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useum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1초

Subjective evaluation of wide-viewing-angle stereoscopic contents in a dome theater

  • Yoon, H.;Abe, N.;Ohta, K.;Kawai, T.;Suzuki, S.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12권3호
    • /
    • pp.153-158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impressions gained by the members of the audience who have seen contents in a dome theater, based on their seating positions. Dome Theater Gaia provided the environment where the contents for evaluation were to be presented, and enquete (survey) was used as the investigative metho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ntation of wide-viewing-angle three-dimensional (3D) contents proved effective in enhancing the 3D effect and the presence in a dome theater. Moreover,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in relation to the impression evaluation of the contents for different seating positions, the optimal seating position varied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method of the 3D and 2D contents.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Anthozoa: 7. Scleractinia (Hexacorallia)

  • Song, Jun-Im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1-148
    • /
    • 1982
  • 한국산 六放珊瑚類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1969년 12월부터 1981년 7월까지 남한의 16개지역 (동해, 남해, 황해연안과 도서지방)으로부터 채집된 표본들을 동정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은 돌산호類에 속하는 5亞目 6科 11屬 17種을 얻었다. 이들은 모두 韓國未記錄種이며 다음과 같다. Psammocora profundacella, Alveopora japonica, Culicia japonica, Caryophyllia japonica, Cyathoceras niinoi, Heterocyathus aequicostatus, H. japonicus, Stephanocyathus (Odontocyathus) spiniger, Desmophyllum insignis, Flabellum distinctum, F. rubrum, F. transversale, Dendrophyllia boschmai, D. cribrosa, D. florulenta, Tubastraea aurea 및 T. coccinea.

  • PDF

과학관 챗봇 도슨트 개발을 위한 구조화된 시나리오의 틀 연구 (The Study of Framework of Structural Scenarios for Chatbot Docent in Science Centers and Museums)

  • 김홍정;이상원;정석훈;탁현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15-121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 관람객의 전시체험 활동을 지원하는 과학관 챗봇 도슨트를 위한 구조화된 시나리오의 틀을 개발하고 적용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초점집단 면답법(FGI)을 적용하였으며, 이들의 삼각 검증을 통해 과학관 챗봇 도슨트의 시나리오 틀을 구성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관 챗봇 시나리오 틀은 과학기술 수집자료용과 탐구기반 전시품용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들 과학관 챗봇 도슨트용 시나리오 틀은 크게 주 정보 차원과 스토리텔링 차원으로 구성하였고 특히, 탐구기반 전시품용 챗봇 도슨트 시나리오 틀은 과학 전시품의 동작 및 관람객의 조작을 고려하여 사용방법 차원을 추가하였다. 이 연구는 과학관이 이미 구축한 데이터를 기초로 인공지능 챗봇의 시나리오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관람객 중심의 전시해설 시나리오와 같은 체험활동 시나리오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시대 중완구의 제작 기술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ronze Medium Mortars(Jungwangu, 中碗口) in Joseon Dynasty)

  • 허일권;김해솔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6권
    • /
    • pp.161-182
    • /
    • 2021
  • 완구(碗口)란 유통식 화기로 발사체 장전 부분이 사발(碗) 형태인 화포이다. 발사체로는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나 단석(團石) 등을 사용하였다.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이서(李曙), 1635)에 의하면, 대·중·소·소소완구 등 총 4종으로 구분되며, 실물은 대완구 1점(보물 제857호), 중완구 2점(보물 제858호, 제859호) 등 총 3점이 전한다. 본 연구에서는 임진왜란기에 제작된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중완구(보물 제858호)와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소장 중완구(보물 제859호)의 과학적 조사를 토대로 제작 기술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국내 현전하는 중완구가 단 두점인 만큼 정밀 3D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세부 제원을 서로 비교하고, 동 시기의 문헌 기록 수치와 함께 검토하였다. 전체 크기차는 근소하나 중량에서 5,507g의 차이를 보이고, 세부적으로 심지구멍 위치와 손잡이 길이가 상이하다. 한편 현전 중완구는 『화포식언해』의 중완구 제원과 가장 유사하다. 두 번째로는 중완구의 성분을 분석하고 기존 청동제 화약 무기와 함께 검토하였다. 표면 성분 분석결과, 중완구는 Cu-Sn-Pb의 삼원계 합금이며, 평균 함량(wt%)은 Cu 85.24 : Sn 10.16 : Pb 2.98이다. 중완구의 재료 성분은 기존에 조사된 조선 청동 화약 무기의 평균 성분과 매우 유사하며, 중세 유럽의 청동제 화포 재료(Gun-metal)와도 유사한 경향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완구 표면의 주조 결함(casting defect)과 CT 상을 토대로 주조 기법을 추정하였다. 측면의 주조분할선으로 보아 주형을 반으로 나눈 분할 제작(piece mold)이며, 용탕의 주입은 약실끝 부분으로 포구가 바닥에 오는 수직 주형 설계로 추정한다. 특히 포신 기벽에서 주형과 코어를 고정하는 보조 장치인 채플릿(chaplets)이 확인되므로 이는 기벽을 일정하게 형성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한편 보물 제858호와 제859호 중완구 두 점은 외형이 매우 유사하지만, 채플릿의 수량과 배치가 상이하여 주형 설계 일부가 달랐을 것으로 예상한다.

자연사 박물관을 위한 웨어러블 증강현실과 3차원 인터랙션 (Wearable Augmented Reality and 3D Interaction for Natural Museum)

  • 황재인;김준호
    • 방송과미디어
    • /
    • 제19권3호
    • /
    • pp.103-11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자연사 박물관에서 활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증강현실 기술과 3차원 인터랙션 기술에 대해서 논한다. 자연사 박물관에서 웨어러블 증강현실을 사용하기 위하여 실재감 있는 3차원 콘텐츠를 생성하고 정합하는 것에 대하여 언급한다. 그리고 자연사 박물관 상황에 맞는 카메라 추적 및 정합방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고 충분한 몰입경험을 줄 수 있는 뷰어 개발을 진행하였다. 초기 단계이기는 하지만 사용자가 맨손으로 3차원 콘텐츠와 인터랙션을 할 수 있는 기법도 소개한다.

A New Record of Disparia diluta from Korea, with Note on Disparia nihonica (Lepidoptera: Notodontidae)

  • Kwon, Young-Dae;Ji, Eun-Mi;Park, Kyu-Te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1호
    • /
    • pp.35-37
    • /
    • 2010
  • A notodontid moth, Disparia diluta (Hampson, 1910)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taxonomical note for D. nihonica (Wileman, 1911) is given. The male genitalia of D. nihonica (Wileman) were erroneously illustrated as those of Neodrymonia delia (Leech) by Tshisjakov and Kwon (1999), and Schintlmeister (2008) cited D. nihonica (Wileman) to be distributed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illustration.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 측정: 뒤주의 사례연구 (Tree-Ring Dating for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A Case Study on Rice Chests)

  • 김요정;김수철;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8-194
    • /
    • 2007
  • Tree-ring dating can be used to date scientifically prehistoric timbers, historical buildings or woodcrafts. It can give a calendar year to each tree ing and produces the felling dates of logs or wood panels. In this study, we applied tree-ring dating to three rice chests, whose dates of manufacturing are unknown. According to the shape of frame, we assumed that they should be made in Cholla Province. The last rings of the woods of three rice chests were dated A.D. 1830, A.D. 1870 and A.D. 1901, respectively. Tree-ring patterns indicated that two of them were collected from Kangwon province.

  • PDF

조선통보의 주조원료와 산지 연구(I) (Raw Material and Provenance of Chosen-Tongbo (I))

  • 강형태;김규호;허우영;평미양광
    • 보존과학회지
    • /
    • 제16권
    • /
    • pp.15-20
    • /
    • 2004
  • 조선시대 최초의 동전은 조선통보이며 1423년에 주조되었다. 조선통보 2점을 입수하여 원자흡수분광분석법 및 중성자방사화분석법으로 모두 9종의 성분함량을 결정하였고 열이온화질량분석법으로 납동위원소비를 결정하여 원료의 산지를 추정하였다. 조선통보의 성분조성은 $Cu\;90\%,\;Pb\;3\~4\%,\;Sn\;2\~3\%$ 로서 중국과 일본의 동전과는 다른 조성을 나타내었다.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 중국남부 방연석 분포범위에 속하였으며 통계적 분석법으로서 선형판별식분석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과학탐구공동체 제안을 위한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교육적 잠재성 탐색: 지진 주제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the Exhibit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s Socioscientific Learning Materials in the Context of Proposing Science Inquiry Communities: Earthquake Topic)

  • 이선경;신명경;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06-519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공동체 구성을 위한 잠재적인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의 교육적 잠재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과학 탐구공동체는 과학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 방법의 학습으로 연결되는 과학실습의 한 형태로 제안하였다. 공동체 학습은 주변에서 접하게 되는 과학-기술-사회적인 이슈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사 박물관 전시가 이러한 사회과학적인 이슈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는 자연사박물관의 과학탐구공동체로의 가능성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음을 전제로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 잠재성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과학적 소재로서 적용 가능한 지진' 학습의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해, 첫째 미국 뉴욕시의 미국 자연사박물관과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미국국립자연사박물관의 지진 관련 전시물과 지구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두 박물관의 관계자와 인터뷰하여 이와 관련한 박물관의 교육적 의도와 노력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한 주제와 관련된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박물관의 전시는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사회과학적 소재인 '지진'의 다양하고 실제적인 사례와 사건에 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상 박물관은 지역적 흥미와 사회과학적 이슈와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박물관의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음을 알았다. 지진이란 주제를 관람객에게 적절하도록 하기 위해 전시특성에 있어 원자료나 상호작용적 매체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경험의 전달을 강조되고 있음을 알아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