Open API (Open API를 기반으로 한 개인 DB 구축 매시업 서비스 디자인)

  • Kin, hyo-jin;Jung, hoi-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3-144
    • /
    • 2011
  • 우리는 웹상에 쉽게 기록을 남길 수 있는 편리한 환경에 살고 있다. 그러나 개인의 기록이 증가하고 관리의 문제가 대두되어 편리한 개인 기록 관리환경을 구축할 필요성이 생겼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필요성과 기록관리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기존의 유사 매시업 서비스의 사례를 분석하고 분류하여 그를 바탕으로 개인의 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개인 DB구축 매시업 서비스 디자인을 제시한다.

  • PDF

Database design and production in ETLARS system (ETLARS 시스템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생성에 관한 연구)

  • 김상도;박계숙;김희섭;홍기채;우동진;기민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1 no.2
    • /
    • pp.165-184
    • /
    • 1994
  • DB production process includes a series of data analysis, DB design, source data input, data conversion and load, and DB operation and maintenance. Software development and operation technique for data input and DR production is similar to each other, even though each computer environment or the function of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is a littl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software for data input and DR production in ETLARS system, which is providing services to 6.000 users ( a s of Oct. 10, 1994) by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nd to open know-how information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Hanguel DR.

  • PDF

A Study on Construction of High Quality Marine-Bodiversity Metadata DB (해양생물다양성 메타DB 고품질 구축 연구)

  • Yang, Sung-Young;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9-462
    • /
    • 2011
  • 해양생물다양성 자원에 대한 국가 주권을 인정하는 해양생물다양성협약의 발효로 생물다양성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 각 기관 및 대학들이 보관하고 있는 해양생물자원 정보가 산재되어 있고, DB에 대한 관리 미흡으로 인하여 학술적, 산업적 활용이 어려운 상황임을 인지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생물다양성 자원 중 고품질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다. 그리고 해양생물다양성 데이터 고품질 확보 방안을 위한 DB 품질 오류율 산정 기준을 적용하여 메타DB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향후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국가전략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