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F.

검색결과 1,213건 처리시간 0.028초

파도를 이용한 2자유도 파력진동발전시스템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f Vibration Power Generation with Two Degree of Freedom Using Ocean Wave)

  • 한기봉;이형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8호
    • /
    • pp.1028-103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파도의 상하운동에너지의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부양체와 2 D.O.F.(자유도) 진동발전시스템을 일체로 구성한 파력진동발전시스템을 제안한다. 파도가 갖는 상하운동 주파수 중 속도 에너지가 큰 주요 주파수 ${\omega}_1$, ${\omega}_2$을 선정하고, 2 D.O.F. 파력진동발전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선정된 주파수들을 일치시킨다. 그러면 공진효과에 의해 각각의 질량과 권선사이의 상대속도가 파도의 상하운동속도보다 커진다. 또한 2 D.O.F. 진동시스템의 연성효과로 인한 1 D.O.F. 파력진동발전시스템보다 더 많은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2 D.O.F. 파력 발전시스템은 파도가 갖는 에너지를 더 많이 이용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3D NAND Flash Memory에 Ferroelectric Material을 사용한 Current Path 개선 (Improvement of Current Path by Using Ferroelectric Material in 3D NAND Flash Memory)

  • 이지환;이재우;강명곤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399-40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3D NAND Flash memory의 O/N/O(Oxide/Nitride/Oxide) 구조와 blocking oxide를 ferroelectric material로 대체한 O/N/F(Oxide/Nitride/Ferroelectric) 구조의 current path를 분석했다. O/N/O 구조는 Vread가 인가되면 neighboring cell의 E-field로 인해 current path가 channel 후면에 형성된다. 반면 O/N/F 구조는 ferroelectric material의 polarization으로 인해 electron이 channel 전면으로 이동하여 current path가 전면에 형성된다. 또한 channel thickness와 channel length에 따른 소자 특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O/N/F 구조의 전면 electron current density 증가는 O/N/O 구조보다 2.8배 더 높았고 O/N/F 구조의 전면 electron current density 비율이 17.7% 높았다. 따라서 O/N/O 구조보다 O/N/F 구조에서 전면 current path가 더 효과적으로 형성된다.

2차원적 K2NiF4형 구조의 Sr2-2xEuxKxSnO4에서 Eu3+ 이온의 Luminescence (Eu3+ Luminescence in Two-Dimensional Sr2-2xEuxKxSnO4 with K2NiF4 Structure)

  • 여철현;;류광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75-179
    • /
    • 1997
  • 2차원적 $K_2NiF_4$형 구조를 갖는 $Sr_{2-2x}Eu_xK_xSnO_4$의 주격자 안에 존재하는 Eu3+ 이온의 luminescence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Eu^{3+}$ 이온의 $^5D_o$$^7F_o$ 전이에 의한 방출선은 J=0 → J=0 전이로써 $Eu^{3+}$ 이온의 4f 껍질에서 전기 이중극자 전이에 대한 Judd-Ofelt 선택규칙(selection rule)에 의하여 금지된 전이이다. 그러나 $Sr_{2-2x}Eu_xK_xSnO_4$의 Eu3+ 이온의 방출 스펙트라에서는 $^5D_o$$^7F_o$$^5D_o$ → $^7F_o$

  • PDF

Immune Effect of Newcastle Disease Virus DNA Vaccine with C3d as a Molecular Adjuvant

  • Zhao, Kai;Duan, Xutong;Hao, Lianwei;Wang, Xiaohua;Wang, Yunf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1호
    • /
    • pp.2060-2069
    • /
    • 2017
  • Newcastle disease is a serious infectious disease in the poultry industry. The commercial vaccines can only offer limited protection and some of them are expensive and need adjuvants. At present, DNA vaccines are widely used. However, the immune responses induced by DNA vaccines are too slow and low. Here, we constructed the transfer vectors with a different number of C3d as molecular adjuvants (n = 1, 2, 4, or 6), and the vectors were cloned into the optimal eukaryotic expression plasmid (pVAXI-optiF) that expressed the F gene of Newcastle disease virus (NDV), and named pVAXI-F(o)-C3d1, pVAXI -F(o)-C3d2, pVAXI-F(o)-C3d4, and pVAXI-F(o)-C3d6, respectively. Cell transfection test indicated that pVAXI-F(o)-C3d6 showed the highest expression. In vivo immunization showed that the chickens immunized with pVAXI-F(o)-C3d6 intramuscularly induced better immune responses than the chickens immunized with the other plasmids. The protective efficacy of pVAXI-F(o)-C3d6 was 80% after challenge with the highly virulent NDV strain F48E9.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C3d6 could be used as a molecular adjuvant to quickly induce an effective immune response to control NDV.

하이브리드 로켓의 L/D 비 변화에 따른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Hybrid Rocket with the Variation of L/D Ratio)

  • 김수종;김진곤;이승철;유우준;이정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3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단일 포트 연료 형상을 갖는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의 고체 연료의 L/D(길이/직경)비 변화에 따른 연소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료 포트 직경이 같은 경우와 연료 길이가 같은 경우로 나누어 L/D 비 변화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료 포트 직경이 같은 경우 L/D 비 변화에 따른 후퇴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L/D 비가 클수록 O/F 비는 낮았고 추력과 특성속도는 높았다. 연료 길이가 같은 경우 L/D 비 변화에 따른 O/F 비와 추력, 특성속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L/D 비가 작을수록 후퇴율은 높았다. O/F 비의 변화가 없을 경우 $\dot{r}=a{G_0}^n$에서 지수 n은 0.5의 값을 갖는 것을 실험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PE와 기체산소를 본 실험의 연료와 산화제로 사용하였다.

전자석의 자기력 제어를 이용한 구형 3 자유도 액추에이터의 설계 및 제어 (Design and Control of 3 D.O.F. Spherical Actuator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s)

  • 백윤수;양창일;박준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9호
    • /
    • pp.1341-1349
    • /
    • 2001
  • In this paper, 3 D.O.F. actuator, which has three degrees of freedom in one joint, is proposed. The proposed 3 D.O.F. spherical actuator is composed of the rotor and atator. The upper plate of the stator supports the rotor and five electromagnets are located at the base of the stator. The rotor has two permanent magnets, and each rotational axis of the rotor gimbal system is supported by the bearing. To find out the governing equations for the torque generation, Coulombs law and Lorentz force with respect to magnetism is applied. As the experimental results, if the distance between electromagnet and permanent maget is far enough, the force between these magnets can be expressed from current of coils and z-axial distance. For the purpose of control 3 D.O.F. actuator, PID control law is applie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show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3 D.O.F. actuator.

3D NAND Flash Memory에서 Tapering된 O/N/O 및 O/N/F 구조의 Threshold Voltage 변화 분석 (The Analysis of Threshold Voltage Shift for Tapered O/N/O and O/N/F Structures in 3D NAND Flash Memory)

  • 이지환;이재우;강명곤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10-115
    • /
    • 2024
  • 본 논문은 3D NAND Flash memory에서 tapering된 O/N/O(Oxide/Nitride/Oxide) 구조와 blocking oxide를 ferroelectric material로 대체한 O/N/F(Oxide/Nitride/Ferroelectric) 구조의 Vth(Threshold Voltage) 변화량을 분석했다. Tapering 각도가 0°일 때 O/N/F 구조는 O/N/O 구조보다 저항이 작고 WL(Word-Line) 상부와 WL 하부의 Vth 변화량이 감소한다. Tapering된 3D NAND Flash memory는 WL 상부에서 WL 하부로 내려갈수록 channel 면적이 감소하며 channel 저항이 증가한다. 따라서 tapering 각도가 증가할수록 WL 상부의 Vth가 감소하고 WL 하부의 Vth는 증가한다. Tapering된 O/N/F 구조는 channel 반지름 길이와 비례하는 Vfe로 인해 WL 상부의 Vth는 O/N/O 구조보다 더 감소한다. 또한 O/N/F 구조의 WL 하부는 O/N/O 구조보다 Vth가 증가하기 때문에 tapering 각도에 따른 Vth 변화량이 O/N/O 구조보다 더 증가한다.

3자유도 모터의 동역학적 해석 및 제어 (Dynamic Analysis and Control of the 3 Degrees of Freedom Motor)

  • 강규원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1-345
    • /
    • 1996
  • Many mechanical and electrocal systems use the number of motors to make multi degree of freedom motion. One method to reduce the number of motors is suggested by using the 3 D.O.F. motor. The 3 D.O.F. motor has advantages such as downsize, weight reduction, and simplification of the existing 3 D.O.F. systems. In this study, a mathematical model for the 3 D.O.F. motor is suggested and the dynamic equation is derived to analyze the 3 D.O.F. motion. Generallinear control methods are very hard to get the good performance because of the nonlinear terms of each degree of each degree of freedom. To control the motion properly, the nonlinear terms are decoupled using a feedback control law. Nonlinear feedback control law which can arrage the poles arbitrarily is derived. The effects of the gains are examin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 PDF

진공용 3 자유도 얼라인먼트 스테이지 개발 (Development of Three D.O.F. Alignment Stage for Vaccume Environment)

  • 박희재;박종호;한상진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1-554
    • /
    • 2000
  • Alignment system is a system to locate an object to it's accurate position in multi-d.o.f space. According to process of application, it is need to align an object in 3 or 6 d.o.f. space. And alignment system is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Especially in PDP application, alignment process is carried out in vaccum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veloped 3 d.o.f. alignment system for vaccume environment, performed kinematic analysis and improved it's positional accuracy.

  • PDF

지능형 제어기법 및 센서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이족 보행 로봇의 동적보행 제어 (Dynamic Walking Control of Biped Walking Robot using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Sensor Interface)

  • 고재원;임동철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6권4호
    • /
    • pp.161-167
    • /
    • 2007
  • This paper introduces a dynamic walking control of biped walking robot using intelligent sensor interface and shows an intelligent control method for biped walking robot. For the dynamic walking control of biped walking robot, serious motion controllers are used. They are main controller(using INTEL80C296SA MPU), sub controller(using TMS320LF2406 DSP), sensor controller(using Atmega128 MPU) etc. The used sensors are gyro sensor, tilt sensor, infrared sensor, FSR sensor etc. For the feasibility of a dynamic walking control of biped walking robot, we use the biped walking robot which has twenty-five degrees of freedom(D.O.F.) in total. Our biped robot is composed of two legs of six D.O.F. each, two arms of five D.O.F. each, a waist of two D.O.F., a head of one D.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