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ronze Medium Mortars(Jungwangu, 中碗口)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중완구의 제작 기술

  • Huh, Ilkwo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Kim, Haesol (Curatorial Affairs Office, Jinju National Museum)
  • 허일권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김해솔 (국립진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Received : 2021.10.01
  • Accepted : 2021.10.28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A jungwangu, a type of medium-sized mortar, is a firearm with a barrel and a bowl-shaped projectileloading component. A bigyeokjincheonroe (bombshell) or a danseok (stone ball) could be used as a projectile. According to the Hwaposik eonhae (Korean Translation of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of Artillery, 1635) by Yi Seo, morta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its size: large, medium, small, or extra-small. A total of three mortars from the Joseon period have survived, including one large mortar (Treasure No. 857) and two medium versions (Treasure Nos. 858 and 859). In this study, the production method for medium mortars was investigated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of the two extant medium mortars, respectively housed in the Jinju National Museum (Treasure No. 858) and the Korea Naval Academy Museum (Treasure No. 859). Since only two medium mortars remain in Korea, detailed specif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m based on precise 3D scanning information of the items, and the measurements were compared with the figures in relevant records from the perio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the two mortars showed only a minute difference in overall size but their weight differed by 5,507 grams. In particular, the location of the wick hole and the length of the handle were distinct. The extant medium mortars are highly similar to the specifications listed in the Hwaposik eonhae. The composition of the medium mortars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other bronze gunpowder weapons. The surface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edium mortars were made of a ternary alloy of Cu-Sn-Pb with average respective proportions of (wt%) 85.24, 10.16, and 2.98. The material composition of the medium mortars was very similar to the average composition of the small gun from the Joseon period analyzed in previous research. It also showed a similarity with that of bronze gun-metal from medieval Europe. The casting technique was investigated based on a casting defect on the surface and the CT image. Judging by the mold line on the side, it appears that they were made in a piece-mold wherein the mold was halved and using a vertical design with molten metal poured through the end of the chamber and the muzzle was at the bottom. Chaplets, an auxiliary device that fixed the mold and the core to the barrel wall, were identified, which may have been applied to maintain the uniformity of the barrel wall. While the two medium mortars (Treasure Nos. 858 and 859) are highly similar to each other in appearance,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the arrangement of the chaplets between the two items it is likely that a different mold design was used for each item.

완구(碗口)란 유통식 화기로 발사체 장전 부분이 사발(碗) 형태인 화포이다. 발사체로는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나 단석(團石) 등을 사용하였다.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이서(李曙), 1635)에 의하면, 대·중·소·소소완구 등 총 4종으로 구분되며, 실물은 대완구 1점(보물 제857호), 중완구 2점(보물 제858호, 제859호) 등 총 3점이 전한다. 본 연구에서는 임진왜란기에 제작된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중완구(보물 제858호)와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소장 중완구(보물 제859호)의 과학적 조사를 토대로 제작 기술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국내 현전하는 중완구가 단 두점인 만큼 정밀 3D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세부 제원을 서로 비교하고, 동 시기의 문헌 기록 수치와 함께 검토하였다. 전체 크기차는 근소하나 중량에서 5,507g의 차이를 보이고, 세부적으로 심지구멍 위치와 손잡이 길이가 상이하다. 한편 현전 중완구는 『화포식언해』의 중완구 제원과 가장 유사하다. 두 번째로는 중완구의 성분을 분석하고 기존 청동제 화약 무기와 함께 검토하였다. 표면 성분 분석결과, 중완구는 Cu-Sn-Pb의 삼원계 합금이며, 평균 함량(wt%)은 Cu 85.24 : Sn 10.16 : Pb 2.98이다. 중완구의 재료 성분은 기존에 조사된 조선 청동 화약 무기의 평균 성분과 매우 유사하며, 중세 유럽의 청동제 화포 재료(Gun-metal)와도 유사한 경향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완구 표면의 주조 결함(casting defect)과 CT 상을 토대로 주조 기법을 추정하였다. 측면의 주조분할선으로 보아 주형을 반으로 나눈 분할 제작(piece mold)이며, 용탕의 주입은 약실끝 부분으로 포구가 바닥에 오는 수직 주형 설계로 추정한다. 특히 포신 기벽에서 주형과 코어를 고정하는 보조 장치인 채플릿(chaplets)이 확인되므로 이는 기벽을 일정하게 형성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한편 보물 제858호와 제859호 중완구 두 점은 외형이 매우 유사하지만, 채플릿의 수량과 배치가 상이하여 주형 설계 일부가 달랐을 것으로 예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은선, 임진왜란시기 조선군의 화기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10-13, (2007).
  2. 有馬成甫, 火砲の起源とその傳流, 吉川弘文館, p225-232, 東京, (1962).
  3. 王兆春, 中國科學技術史: 軍事技術卷, 科學出版社, p138, 北京, (1998).
  4. 이서 저, 정호완 역, 화포식언해.신전자취염소방언해, p5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 (2013).
  5. 「세종실록」 권1, 세종 즉위년 8월 14일(신묘).
  6. 「세종실록」 권78, 세종 19년 7월 27일(을묘).
  7. 「세종실록」 권78, 세종 19년 7월 27일(을묘).
  8. 「선조수정실록」권26, 선조 25년 9월 1일(정사).
  9. 「선조실록」 권96, 선조 31년 1월 1일(정해).
  10. 국립진주박물관, 동아시아 7년 전쟁, 임진왜란(1592-1598), p159,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진주, (2019).
  11. 이서 저, 정호완 역, 화포식언해.신전자취염소방언해, p87-8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 (2013).
  12. 허일권, 김해솔,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출토 비격진천뢰의 제작기법,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비격진천뢰의 발굴과 연구 심포지엄, p61-62, (2019).
  13. 김해솔, 허일권,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출토 비격진천뢰의 제작기법과 보존처리, 박물관보존과학 24, p20, (2020).
  14.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석재, http://www.kofta.org/architecture/Material/traditionstone.jsp, (2021).
  15. 박종경 저, 강신엽 역, 조선의 무기II: 융원필비, p41-46, 봉명, (2004).
  16. 허일권, 조선 청동제 소형 총통의 제작 기술,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78-121, (2021).
  17. 이종봉, 한국 도량형사, p258, 소명출판, 서울, (2016).
  18. 송응성 저, 최주 역, 천공개물, p357, 전통문화사, 서울,(1997).
  19. 박종경 저, 강신엽 역, 조선의 무기I: 훈국신조군기도설.훈국신조기계도설, p15-25, 봉명, 고양, (2004).
  20.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품목질」, 3월 일(정유).
  21. 「가례도감의궤영조정순왕후」 「이방의궤」 「품목질」.
  22. 이규경 저, 최주 역, 오주서종박물고변, p66-76, 학연문화사, 서울, (2008).
  23. Scott, D.A., Metallography and Microstructure of Ancient and Historic Metals, p120-123,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Los Angeles, California, (1991).
  24. 유혜선,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의 성분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 종합조사연구, p102-119,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서울, (2009).
  25. Forshell, H., Bronze cannon analysis: alloy composition related to corrosion picture, Armemusei rapportserie, (1984).
  26. Guilmartin, J.F.JR., Gunpowder & Galleys-Changing Technology and Mediterranean Warfare at Sea in the 16th Century, Conway Maritime Press, (2003).
  27. Gnesin, G.G., Revisiting the History of Materials Science Metals and Alloys of the Bronze Age: From Middle to Modern Times. I. Copper and Its Alloys, Powder Metallurgy and Metal Ceramics 53, (2014).
  28. 염희택, 이계완, 주조공학, p200-212, 문운당, 서울, (1986).
  29. 윤용현, 청동유물의 주조와 복원기술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1-40, (2013).
  30. 허일권 외, 평창 수다사지 청동금고 주조기법과 보수 방식, 박물관보존과학 15, (2014).
  31. 조수연, 문희권, 주조응고학(개정2판), p111-112, 구민사, 서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