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 Melanogaster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7초

Deosophila melanogadter의 ADH Polymorphism 과 두 유전자 사이의 적응성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Polymorphism and Fithess between Two ADH Alleles in Drosophila melanogaster)

  • 최영헌;유미애;이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1-147
    • /
    • 1994
  • Deosophila melanogadter 자연집단재 alcohol dehydrogenase(ADH) allele 의 polymorphism 및 두 ADH allele 유전자형간의 적응도와 ethanol 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D. meanogaster의 자연집단내 ADH는 polymorphic 하였으며, FF,FS그리고 SS형의 유전자 빈도는 47.66,42.18 및 10.16%로 나타나 F 유전자의빈도가 S 유전자에 비하여 높게 분포하였다. 산란력과 우화율에서는 FF 유전자형이 SS 유전자형에 비하여 모두 약간 높게 나타났다. 자연집단에서 유래된 인공 소집단에서는 세대의 흐름에 따라 {{{{ { Adh}^{F } }}}} 유 전자형의 빈도증가와 상대적 {{{{ { Adh}^{S }}}}} 유전자형의 감소를 보였고, etha-nol은 ADH locu 상의 selective factor로서 작용함을 시사하여 주었다.

  • PDF

Deciphering the Genes for Taste Receptors for Fructose in Drosophila

  • Uchizono, Shun;Itoh, Taichi Q.;Kim, Haein;Hamada, Naoki;Kwon, Jae Young;Tanimura, Teiichi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10호
    • /
    • pp.731-736
    • /
    • 2017
  • Taste sensitivity to sugars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initiation of feeding behavior. In Drosophila melanogaster, recent studies have identified several gustatory receptor (Gr) genes required for sensing sweet compounds. However, it is as yet undetermined how these GRs function as taste receptors tuned to a wide range of sugars. Among sugars, fructose has been suggested to be detected by a distinct receptor from other sugars. While GR43A has been reported to sense fructose in the brain, it is not expressed in labellar gustatory receptor neurons that show taste response to fructose. In contrast, the Gr64a-Gr64f gene cluster was recently shown to be associated with fructose sensitivity. Here we sought to decipher the genes required for fructose response among Gr64a-Gr64f genes. Unexpectedly, the qPCR analyses for these genes show that labellar expression levels of Gr64d and Gr64e are higher in fructose low-sensitivity flies than in high-sensitivity flies. Moreover, gustatory nerve responses to fructose in labellar sensilla are higher in Gr64d and Gr64f mutant lines than in mutant flies of the other Gr64a-Gr64f genes. These data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deletion of GR64D or GR64F may indirectly induce enhanced fructose sensitivity in the labellum. Finally, we conclude that response to fructose cannot be explained by a single one of the Gr64a-Gr64f genes.

Drosophila melanogaster 한국지반에서 분리한 KP Elements의 DNA 염기서열 분석 (Molecular Analysis of KP Elements Derived from Korean Populations of Drosophifa mefanogaster)

  • Kim, Wook;Kim, Jeong-Soo;Shin, Dong-Ji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4-172
    • /
    • 1996
  • KP elements derived from Korean populations (Seoul, Cheonan and Taegu) of Drosophila melunoguster were examined for their molecular structure. The entire 1.15 kb sequence of the three KP elements KC-137 (Cheonan), KS-95 (Seoul) and KT-99 (Taegu) have been obtained by PCR amplification using inverted repeat primers and DNA sequencing. The 1.15 kb fragments of KP elements were cloned into pCRmll vector plasmids, and subsequently sequenced. The sequence of the three KP elements in these populations suggested that there might have been derived from the complete P element by a 1753 bp internal deletion between positions 808 and 2560. Therefore these KP elements were confirmed to be identical to that isolated from M'10 strains widely distributed in most Eurasian populations of D. melanoguster. Sequence comparison with the 2.9 kb complete P element in pn25.1 revealed that KC-137 has only shown to be two base substitutions of A to G and G to A at positions 62 and 242, respectively. The retained sequence of the two KP elements KS-95 and KT-99 shows complete homology to the P factor in pn25.1. Based on this result, the two base substitutions in KC-137 might be due to Taq DNA pollunerase error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high copy numbers of KP elements provieds an explanation for the suppression of P-mediated hybrid dvssenesis in Korean population of D. melunogoster.

  • PDF

The Mosquito Repellent Citronellal Directly Potentiates Drosophila TRPA1, Facilitating Feeding Suppression

  • Du, Eun Jo;Ahn, Tae Jung;Choi, Min Sung;Kwon, Ilmin;Kim, Hyung-Wook;Kwon, Jae Young;Kang, KyeongJ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10호
    • /
    • pp.911-917
    • /
    • 2015
  • Citronellal, a well-known plant-derived mosquito repellent, was previously reported to repel Drosophila melanogaster via olfactory pathways involving but not directly activating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Ankyrin 1 (TRPA1). Here, we show that citronellal is a direct agonist for Drosophila and human TRPA1s (dTRPA1 and hTRPA1) as well as Anopheles gambiae TRPA1 (agTRPA1). Citronellal-induced activity is isoform-dependent for Drosophila and Anopheles gambiae TRPA1s. The recently identified dTRPA1(A) and ag-TRPA1(A) isoforms showed citronellal-provoked currents with EC50s of $1.0{\pm}0.2$ and $0.1{\pm}0.03mM$, respectively, in Xenopus oocytes, while the sensitivities of TRPA1(B)s were much inferior to those of TRPA1(A)s. Citronellal dramatically enhanced the feeding-inhibitory effect of the TRPA1 agonist N-methylmaleimide (NMM) in Drosophila at an NMM concentration that barely repels flies. Thus, citronellal can promote feeding deterrence of fruit flies through direct action on gustatory dTRPA1, revealing the first isoform-specific function for TRPA1(A).

일회성 및 만성적 유산소운동이 초파리의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Differential Effects of Acute and Chronic Exercise on Autophagy-related Gene Expression in Drosophila melanogaster)

  • 김희연;김혜진;황지선;이원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180-1186
    • /
    • 2014
  • 자가포식은 자가포식소체에서 리소좀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통해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자가분해 시스템으로 다양한 질병과 관련된 운동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연구는 일회성 운동 혹은 저항성 운동에 의한 자가포식만을 조사한 것으로 일회성 운동과 만성적 운동을 함께 조사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회성 및 만성적 유산소운동이 자가포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White-eyed mutant Drosophila melanogaster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통제집단, 일회성 운동 집단, 일주일간 하루 2시간 또는 3시간씩 운동을 실시한 집단에 무선배정 하였고, 운동은 일회성 운동과 만성적 운동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정량 실시간 연쇄반응을 통해 Atg1, Atg6, Atg8a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일회성 운동은 Atg8a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Atg1, Atg6 mRNA 발현은 일회성 운동으로 유도되지 않았다. 또한 2시간의 만성적 운동에 의해서 Atg6 mRNA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Atg1, Atg8a mRNA 발현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3시간의 만성적 운동을 실시한 결과 Atg1, Atg6, Atg8a mRNA 발현이 각각 57%, 37%, 71%로 모두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일회성의 운동은 선별된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를 모두 활성화시키지는 못하지만 선택적으로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만성적 운동은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회성 및 만성적 유산소운동이 자가포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가 일회성 운동과 만성적 운동에 의해 차별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운동에 의한 자가포식 연구에 있어 운동 형태 및 지속시간 등을 고려한 보다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사료되는 바이다.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초시색상 패턴의 유전 및 이의 관련유전자 탐색 (Molecular cloning of Prophenoloxidase (PPO) gene related to melanin formation of elytra of Harmonia axyridis)

  • 김세희;서미자;박민우;유용만;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1호
    • /
    • pp.23-28
    • /
    • 2012
  • In order to cloning of PPO gene as a melanin formation related genes involved in hardening and pigmentation of insect integument or wing, we cloned cDNA and analyzed the sequence of PPO gene of H. axyridis. PPO2 primer were designed based on the sequences of PPO genes of Tribolium castaneum and Drosophila melanogaster, and then plasmid DNA were cloned from PCR products obtained from different two color patterns. When the plasmid DNA band pattern were digested by restriction enzymes, BamH1, Xba1, and EcoR1, we found same size band pattern. However, this sequence was not homologous to sequence of T. castaneum PPO gene. Using the primer designed based on the sequence of D. melanogaster, 209 bp PCR product was observed.

Mass Spectrometry-Based Screening Platform Reveals Orco Interactome in Drosophila melanogaster

  • Yu, Kate E.;Kim, Do-Hyoung;Kim, Yong-In;Jones, Walton D.;Lee, J. Eugene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2호
    • /
    • pp.150-159
    • /
    • 2018
  • Animals use their odorant receptors to receive chemical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 Insect odorant receptors differ from the G protein-coupled odorant receptors in vertebrates and nematodes, and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ir protein-protein interactions. Here, we introduce a mass spectrometric platform designed for the large-scale analysis of insect odorant receptor protein-protein interactions. Using this platform, we obtained the first Orco interactome from Drosophila melanogaster. From a total of 1,186 identified proteins, we narrowed the interaction candidates to 226, of which only two-thirds have been named. These candidates include the known olfactory proteins Or92a and Obp51a. Around 90% of the proteins having published names likely function inside the cell, and nearly half of these intracellular proteins are associated with the endomembrane system. In a basic loss-of-function electrophysiological screen, we found that the disruption of eight (i.e., Rab5, CG32795, Mpcp, Tom70, Vir-1, CG30427, Eaat1, and CG2781) of 28 randomly selected candidates affects olfactory responses in vivo. Thus, because this Orco interactome includes physiologically meaningful candidates, we anticipate that our platform will help guide further research on th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insect odorant receptor family.

한국산 노랑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 Alcohol dehydrogenase의 전기영동산 및 활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lectrophoresis and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of Drosophila melanogaster)

  • 정용재;윤연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5-136
    • /
    • 1980
  • 노랑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 Oregon-R strain과 Kwangju strain에서 발생단계에 EK라 합성되는 효소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1. Oregon-R strain 및 Kwangju strain의 발생 4단계에 따른 ADH isozyme pattern은 알에서 ADH 2, ADH 3, ADH 4가 나타났고,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서는 ADH 1, ADH 2, ADH 3, ADH 4, ADH 5가 모두 나타났다. 2. ADH isozyme의 단백질을 분석하여 보면 양극 방향으로 이동한 ADH 3, ADH 4, ADH 5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음극 방향으로 이동한 ADH 1, ADH 2는 적은 비율로 나타났다. 한편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서 ADH 3은 Oregon-R strain과 Kwangju strain에서 가장 큰 비율로 나타나지만, ADH 4에 대해서는 Kwangju Strain이 Oregon-R strain 보다 훨씬 낮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이 특이하였다. 3. 활성은 앞에서 가장 낮고 유충에서 높아지고 번데기에서 낮아서 성충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다. Strain 별에서도 모든 발생단계에서 Kwangju strain이 Oregon-R strain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을 활경요소에 의하여 변화될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Study of the Effects of Sodium Chloride on Segregation-Distorter Action in D. melanogaster: 4. Treatment of Sodium Chloride on the Pupal Stages

  • Chung, Yong-Jai;Kang, Moon-Ju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25-131
    • /
    • 1971
  • 초파리의 번데기 시기에 NaCl을 처리하였을때 우활율과 SD작용에 변동이 있는가를 보기 위하여 6가지 계통, 즉 SD 계통 4가지와 다른계통 2가지를 써서 6가지 농도의 NaCl사육배지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화율(즉 NaCl에 대한 저항성)은 계통간이나 NaCl의 농도간이나 다같이 매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우화율은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 저하는 완만한 편이고 발생의 각 단계중에서 번데기 시기가 NaCl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다. 3. SD계통의 우화율은 다른 계통에 비하여 대체로 낮은 편인데, 이것은 SD계통이 NaCl에 대한 저항성이 다른 계통에 비하여 약한 것을 말한다. 4. SD작용의 척도라고 볼 수 있는 k 값은 NaCl의 농도간에 유의한 차가 없으나 계통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Original-SD 계통의 k값은 Recombinant-SD계통의 k값보다 높고 또한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5. NaCl은 SD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발생의 어느 단계에 NaCl을 처리하거나 관계없이 일단 우화만 되면 SD작용에는 변동이 없다.

  • PDF

초고압 동결장비와 초고압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초파리의 감간분체 형성과정의 구조분석 (Rhabdomere Formation in Late Pupal Stage of Drosophila melanogaster; Observation Using High-Pressure Freezing and Freeze-Substitution, and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y)

  • 문지영;;;한성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1호
    • /
    • pp.35-42
    • /
    • 2007
  • 감간분체 (Rhabdomere)가 왕성하게 형성되는 번데기시기의 Drosophila melanogaster 광수용체 세포를 고정효과가 가장 좋은 high-pressure freezing (HPF)와 freeze-substitution (FS) 기법으로 고정한 후, 초고압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1000 KV 전압에서 관찰하였다. 후박절편(250nm)의 tilting image를 통하여 광수용체 세포에서 감간분체 형성의 세가지 형태가 관찰되었다. 첫째로, 감간분체의 육방정계 배열이 (hexagonal may) 서로 다른 각도로 존재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광수용체 세포의 세포질 안에서 감간분체 형성의 중간 과정으로 보여지는 작은 조각의 감간분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감각분체가 여러 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광수용체 세포의 세포질에는 최소한 세 가지의 소낭(vesicle)이 존재하였고, 이들 소낭들은 번데기 시기의 감각분체 형성을 주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들에 의하여 소낭이 감각분체 형성과 감각분체의 부분들이 모여서 감각분체를 완성되는 과정에 관여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