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utting media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5초

삽목조건이 희귀수종 눈향나무의 발근과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Condition on Rooting and Early Growth of a Rare Endemic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

  • 안상열;안병섭;박수정;김주현;이상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73-80
    • /
    • 2011
  • 눈향나무의 효율적인 삽목번식 체계를 확립하고자 삽목시기, 삽목용 상토, 삽수, 발근촉진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삽목 후의 생존율, 발근율 및 초기생장상태를 조사하였다. 삽목시기에 따른 발근율은 4월 68.3%, 5월 39.5%, 6월의 32.5%로서 4월이 가장 적합하였다. 삽목용 상토는 냇모래 72.7%, 혼합토 40.1%, 마사토 27.5%로서 냇모래가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고, 뿌리의 생장도 좋았다. 발근촉진제 처리 효과는 발근율이 높은 냇모래에서는 효과가 없었지만, 발근율이 낮은 마사토에서는 무처리구 41.1% 에 비해 IAA 64.4%, IBA 64.4%, NAA 68.9%로서 발근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삽수의 숙도면에서는 숙지삽을 이용하는 것이 반숙지삽을 이용하는 것보다 생존율이나 발근율이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눈향나무 삽목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조건은 냇모래에 숙지삽 상태로 4월에 삽목하는것이라 할 수 있다.

온도(溫度) 및 삽목조건(揷木條件)이 백리향의 발아(發芽)와 발근(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emperature and Cutting condition on Germination and Rooting of Thymus quinquecstaus)

  • 박노복;권영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95-101
    • /
    • 2009
  • 약용 및 관상식물로 개발가치가 있는 백리향의 종자발아 및 삽목조건 구명을 위한 몇 가지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종자발아는 20℃ 광 조건에서 89%의 발아율로 가장 좋았다. 적정 삽목시기는 5월20일이 94%의 발근율로 가장 양호했고, 삽목용토는 단용보다는 peatmoss(50%) + perlite(50%) 혼용처리에서 좋았으며 삽목전 삽수의 IBA 처리농도는 100mg/L 침지처리에서 96% 발근율을 나타내었다.

국내 콘텐츠 소비자의 코드커팅 요인 연구 (What Drives Korean People to Cut the Cord?)

  • 권혁인;김주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31-53
    • /
    • 2020
  • The traditional media ecosystem is facing major changes with the expansion of over-the-top (OTT) services. While the percentage of people cutting the cord has already exceeded the percentage of people subscribing to pay TV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arket, it is uncertain whether the cord-cutting trend will have an impact on the Korean media industry despite of the advantages of OTT services. Accordingly, this study has directly determined the beneficial and sacrificial factors of switching to OTT services, as well as the personal and external influences behind the Korean OTT service users' intention to switch. To achieve this,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VAM) was used to measure the benefits of OTT services with regards to their content and systems, as well as measure the financial and procedural switching costs of cord-cutting; further, personal innovativeness and consumers' social image were added as external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nsumers take the content and system quality of OTT services and procedural switching costs and into consideration, and that their intention to switch was based on social image. These results could serve as data for consumer analysis regarding the expansion of OTT services into the Korean media industry, and also provide the strategic basis for preparing for sudden changes that may occur in the media ecosystem due to cord-cutting.

신규 항암소재의 개비자나무의 삽목증식 (Propagation of a New Anticancer Plant, Cephalotaxus koreana, by Cutting)

  • 정명석;현정오;이욱;패들리 야하 앤디;백을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491-495
    • /
    • 2009
  • 본 연구는 새로운 항암소재로 가치가 증대되고 있는 개비자나무의 자원을 보존하고 삽목에 의한 증식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식물생장조절물질, 삽목배지 온도, 배양토가 삽목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삽목에 의한 증식체계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발근율과 발근 특성을 고려한 식물생장조절물질 및 농도는 IBA 100 mg/L 처리구가 발근율 88.5%를 비롯한 모든 특성에서 가장 높게 발근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지온도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은 $24^{\circ}C$ 삽목의 경우, IBA 100 mg/L 처리구에서 발근율 84.6%로 가장 좋은 효과를 보여 6~7월의 녹지삽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배양토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은 VPPL(vermiculite+peatmoss+perlite 1:1:1(v/v/v)) 처리구가 발근율 68.5%를 비롯한 모든 특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Coreopsis spp와 Dianthus spp의 삽목 시 삽목시기, 용토 및 프러그 셀 크기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time, media and plug cell size on rooting of Coreopsis spp and Dianthus spp.)

  • 박노복;신윤경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2권1호
    • /
    • pp.39-45
    • /
    • 2010
  • 본 연구는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의 삽목시기와 용토, Plug 규격이 생육 및 발근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 두 품종 모두 삽목 시기가 늦어질 수록 발근율과 발근 수가 낮아졌다. 5월 20일에서 8월20일 삽목 처리구에서는 두 품종 모두 90% 이상 발근하였으나 9월 20일 삽목한 처리구에서는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 두 품종이 각각 87%와 82%의 저조한 발근율을 보였고 발근 수 역시 9월 20일 처리구가 가장 저조하였다. 또한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 두 품종 모두 모래를 제외한 모든 용토에서 90%이상 발근되었고 peatmoss(1)+perlite(1) 혼합용토에서 발근수가 가장 많았다. Coreopsis spp는 plug 162공에서 발근율이 98%로 가장 높았고 Dianthus spp는 162공과 200공에서 각각 발근율이 95.8%와 96%로 높고 근권부 형성율이 좋았다.

잎무늬종 맑은대쑥의 줄기삽목시 삽수부위, 용토 및 오옥신 처리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Position, Media and Auxin on Rooting of Leaf Variegated Artemisia keiskeana Stem Cuttings)

  • 윤희정;이종석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29-32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의 잎무늬종 맑은대쑥(Artemisia keiskeana)을 원예 및 조경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삽목 시 삽수부위, 용토의 종류 및 오옥신류의 처리가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삽수부위별 처리에 있어서 신초의 정단부보다 중간부와 기부를 삽수로 이용하는 것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에 좋았으며 특히 중간부의 경우, 발근율이 68.3%로 가장 높았다. 삽목용토에 있어서 피트모스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늦었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 발근율과 생존율 모두 낮았던 반면, 버미큘라이트에서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빨랐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도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발근율 88.3%, 생존율 99.2%로 용토처리 중 가장 좋았다. 오옥신 처리를 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발근율과 생육이 우수했다. 대조구는 발근율이 41%로 낮았으나 처리를 한 경우 발근율이 80%이상으로 현저히 높았다. NAA를 처리한 경우가 IBA를 처리한 것에 비해 근장과 근수를 포함한 지하부의 생육이 좋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과 발근율이 높았으며 지하부의 생육도 좋았다.

저장온도 및 삽목용토가 감국 삽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Rooting Media on Growth of Cuttings in Chrysanthemum indicum L.)

  • 양수진;이시영;이한나;임정대;정일민;송홍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79-485
    • /
    • 2016
  • Background: Planting vigorous cuttings that quickly develop shoots and roots is essential to the biological and economic success of producing medicinal flower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duration on seedling capacity in the propagation of Chrysanthemum indicum 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oting media on the growth of C. indicum L. after cutting. Methods and Results: Returning cuttings to supplemental cold storage ($2.0{\pm}1.0^{\circ}C$) may extend duration of cutting viability 6 weeks, returning cuttings to supplemental warm storage ($25.0{\pm}1.0^{\circ}C$) is not recommended. The treatment of the growing media experiments, which were conducted in the 2014 planting seasons, included sawdust, river sand, topsoil + sawdust, topsoil + poultry manure, sawdust + river sand, river sand + poultry manure, topsoil + river sand + poultry manure, topsoil + poultry manure + river sand + sawdust. Result indicated that the topsoil + poultry manure media performed best and supported the highest number of branches (3.47), branch length (26.39), and number of leaves (88.63).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old storage and the topsoil + poultry manure growth media was superior in supporting the early establishment of C. indicum cutting, this result will have a tremendous influence on propagation of this species.

생열귀나무 삽목시 발근과 뿌리생장에 미치는 삽수종류, 생장조절물질 및 상토의 효과 (Effect of cutting type, growth regulators and propagation media on rooting and root growth of on Rosa davurica $P_{ALL}$)

  • 이화영;임정대;김일섭;정일민;유창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0-146
    • /
    • 2000
  • 생열귀나무의 번식에 관한 연구로 숙지, 녹지, 반녹지삽 및 근삽등의 삽목번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숙지, 녹지, 반녹지삽으로 삽목실험을 한 결과 숙지삽에 대한 결과는 각각의 생장 조절물질 및 상토조건에서 발근이 전혀되지 않았으며 반녹지삽, 녹지삽, 근삽의 순으로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어 생열귀 삽목시 숙지삽이나 반녹지삽을 이용하는 것보다 녹지삽을 채취하거나 근삽을 이용하여 삽목하는 것이 양호하였다. 2.녹지삽의 경우 무처리 식물체가 전혀 발근이 되지 않은 반면 rooton-F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NAA 처리시는 저농도에서 발근율 및 캘러스형성율이 증가하였고 IAA를 처리한 경우는 고농도일수록 발근율 및 캘러스형성율이 양호하였다. IBA는 IAA, NAA보다는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었다. 3. 녹지삽에서는 vermiculite와 perlite의 혼합토양에 삽목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점토, 사토 순으로 나타났다. 녹지삽에 rooton-F를 처리하였을 때 근장에 있어서는 사토가 더 우수한 반면 근수는 점토에서 더 우수하여 점토와 사토에서 근수와 근장이 서로 상반된 차이를 보였다. 4. 반녹지삽에 rooton-F를 분의처리한 경우 녹지삽에서 결과가 좋았던 vermiculite+perlite에서는 10%정도만 유기되고 점토에서 양호한 발근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뽕나무 묘목생산을 위한 신소삽목 조건 구명 (Studies on the Conditions of Softwood Cutting for Production of Mulgerry Sapling)

  • 구태원;성규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1-105
    • /
    • 1997
  • Most of the mulberry saplings in Korea have been produced by grafting. But the production of mulberry sapling by this method is very complex process and requires high level of technique and two years to produce saplings. Therefore, to develop the mulberry sapling production system by softwood cutting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several conditions on rooting and growth of cuttings were investigated. The rooting ability of cuttings varied according to mulberry varieties, showing the highest rooting ratio of 93.3% in cultivar of Shingwangppong. Of different soil texture as for rooting media, the clay was found to be the best; other media decreased in order as follows; sand, sand loam and vermiculite. The shading ratio by 70% with polyethylene film showed the highest rooting ratio of the cuttings. Optimum day of cutting was around 50th day after sprouting, whereas the ratio of stem thicker than 7mm at the base of saplings in diameter was highest at 44th day.

  • PDF

Bone cutting capacity and osseointegration of surface-treated orthodontic mini-implants

  • Kim, Ho-Young;Kim, Sang-Cheo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386-394
    • /
    • 2016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practicality and the validity of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of self-drilling orthodontic mini-implants (OMIs) by comparing bone cutting capacity and osseointegration. Methods: Self-drilling OMIs were surface-treated in three ways: Acid etched (Etched), resorbable blasting media (RBM), partially resorbabla balsting media (Hybrid). We compared the bone cutting capacity by measuring insertion depths into artificial bone (polyurethane foam). To compare osseointegration, OMIs were placed in the tibia of 25 rabbits and the removal torque value was measured at 1, 2, 4, and 8 weeks after placement. The specimens were analyzed by optical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Results: The bone cutting capacity of the etched and hybrid group was lower than the machined (control) group, and was most inhibited in the RBM group (p < 0.05). At 4 weeks, the removal torque in the machin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but was increased in the etched group (p < 0.05). In the hybrid group, the removal torque significantly increased at 2 weeks, and was the highest among all measured values at 8 weeks (p < 0.05). The infiltration of bone-like tissue surface was evaluated by SEM, and calcium and phosphorus were detected via EDS only in the hybrid group. Conclusions: Partial RBM surface treatment (hybrid type in this study) produced the most stable self-drilling OMIs, without a corresponding reduction in bone cutting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