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okin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노니 지표성분 6종과 발효노니의 면역활성 증진 효과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ies of Fermented Morinda citrifolia L. (Noni) and Six Marker Compounds)

  • 최선일;한웅호;문효;이세정;김용덕;나임정;성금수;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3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발효노니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발효노니 추출물 및 지표성분의 면역활성 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발효노니 추출물 및 지표성분 6종을 처리하여 XTT 세포독성평가, Nitric Oxide 생성 측정, Cyokine 생성 측정, immune marker genes 발현분석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양성대조군으로 LPS와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발효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모든 처리 농도 및 처리군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지표성분 6종 중 SCP 및 ASE에서 NO 생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ASE 처리군에서는 IL-6 및 IL-1β의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iNOS 및 TNF-α의 immune marker genes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발효노니 추출물 효능 평가에서는 발효시 NO 생성 및 IL-6, IL-1β의 생성, COX2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발효노니 추출물 및 지표성분의 선천면역 활성증가를 타나내며 노니 및 발효노니 표준화 연구에서 지표성분으로 사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발효노니는 면역증진 활성을 갖는 제품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지표성분은 유용성분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황연(黃連) 추출물이 대식세포의 면역단백질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ptidis Rhizoma Extract on Cytokine Production of Mouse Macrophages)

  • 김복기;한효상;이영종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1-89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Coptidis Rhizoma (CCE-extract of C. chinensis Rhizome) in induction of immune protein on mouse macrophages. Methods : To analyze cytokines interleukin(IL)-$1{\alpha}$, IL-3, IL-9, IL-12p40, IL-13, IL-17,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MCP)-1 induced by macrophages, mouse macrophages were incubated with CCE and was measured. Results : IL-$1{\alpha}$ measurement, CCE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nly at concentration level of 200 ${\mu}g/mL$. IL-3, MCP-1 measurement, CCE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nly at concentration level of 100, 200 ${\mu}g/mL$. IL-9 measurement, CCE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nly at concentration level of 50 ${\mu}g/mL$. IL-13 measurement, CCE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nly at concentration level of 50, 100, 200 ${\mu}g/mL$. The IL-12p40, IL-17 levels indicated no changes at 25, 50, 100, 200 ${\mu}g/mL$ on mouse macrophages. Conclusions : CCE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flammatory cytokines IL-$1{\alpha}$, IL-3, IL-9, IL-12p40, IL-13, IL-17,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MCP)-1 on mouse macrophages. It was verified CCE does not trigger cytokine related hypersensitivity reaction of organism or exacerbation of acute/chronic inflammatory disease.

천연물 복합체가 추출물(알러큐)의 알러지 유발 흰쥐에 대한 항알러지 효과 (Anti-Anaphylactic Effects of Natural Extract Compounds(AllerQ) in the Rats)

  • 서경석;권명상;조정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25-437
    • /
    • 2004
  • Medicinal plants are of great importance in providing healthcare to a large portion of the population in Korea. A number of plants are described in Dong-Ui-Bo-Gam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orders, namely psoriasis, eczema, bronchial asthma, etc.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AllerQ, which is multi-complexes of various plants extracts such like Mori folium, Scutellaria baicallensis, Glycyrrhiza uralnsis, Mentha sacharinensis and Poncirus trifoliata on compound 48/80 induced anaphylactic shock, ovalbumin induced asthma in vivo and anti-IgE antibody induced hypersensitivity in vitro. We found antianaphylactic or antiallergic properties of AllerQ when given orally. AllerQ for prophylactic treatment for anaphylactic shocks have produced good results. AllerQ may modulate various aspects of immune function and allergic inflam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se the effects of AllerQ on mast cell degranulation, mortality, cAMP/cGMP, O₂, H₂O₂ level, cyokine production and on the elicitation of IgE-mediated mast cell-dependent allergic inflammation in vivo and in vitro. We have established that AllerQ inhibited histamine release, cAMP/cGMP, O₂, H₂O₂ level, IL-4,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α) and IL-6 production without having any significant physical change. These effects have been observed in mast cell(in vitro) and serum(in vivo) derived from three different origins that were activated by either immunological or non-immunological stimul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anaphylactic and antiasthma tic action of AllerQ may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intracellular inhibition of the cAMP phosphodiesterase. Furthermore, AllerQ identified as potent inhibitors on O₂, H₂O₂ and cytokine activity. these data suggest that AllerQ may have an inhibitory role in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and thus might be considered as an useful functional food.

  • PDF

백서 간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Apoptosis와 Cytokine 발현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ation-Induced Apoptosis and the Expression of Cytokines in the Rat's Liver)

  • 안은주;이경자;이정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205-213
    • /
    • 2000
  • Purpose : 백서의 간에서 나타나는 방사선조사에 의한 조직손상에서 IL-1, IL-4, IL-6, TNF 등의 cyokine과 apoptosis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백서의 전신에 8 Gy의 방사선조사 후 각 1일, 3일, 5일, 7일, 14일에 간 조직의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apoptosis의 발현빈도를 확인하였으며, IL-1, IL-4, IL-6군 및 TNF 등의 cytoklne에 대해서 면역조직화학염색 방법과, 간 조직과 혈액에서의 IL-6의 생물학적 활성도 측정 및 방사선 면역측정 등의 실험을 하였다. 결과 : 방사선조사에 의한 간 손상은 광학현미경 소견상 방사선조사 후 1일부터 관찰되어, 3일과 5일에 염증세포의 침윤과 함께 가장 심하게 나타났고, 7일 이후부터는 섬유화가 시작되었다. Apoptosis의 발현빈도는 광학현미경 소견과 in situ detection method 모두에서 방사선조사 후 1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소견상, IL기과 TNF의 발현은 조사 후 1일과 3일에 보였고, IL-4는 모든 군에서 발현되지 않았다. IL순는 방사선조사 후 1일과 3일에 강양성으로 나타난 후 점차 감소하였고, 간 조직과 혈액에서의 IL푼의 생물학적 활성도와 방사선면역측정에서도 방사선조사 후 1일에 가장 높고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결론 : 간에 방사선조사를 시행한 결과 IL-1, IL-6군 및 TNF와 같은 cytokine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이들 cylokine의 분비가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apoptosls가 방사선조사에 의한 간 손상에 중요한 기전의 하나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