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T

검색결과 3,674건 처리시간 0.035초

ON MIXED PRESSURE-VELOCITY REGULARITY CRITERIA FOR THE 3D MICROPOLAR EQUATIONS IN LORENTZ SPACES

  • Kim, Jae-Myoung;Kim, Jaewoo
    • 충청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5-92
    • /
    • 2021
  • In present paper, inspired by the recently paper [1], we give the mixed pressure-velocity regular criteria in view of Lorentz spaces for weak solutions to 3D micropolar equations in a half space. Precisely, if (0.1) ${\frac{P}{(e^{-{\mid}x{\mid}^2}+{\mid}u{\mid})^{\theta}}{\in}L^p(0,T;L^{q,{\infty}}({\mathbb{R}}^3_+))$, p, q < ∞, and (0.2) ${\frac{2}{p}}+{\frac{3}{q}}=2-{\theta}$, 0 ≤ θ ≤ 1, then (u, w) is regular on (0, T].

반응표면 분석을 이용한 Salmonella enteritidis의 증식 효능 평가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a Natural Antimicrobial substance on Salmonella enteritidis using Response Surface Analysis)

  • 홍정미;정효준;이홍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2호
    • /
    • pp.1307-1313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ingle and combined effect of concentrations of garlic juice according to the pH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Salmonella enteritidis in brain heart infusion broth, and to develope Response surface model for the effect of concentrations of garlic extract. The results of electric conductibility of Salmonella enteritidis growing in the range of incubation temperature ($25~42^{\circ}C$), pH (5.5~9.0) and concentration of garlic Juice (0~0.8%) showed that a badge with high temperature had low D.T.value and concentration of garlic extrac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T.value (p<0.01). Growth of Salmonella enteritidis in the condition of $37^{\circ}C$ and pH 7.0 presented the lowest D.T.value.

조절자극 방식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AC/A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istance and Near AC/A Ratio by Stimulus)

  • 조태식;김인숙;장정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7-423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근거리 경사 AC/A 비가 원거리 외사위 교정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 경사 AC/A 비의 차이를 비교하고 또한 계산 AC/A 비와 경사 AC/A 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방법: 타각적 및 자각적 굴절검사에 의한 완전교정 후 원거리 경사 AC/A 비 검사는 -1.00 D를 가입한 후 Howell 시표(3 m용)를 사용하였으며, 근거리 경사 AC/A 비 검사는 +1.00 D, -1.00 D, +2.00 D와 -2.00 D를 각각 가입한 후 Howell-Kim(40 cm 용) 시표를 사용하여 사위검사와 계산 AC/A 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원거리 사위는 평균 외사위 1.17${\pm}$1.17 $\Delta$, 근거리 평균 외사위 3.71${\pm}$2.80 $\Delta$으로 나타나(t-test. p < 0.001), 원근거리 사위의 상관관계(r = 0.59, p < 0.001)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경사 AC/A 비는 측정거리와 조절자극에 따라 다양하였고(r = 0.11~0.53. p < 0.001) 측정거리가 가까울수록 조절자극이 클수록 높았다. 또한 플러스 굴절력보다 마이너스 굴절력에 의한 조절자극이 높게 나타났다(t-test. p<0.001). 또한 계산 AC/A 비가 클수록 경사 AC/A 비는 오히려 낮아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1.00 D 부가한 경사 AC/A 비는 원거리가 1.30 $\Delta$/D 근거리가 1.68 $\Delta$/D로 근거리 AC/A 비가 유의적인 수준에서 약간 크게 나타났다(t-test. t=1.67, p<0.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계산 AC/A 비와 경사 AC/A 비의 음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고, 근거리 경사 AC/A 비가 원거리 경사 AC/A 비보다 작지만 유의적 수준의 차이를 보여 원거리 외사위의 교정은 원거리 경사 AC/A비를 반드시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왕대속(屬) 대나무림(林)의 물질생산(物質生産) 및 무기영양물(無機營養物) 분배(分配)에 관한 연구(硏究) (Biomass, Net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 of Bamboo Phyllostachys Stands in Korea)

  • 박인협;류석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53-461
    • /
    • 1996
  • 왕대속 대나무림의 물질생산 및 무기영양물 분배를 파악하가 위하여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하고 있는 죽순대, 왕대, 솜대 등 왕대속 3개 종의 임분을 대상으로 임분별 $10m{\times}10m$ 조사구 5개씩을 설치한 후 임분구조 및 죽간(竹稈), 가지, 잎, 지하경(地下莖), 뿌리 등 지하부를 포함한 대나무 전체의 부위별 현존량, 순생산량, 생산능률, 무기영양물 분배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죽간(竹稈)의 평균흉고직경, 죽고(竹高), 흉고단 면적은 죽순대, 솜대, 왕대 임분의 순으로 컸다. 흉고직경 또는 흉고직경과 죽고를 독립변수로 하는 3개 유형의 현존량 대수회귀식을 임분별, 부위별로 유도 검정한 결과 적합도와 실용성을 고려할 때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는 대수회귀식(logWt=A+BlogD)이 효과적이었다. 직선 대수회귀식이 되는 흉고직경 또는 흉고직경과 수고($D^2H$)를 독립변수로 하는 2개 유형의 3개 종별 현존량 대수회귀식의 기울기와 절편간의 차이 유무를 검정한 결과 2개 유형 모두 절편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으로써 왕대속 3개 종의 일괄추정식은 오차가 클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하부를 포함한 임분 전체의 현존량(現存量)은 죽순대 103.621t/ha, 솜대 86.447t/ha, 왕대 36.767t/ha의 순으로 많았으며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동화기관인 잎의 현존량 구성비는 6.3-7.8%이었으며, 지상부와 지하부의 현존량 비는 1.87-2.26이었다. 지하부를 포함한 임분 전체의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죽순대 6.115t/ha/yr, 솜대 5.609t/ha/yr, 왕대 3252t/ha/yr의 순으로 많았다. 순동화율(純同化率)은 죽순대 임분 2.979, 솜대 임분 2.752, 왕대 임분 2.187의 순으로 높았으며, 현존량축적율(現存量蓄積率)은 2.679-5.358의 범위를 보였다. 부위별 무기영양물 농도는 3개 종 모 두 N, P, Mg는 잎, 지하부, 죽간(竹稈)과 가지의 순으로 높았으며, Ca는 잎, 죽간과 가지, 지하부의 순이었다. 지하부를 포함한 대나무 전체의 무기영양물 함량은 N, K, Ca와 Mg, P의 순으로 많았다. 3개 종의 임분 현존량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죽간밀도(竹稈密度)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죽간(죽稈)의 크기가 다르며, 동화기관인 잎의 현존량, 순동화율 비교적 장기간의 축적기관인 죽간 생산능률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었다.

  • PDF

미숙아에서 이온화 마그네슘, 총 마그네슘과 재태 연령과의 관계 및 뇌실 내 출혈과의 관계 (Association of ionized magnesium, total magnesium, gestational age,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term babies)

  • 김태연;이현희;성태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40-1146
    • /
    • 2009
  • 목 적:마그네슘은 인체 혈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농도로 존재하지만, 인체 내에서의 역할, 특히 미숙아에서 이에 대한 병태생리가 현재까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한편 진통용해제나 임신중독증 치료를 위해 산전에 황산 마그네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고마그네슘혈증에 따른 신생아시기에 영향에 대해 많은 연구가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마그네슘보다 이온화 마그네슘이 생리적으로 활성화되어 더욱 정확히 마그네슘의 역할을 볼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되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첫 번째 연구로 미숙아에서 총마그네슘(tMg), 이온화 마그네슘(iMg) 과 재태 연령, 총칼슘(tCa), 이온화 칼슘(iCa)과의 상관성을 살펴보고, 두 번째로 혈청 마그네슘 농도와 미숙아 질환 중 뇌실 내 출혈과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2006년 6월부터 2008년 2월까지 한림대학교의료원 강남성심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산모에게 산전 어느 기간에라도 황산 마그네슘을 투여 받은 경우, 선천성 기형이 있는 경우, 5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로 지속되는 경우, 보호자가 검사에 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한 11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직후 혹은 늦어도 출생 3시간 안에 태아의 혈액 검체로부터 tMg, iMg, tCa, iCa을 측정하였다. 1차 연구로 tMg 및 iMg와 재태 연령, tCa, iCa, pH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2차 연구로 뇌실 내 출혈군(IVH, n= 19)과 없는 군(대조군, n=100)으로 나누어 tMg, iMg, tCa, iCa, 재태 연령, 출생체중, 1분 및 5분 Apgar 점수, 산모의 고혈압의 유병율, 산전 진통 유병율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혈청 tMg 농도는 재태 연령, tCa, iCa, pH 등과 모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왔으나, iMg은 tMg가 증가할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r=0.288, P=0.002), iCa과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r=0.212, P=0.021). 하지만, 재태 연령과 pH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총 119명 중 IVH 군은 19명, 대조군은 100명이었다. tMg은 IVH에서 $2.5{\pm}0.9mg/dL$, 대조군에서 $2.1{\pm}0.6mg/dL$로 뇌실 내 출혈이 있는 군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더 높은 마그네슘 농도를 보였다(P=0.021). 반면, iMg, tCa, iCa, pH 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평균 재태 연령과 출생체중은 각각 연구군이 $33.3{\pm}2.6$주 vs. 대조군 $35.0{\pm}2.1$주, 연구군 $2,093.2{\pm}628.1g$ vs. $2,385.7{\pm}514.3g$으로 연구군이 통계학적으로 더 의미 있게 더 작고 더 어렸다(P=0.002, P=0.030). 재태 연령과 출생체중, Apgar 점수를 고려하여 다시 한번 다변수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총 마그네슘의 농도(OR 2.798, 95% C.I. 1.265-6.192, P=0.011)는 역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위험인자로 나왔다. 결 론:재태 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tMg의 농도는 재태 연령과는 관계가 없었으며, iMg의 혈중농도 역시 재태 연령과는 관계없이 비슷했고, tMg, iCa과 관계가 있었다. 또한, 뇌실 내 출혈이 있던 미숙아에서 고마그네슘혈증을 보였으므로, 이전에 마그네슘에 노출된 적이 없더라도 출생 직후의 혈청 마그네슘 농도가 높은 미숙아들의 경우 IVH를 고려해봐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율무 Yoghurt 제조에 관한 연구 I. 율무 Yoghurt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성질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Adlay Yoghurt I.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Adlay Yoghurt)

  • 김상범;임종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6-63
    • /
    • 2000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adlay with levels of 1%(T1), 2%(T2), 3%(T3) and 4% (T4) in skim milk substrate o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yoghurt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period at 4$\pm$1$^{\circ}C$. Adlay yoghurt were fermented with the mixed cultures of YC-380, ABT-4 and ABT-D. Titratable acidity and pH values of all treatments were increased and decreased significantly(p<0.05) with fermentation period, respectively and increased and decreased slightly during the storage period, respectively. There were increased and decreased in order of all treatments fermented with YC-380, ABT-4 and ABT-D. Viscosity of adlay yoghurt increased rapidly in order of T4, T3, T2 and T1 during fermentation and slowly in order of T1, T2, T3 and T4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re were increased in order of all treatments fermented with ABT-D, YC-380 and ABT-4. The counts of viable cells of lactic acid bacteria in all treatments were rapidly and slight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period, respectively. There were increased in order of fermented with ABT-D, ABT-4 and YC-380 in all treatments. The counts of E. coli were not found in adlay yoghurt. In all treatments, T1 showed slightly high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the optimum level of addition of adlay were 1% (w/v) for production of acid production, pH, viscosity and the counts of viable cells of lactic acid bacteria.

  • PDF

관개기 시험구 논에서의 오염물질의 농도특성 (Pollutant Concentrations at Experimental Paddy Plots during Irrigation Season)

  • 조재원;김진수;오광영;오승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3호
    • /
    • pp.97-106
    • /
    • 2006
  •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at experimental paddy plots with three (excessive, standard, reduced) different fertilization rates were investigated during 2001-2002 irrigation seasons. Mean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in ponded wat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experimental plots, but the T-N concentrations in percolated water significantly depended on fertilization rates. The T-N, T-P and $COD_{Cr}$, concentrations in ponded water during early irrigation season (late May to mid-June) were much higher than those during later irrigation season likely due to fertilization and low uptake by young rice crops. The T-N concentrations decreased but the concentrations of T-P and $COD_{Cr}$, increased three days after tillering fertilization. The removal rates of T-N by paddy plots were $0.13-0.16g/m^2{\cdot}d$ for an excessive fertilization plot, $0.08-0.25g/m^2{\cdot}d$ for a standard fertilization plot, and $0.03-0.34g/m^2{\cdot}d$ for a reduced fertilization plot three days after tillering fertilization. On the other hand, T-P and $COD_{Cr}$, were released three days after tillering fertilization.

Interaction of Cu(II)-meso-tetrakis(n-N-methylpyridiniumyl)porphyrin (n = 2,3,4) with Native and Synthetic Polynucleotides Probed by Polarized Spectroscopy

  • Lee, Mi-Jin;Lee, Gil-Jun;Lee, Dong-Jin;Kim, Seog-K.;Kim, Jong-M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11호
    • /
    • pp.1728-1734
    • /
    • 2005
  • The interactions of Cu(II)-meso-Tetrakis(n-N-methylpyridiniumyl)porphyrin (n = 2,3,4), respectively referred to as o-, m- and p-CuTMPyP, and DNA, poly$[d(A-T)_2]$ and poly$[d(G-C)_2]$ were investigated by circular and linear dichroism (CD and LD). In the o-CuTMPyP cas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pyridinium ring is prevented, the shape of the CD spectrum when associated to DNA and poly$[d(A-T)_2]$ resembles and is characterized by a positive band at a low drug to DNA concentration ratio (R ratio) and is bisignate at a high R ratio. The former CD spectrum shape has been attributed to porphyrin that is bound monomerically outside of DNA while the latter can be attributed to those that are stacked. When o-CuTMPyP is bound to poly$[d(G-C)_2]$, the excitonic CD appeared at a relatively high R ratio. In contrast, a characteristic negative CD band in the Soret region was apparent for both m- and p-CuTMPyP when bound to DNA and poly$[d(G-C)_2]$ at the low R ratios, indicating that the porphyrin molecule intercalates. However, the DNA is bent near the intercalation site and the plane of the porphyrin molecule tilts relative to the DNA helix axis, as judged by the magnitude of the reduced LD. Various stacking patterns were identified by the shape of the CD spectrum for m- and p-CuTMPyP when bound to poly$[d(A-T)_2]$. Three species for the former complex and two for the latter complex were found which may reflect the extent of the stacking.

Monochlorophenol의 목질분해균에 의한 분해 특성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Monochlorophenols by Wood Rot Fungi)

  • 최인규;이재원;최돈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1-268
    • /
    • 2002
  • Monochlorophenol인 2-, 3- 및 4-chlorophenol에 대해서 D. concentrica, T. versicolor, P. ostreatus 3균주를 이용하여 저항성, 분해능, 분해산물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T. versicolor는 monochlorophenol의 종류 및 농도의 증가에 따라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균사 생장이 이뤄지며, D. concentrica는 3-, 4-chlorophenol에서 100 mg/L 이상으로 농도가 증가하면 균사 생장이 느려져 제한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ostreatus는 두 균주와 달리 대조구 자체의 생장이 14일 정도로 상당히 느렸으나 2-, 3-chlorophenol을 첨가했을 때 오히려 1$\sim$2일 정도씩 생장이 촉진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2-Chloro- phenol 이나 3-chlorophenol에서는 P. ostreatus가 제일 우수한 분해능을 보였으며 4-chlorophenol의 경우는 T. versicolor가 2균주에 비하여 월등하게 우수하게 나타나 균주에 따른 mono- chlorophenol의 분해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염소의 치환 위치에 따라 ortho나 meta 보다는 para 위치에 염소가 치환된 4-chlorophenol이 D. concentrica나 P. ostreatus의 경우 분해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 versicolor는 2-, 3- 및 4-chlorophenol의 저항성 시험에서 균사 생장이 제한을 받지 않고 우수한 생장력을 갖고 있는 것처럼 분해능 시험에 있어서도 우수하였다. 균주별로 pH와 균사량은 P. ostreatus > T. versicolor > D. concentrica 순으로 높았으며, 균주내에서 배양일수별로 pH의 변이는 유동적이었고 균사량은 조금씩 증가하였으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즉, 2-, 3- 또는 4-chlorophenol의 목질분해균을 이용한 분해에 있어서 pH 및 균사량은 monochlorophenol의 분해능과는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 versicolor와 P. ostreatus의 경우는 높은 laccase의 유도 효과를 나타내면서 monochlorophenol의 분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Monochlorophenol의 분해산물로는 1,3,5-trihydroxyl benzene, 1-ethyl-1-hydroxyl poltane, 2-pro-penoicacid, methylmalonic acid, 2-methyl-4-keto-pentan-2-ol 등과 지방산의 일종인 tetradecanoic acid, hexadecane, hept-adecanoic acid, octadecanoic acid 등이 확인되었다.

Impact of HIV-1 subtype and Korean Red Ginseng on AIDS progression: comparison of subtype B and subtype D

  • Cho, Young-Keol;Kim, Jung-Eun;Lee, Sun-Hee;Foley, Brian T.;Choi, Byeong-S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312-318
    • /
    • 2019
  • Background: To date, no study has described disease progression in Asian patients infected with HIV-1 subtype D. Methods: To determine whether the disease progression differs in patients infected with subtypes D and B prior to starting combination antiretroviral therapy, the annual decline (AD) in $CD^{4+}$ T cell counts over $96{\pm}59months$ was retrospectively analyzed in 163 patients and compared in subtypes D and B based on the nef gene. Results: $CD^{4+}$ T cell 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ix subtype D-infected patients than in the 157 subtype B-infected patients irrespective of Korean Red Ginseng (KRG) treatment (p < 0.001). Of these, two subtype D-infected patients and 116 subtype B-infected patients had taken KRG. AD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 in the KRG-treated group than in those in the $KRG-na{\ddot{i}}ve$ group irrespective of subtype (p < 0.05). To control for the effect of KRG, patients not treated with KRG were analyzed, with AD foun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in subtype D-infected patients than in subtype B-infected patients (p < 0.01). KRG treatment had a greater effect on AD in subtype D-infected patients than in subtype B-infected patients (4.5-fold vs. 1.6-fold). Mortality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the 45 $KRG-na{\ddot{i}}ve$ (p < 0.001) and all 163 (p < 0.01) patients infected with subtype D than subtype B. Conclusion: Subtype D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a >2-fold higher risk of death and a 2.9-fold greater rate of progression than subtype B, regardless of KRG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