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lindrical Power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축 대칭 지형 위를 전파하는 장파의 해석해 (Analytical Solution for Long Waves on Axis-Symmetric Topographies)

  • 정태화;이창훈;조용식;이진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B호
    • /
    • pp.413-4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바닥의 수심이 반경의 임의 차수의 제곱 꼴로 표현되는 다양한 형태의 축 대칭 지형 위를 통과하는 장파의 해석해를 유도하였다. 첫 번째 지형은 둔덕 위에 원기둥 모양의 섬이 있는 경우이며 두 번째는 원형의 섬이 있는 경우이다. 해를 구하기 위하여 변수 분리법, Taylor 급수전개법 및 Frobenius 급수법을 사용하였다. 유도된 해석해를 기존에 유도된 해석해와 비교를 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 하였다. 또한, 입사파의 주기, 둔덕의 반지름 및 차수를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굴절이상과 시력교정 (Measurement of Refractive Error and the Prescription for Ametropia with Refractometer and Visiontester)

  • 최영준;서용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1-76
    • /
    • 1997
  • 18세에서 26세 사이의 남자 64 명, 여자 36명의 안경장용자를 대상으로 나안시력과 타각적 굴정이상, 완전교정도수, 장용감 테스트를 하여 적절한 처방도수를 구했다. 나안시력 0.1을 1.0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등가구면도수가 남자 -3.00D, 여자 -2.91D 정도가 필요했고, 0.5시력을 1.0.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 등가구면도수가 남자 -0.58D, 여자 -1.38D 정도가 필요했다. 나안시력과 교정도수와는 선형적으로 반비례하지는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나안시력이 낮을수록 교정에 필요한 교정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타각적 굴절이상치와 완전교정도수, 처방도수를 비교했을 때 타각적 굴절이상치 보다는 완전교정도수가 대체적으로 낮았고, 처방도수는 그보다도 더욱 낮은 도수를 나타냈다. 난시도수는 2.50D 미만이었으며, 도난시 보다는 직난시가 훨씬 많았다. push up법으로 조정력을 측정한 결과 남자는 6.75D~10.04 D, 여자는 7.5D~9.6D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 PDF

플라즈마 가스 개질 응용을 위한 3상 아크 플라즈마 토치 시스템 특성 실험 (Basic Performance Test of a Three Phase AC Arc Plasma Torch System for Plasma Gas Reforming)

  • 이동현;다리안;박해원;이남기;백상윤;양시영;서준호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8-16
    • /
    • 2023
  • In this work, we report basic performance test results of a lab-scale three phase alternative current (AC) arc plasma torch system for plasma gas reforming applications. The suggested system primarily consists of three graphite electrodes inclined at 12.5° to the central axis, a 𝞥 150 mm cylindrical gas path and a three phase-60 Hz AC power supply. At air flow rate of 50 Lpm and arc currents of 100-175 A, test results revealed that plasma resistances were decreasing from 1.08 Ω to 0.53 Ω with the increase of plasma power from 9.3 kW to 13.8 kW, causing the decrease of power factor and increase of the line voltages. However, the injected air can be heated quickly up to the temperatures of >1,200℃ when injecting AC arc plasma powers of >10 kW.

외부 유체와 연성된 도파관의 진동 및 소음 해석 기법 (A Numerical Method for Analysis of the Sound and Vibration of Waveguides Coupled with External Fluid)

  • 유정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448-457
    • /
    • 2010
  • 단면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무한길이 도파관 구조물 (waveguide structures)에 대한 진동 및 파동전파 특성은 도파관유한요소법 (waveguide finite element method, WFEM)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파관유한요소법은 2차원 단면만을 FE 모델링하여 해석하므로 모델의 크기가 작고 연산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도파관 구조물이 외부 유체와 연성된 경우, 원통형 실린더 또는 파이프와 같이 단면의 형상이 단순한 경우에는 이론적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복잡한 형상의 단면을 가진 도파관구조물이 유체와 연성된 경우에는 수치해석 방법이 요구된다. 외부 유체와 연성된 도파관 구조물은 외부 유체와 도파관유한요소 (WFE)를 연성시켜 해석하는 수치해석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유체 모델링에 경계요소 (Boundary Element)를 도입하고 이를 도파관유한요소와 연성시킨 WFE/BE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의 적용 예로써 단순형상의 파이프에 대해 외부 유체의 유/무에 따른 분산선도와 가진점 모빌리티 (point mobility)를 구하고 이를 이론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WFE/BE 방법을 이용해 파이프에서 외부 유체로 방사되는 음향파워를 구하고 접수 유/무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면 RGP 렌즈의 처방 굴절력 예측 (Predicting Powers of Spherical Rigid Gas-permeable Lenses Prescription)

  • 유동식;유종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9-225
    • /
    • 2010
  • 목적: 굴절력 매트릭스와 가감 계산을 이용하여 구면 RGP 렌즈의 처방 굴절력 예측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대 55명 110안(남 36명, 여 19명 나이 $24.60{\pm}1.55$세)을 대상으로 비조절마비굴절검사와 덧댐굴절검사는 각막곡률측정 기능이 내장된 자동굴절력계를 이용한 타각적 검사와 자각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누액렌즈는 각막곡률과 RGP 렌즈의 베이스커브로부터 계산하였다. 현성굴절력과 누액렌즈로부터 매트릭스와 가감 계산에 의해 예측된 RGP 렌즈의 굴절력과 덧댐굴절검사 값을 구면(Sph), 등가구면(SE) 및 난시 굴절력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차이(MD)와 95% 일치도 범위(LOA=$24.60{\pm}1.55$)는 Sph (0.61D, $0.61{\pm}0.86D$)보다 SE (0.26D, $0.26{\pm}0.70D$)에서 좋았다. 실린더 굴절력에서 매트릭스와 가감 계산 사이의 평균차이와 일치도(-0.13D, $-0.13{\pm}0.53D$)는 다른 것(매트릭스와 덧댐굴절검사: -0.24D, $0.24{\pm}0.84D$; 가감 계산과 덧댐굴절검사, -0.12D, $0.12{\pm}1.00D$)보다 좋았다. 구면 RGP 렌즈의 적합성은 매트릭스에서 54.5%, 가감 계산에서 66.4%, 덧댐굴절검사에서 91.8%였으며, 가감 계산이 덧댐굴절검사에 근접하였다. 결론: 안경(또는 전체)난시와 각막난시의 축이 다르더라도 구면 RGP 렌즈 피팅 가능성과 처방 굴절력의 예측에서 매트릭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가감 계산에 의한 등가구면 적용이 더욱더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