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utting Age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초

강원도 영동.영서 하천의 하안단구 지형 발달 - 내린천, 연곡천, 골지천, 오십천을 사례로 (Geomorphic Evolution of Fluvial Terraces at Yeongdong.Yeongseo Streams in Gangwon Province, Korea)

  • 윤순옥;황상일;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88-404
    • /
    • 2007
  • 강원도의 내린천, 연곡천, 골지천, 오십천을 대상으로 영동 및 영서 하천의 하안단구 발달 과정을 지구조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하안단구 분포 패턴과 하천 하각 속도를 분석, 검토한 결과, 4개 하천 중 오십천 상류의 하안단구 4면, 5면, 6면에서는 태백산맥을 축으로 한 지반 융기의 영향이 뚜렷이 확인되었다. 태백산맥 분수계가 융기축이라면 영서하천 상류부 폭 $30\sim40km$ 구간이 융기대에 해당된다. 융기대 내부에 위치하는 내린천의 중 상류와 골지천 유역 전체는 하천 전 구간에서 융기작용이 활발하여, 상 하류 간의 융기량에 따른 하상비고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하안단구 2면$\sim$1면 사이와 1면$\sim$현재까지의 하각 속도는 두 시기의 기후 조건 차이로, 각각 $0.13\sim0.22m/ka,\;0.17\sim0.27m/ka$로 다르게 나타났다. 하안단구 1면 형성 이후부터 현재까지 영서 하천에 비해 영동 하천의 하각 속도가 다소 높다. 이는 하천 대부분 구간이 융기대에 포함되는 영서 하천에 비하여, 영동 하천은 하구가 최종적인 침식기준면인 해수면이므로 하각작용이 보다 활발했기 때문이다.

폄석(砭石)의 한반도 기원과 형성에 관한 연구 (Archeological Quest on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Stone Needle in the Korean Peninsula)

  • 임용수;손인철;강연석;김성철;김재효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51-61
    • /
    • 2009
  • Objective: Much has been known that the systematical theory of acupuncture was developed from stone needle as therapeutic tools for orthopedic diseases in ancient times. Stone needle is very old therapeutic method like moxibustion and has been recognized that it was developed since the Stone Age in China so far. In the present study, it was examined for the origination and formation of stone needle based on stone relics of the Stone Age in Korean Peninsular, the medical and geographical litera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facts of stone needle was examined and arranged on the ancient medical or geographical literatures such as The Yellow Emperor's Canon Internal Medicine, Shanhaijing as an ancient geographical book, etc. The clan societies and family related to an origination of stone needle was chased together with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origination. The stone relics which have been digged out of historic sites in the North-East Asia were examined for a relevance to stone needle. Results: In The Yellow Emperor's Canon Internal Medicine, it was referred to the stone needle that originated from a fishery zone related to the east coast district in North-East Asia. Through the examination of Shan Hai Jing as an ancient geographical book and its historical reviews, a Go-yi clan society who keep Go's family tree dealt well with the stone needle and jewels including jade in the North-East Asia before the publication periods of The Yellow Emperor's Canon Internal Medicine, and is comprised in the culture of Dong-yi clan society but not the Chinese culture. The obsidian stones, which have been digged out of historical sites in the North-East Asia since the Stone Age, are originated from volcanic areas combined with seashore that seems to be Baekdu mountain district in Korea and Kyushu district in Japan. Furthermore, obsidian stone tools which were found out at Laodung peninsula and the Korean peninsula are archeologically similar to the stone needle with regards to the shape, size and dual-use. In addition, specific obsidian stone tools have been used in orthopedic surgery as well-crafted obsidian blades have a cutting edge up to five times sharper than high-quality steel surgical scalpels. Conclusion: The origin of obsidian stone needle is well corresponded to the explanation about that of the stone needle. It is suggested that the stone needle which influenced in completion of acupuncture and Meridian theory in China seems to be an obsidian stone, and distribution of obsidian stone needle has been closely connected to Dong-yi clan society which are lived in the North-East Asia including Baekdu-mountain district.

  • PDF

장령기(壯令期)에 가까운 리기다소나무 임분(林分)의 맹아(萌芽) 갱신(更新)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sprouting of a young merchantable pitch pine stand)

  • 박태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2-29
    • /
    • 1962
  • 1) 장령기(狀齡期)에 가까운 리기다소나무 임분(林分)에 대(對)한 맹아갱신(萌芽更新)의 가능성(可能性)을 실험(實驗)함과 동시(同時)에 맹아갱신임목(萌芽更新林木)과 같은 환경하(環境下)에 자라는 같은 연령(年齡)의 실생수(實生樹)와의 생장(生長)을 비교(比較)하였다. 2) 연령(年齡)20년(年)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徑) 14cm의 리기다소나무 임분(林分)(0.1ha)을 근주(根株)의 높이를 20cm로 하여 개벌(皆伐)한 결과(結果) 60%의 맹아발생율(萌芽發生率)을 얻었다. 3) 일근주당(一根株當) 맹아발생수(萌芽發生數)는 40~80개(個) (최고(最高) 412)었으나 점차(漸次) 도복고사(倒伏枯死)하고 맹아연령(萌芽年齡)이 3년(年)이 될 때에는 일근주당(一根株當) 4~5개식(個式)의 발아(發芽)가 남았었는데 그중(中) 건전(健全)한 맹아일주(萌芽一株)민 남기고 다른것은 제거(除去)했다. 4) 맹아(萌芽)는 점차(漸次) 생장(生長)함에 따라서 모수근주(母樹根株) 둘레를 새로운 조직(組織)으로 둘러쌓기 시작(始作)함과 동시(同時)에 새로운 뿌리가 형성(形成)되어 마침내 실생수(實生樹)와 같이 되었는데 맹아연령(萌芽年齡)이 13년(年)이 되는 때에는 원근주(原根株)는 완전(完全)히 고사(枯死)되었으며 그 당시(當時)의 맹아(萌芽)로 갱신(更新)된 임목(林木)의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徑)이 9.7cm(o.b.)평균수고(平均樹高)가 5.5m였다. 5) 맹아갱신임목(萌芽更新林木)의 연령(年齡)이 13년(年)인 때에 수고재적(樹高材積) 흉고직경(胸高直徑) 흉고단면적등(胸高斷面績等)의 총생장량(總生長量) 및 평균생장량(平均生長量)에 있어선 맹아갱신임목(萌芽更新林木)이 실생수(實生樹)에 비(比)하여 상위(上位)에 놓여있으나 연년생장량(連年生長量)은 10년(年)을 전후(前後)하여 실생수(實生樹)가 앞서고 있다. 그리고 1~4년(年)때를 제외(除外)한 모든 생장률(生長率)에 있어서도 실생수(實生樹)가 항상(恒常) 큰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以上)에 의(依)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結論)할 수 있다. 1) 리기다소나무 맹아갱신(萌芽更新)에 있어서 절단면(切斷面)의 높이는 지면(地面)에 가까운 것이 좋다. 2) 충분(充分)한 광선(光線)만 받으면 장령기(狀齡期)에 가까운 (20년생(年生))리기다소나무도 맹아갱신(萌芽更新)이 가능(可能)하다. 3) 맹아(萌芽)로 갱신(更新)된 리기다소나무의 생장(生長)은 10년(年)까지는 동일수종(同一樹種)의 실생수(實生樹)보다 우세(優勢)하다.

The Effect of Harvesting Interval on Herb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Napier Grass and Hybrid Pennisetums

  • Manyawu, G.J.;Chakoma, C.;Sibanda, S.;Mutisi, C.;Chakoma, I.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7호
    • /
    • pp.996-1002
    • /
    • 2003
  • A 6 (accession)${\times}$5 (cutting interval) factorial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two year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age of growth on herbage production, nutritive value and water soluble carbohydrate (WSC) content of Napier grass and Napier grass${\times}$Pearl millet hybrids (hybrid Pennisetum).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stage of growth to harvest the Pennisetums for ensilage. Two Napier accessions (SDPP 8 and SDPP 19) and four hybrid Pennisetum (SDPN 3, SDPN 29, SDPN 38 and Bana grass) were compared at five harvest intervals (viz. 2, 4, 6, 8, and 10 weeks). Basal fertilizers were similar in all treatment plots, although nitrogen (N) top-dressing fertilizer was varied proportionately, depending on the harvesting interval. The application was based on a standard rate of 60 kg N/ha every six weeks. Stage of growth had significant effects on forage yield, WSC content and nutritive value of the Pennisetums. Herbage yields increased in a progressively linear manner, with age. Nutritive value declined as the harvesting interval increased. In particular, crude protein content declined rapidly (p<0.001) from $204g\;kg^{-1}$ DM at 2 weeks to $92g\;kg^{-1}$ DM at 8 weeks of growth.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decreased from 728 to $636g\;kg^{-1}$ DM, whilst acid and neutral detergent fibre contents increased from 360 and 704 to 398 and $785g\;kg^{-1}$ DM, respectively. Rapid changes in nutritive value occurred after 6 weeks of growth. The concentration of WSC increased in a quadratic manner, with peaks ($136-182g\;kg^{-1}$ DM) at about 6 weeks. However, the DM content of the forage was low ($150-200g\;DM\;kg^{-1}$) at 6 week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Pennisetums should be harvested between 6 and 7 weeks, to increase DM content and optimize herbage production without seriously affecting nutritive value and WSC content. Accessions SDPN 29 and SDPP 19 appeared to be most suited for ensilage. It was suggested that WSC content should be incorporated as a criterion in the agronomic evaluation and screening of Pennisetum varieties.

잣나무 장령식재림에서 산벌작업 적용 후의 후계림 발달 양상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Succeeding Regeneration after the Application of Shelterwood System in a Thrift-Matur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 김지홍;강성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597-604
    • /
    • 2008
  • 이 연구는 잣나무(Pinus koraiensis) 장령식재림에 대한 생태적으로 건전한 산림작업종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부분 벌채 후 하층 식생의 이주와 생장을 시험하였다. 1997년 당시 강원대학교 학술림의 VII영급 잣나무림에서 약 50%의 임관을 소개하는 산벌작업을 실시하고 임지정리작업을 수행하여 하층에 갱신치수가 발생하도록 유도하였다. 10년 후, 많은 활엽수가 이주 정착하여 하층림을 형성하였으며, 10개의 $10m{\times}10m$ 영구표본구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수종구성, 종다양성, 그리고 직경과 수고의 생장과 분포를 조사하였다. 임관 소개에 의해서 2007년에 22종의 교목 수종과 20종의 관목 수종에 의해서 완전 울폐된 하층식생을 형성하였다. 산뽕나무의 중요치가 29.6%로 가장 높았고, 층층나무의 중요치는 17.0%로 산출되었으며, 이어서 쪽동백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잣나무의 순으로 구성 비율이 높았다. 2000년에 교목 26종이 출현하면서 종다양성지수가 2.547로 가장 높았고 그 후 감소 추세를 나타내어 2007년에는 22종의 교목으로 2.220의 종다양성지수를 나타내었다. 후계림이 점차 울창해지고 생장하면서 일부 내음성이 약한 수종들이 사라짐으로서 종다양성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007년에 하층목 중에서 직경이 가장 큰 나무는 11.3cm의 갈참나무였고, 수고가 가장 큰 나무는 9.8m의 층층나무였다. 후계림의 직경급과 수고급에 대한 숫적 분포는 역"J"자 모양을 나타내어 전형적인 이령림 분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야생초 미국개기장의 사료작물화 가능성 (Possible Utilization of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as a Forage Crop)

  • 정승근;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1-358
    • /
    • 1995
  • 1. 노천이장한 경우 발아가 양호하여 단위면적당 입모수가 많았는데, 1992년산 무처리구의 187개/m$^2$에 비하여처리종자는 292개/m$^2$였으며, 1991년산 처리종자구는 78개/m$^2$로 입모가 불량하였다. 2. 생육초기의 생초생산량은 단위면적당 개체수와의 관계가 높았으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서 개체수의 효과는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3. 1차 예취시의 예취높이를 5cm로 하였을 때는 10cm에 비하여 생초수량이 높았으나 2차 예취시의 수량은 떨어졌다. 그러나 총수량은 예취 높이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미국개기장은 번종후 40~50일부터 예취를 시작하여 1개월 간격으로 3~4회 예취가 가능하였으며, 10a당 생초수량은 9~10톤, 건초수량은 1.4~1.8톤 이었다. 5. 예취시기에 따른 미국개기장의 생초와 건초수량은 생육기간 및 생육기간의 적산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 =0.711~0.860). 6. 파종기가 빠르고 예취시기가 이를수록 엽신의 비율이 높았다. 7. 미국개기장은 조단백질 16.32%, 조지방 24.01%, 조회분 11.59%를 함유하고 있어서 다른 화본료 사료작물에 비하여 품질이 좋은 편이었다.

  • PDF

주요 수종 및 임상별 현실림의 재적생장량 곡선 추정 (Growth Curve Estimation of Stand Volume by Major Species and Forest Type on Actual Forest in Korea)

  • 윤준혁;배은지;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648-657
    • /
    • 2021
  •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를 활용하여 임상별 및 주요 수종별 재적생장량을 추정하고, 연평균생장량(MAI)과 연년생장량(CAI) 등을 도출하여 벌기령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재적생장 추정을 위하여 Chapman-Richards 모델을 적용하였다. 도출된 임상별 재적추정식에서는 침엽수림이 가장 높은 생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종별 추정식은 침엽수종(3종) 중에서는 일본잎갈나무가, 그리고 활엽수종(3종)에서는 굴참나무가 가장 높은 생장이 예측되었다. 그리고 이들 추정식은 적합도지수가 일본잎갈나무 0.32, 굴참나무가 0.21 등으로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재적 추정식의 적용 가능성을 알 수 있는 잔차도 분석에 있어서는, 일부 30년 이상의 임령에서 추정식의 추정치가 과소 추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부분 0을 중심으로 잔차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식이 우리나라 현실림의 수종들에 대한 재적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정된 재적을 이용하여 연평균생장량을 계산한 결과, 침엽수림 중 중부지방 소나무 34년, 일본잎갈나무 35년, 리기다소나무 31년일 때 MAI가 최대시기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엽수림에 있어서는 굴참나무 32년, 상수리나무 30년, 신갈나무 29년일 때가 최대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AI와 CAI를 계산하여, 이들이 만나는 지점을 재적수확 최대 벌기령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는 현재 산림청이 제시한 기준 벌기령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정책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 조선총독부 청사 (구 중앙청) 기초말뚝 통나무의 수종과 재질 (Species and Macroscopic Analysis of Log Piles Used for the ex-Government General of Chosun Building)

  • 박원규;김요정
    • 보존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8-52
    • /
    • 2000
  • 구 조선총독부 청사(구 중앙청 건물)는 1916 년에 착공되었으며 건물기초를 다지기 위해 백두산 압록강변에서 벌채한 낙엽송(잎갈나무) 말뚝 약 만개를 박았다는 기록이 있다. 1996 년에 철거된 중앙청 자리에 경복궁 흥례문을 중건하는 공사 중 발견된 구 조선총독부 청사 말뚝 100 여 개를 채집하여 그 중 15 개에 대한 수종과 나이테를 분석하였다. 말뚝의 직경은 평균 27cm이었다. 목재조직관찰을 위하여 프레파라아트를 만들어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모두 잎갈나무임이 확인되었다. 나이테로 관찰한 수령은 평균적으로 103년이었으며 가장 오래된 것이 151 년생이었다. 나이테 너비를 측정하여 151년 나이테 그래프(연륜연대기)를 작성하여 중국쪽 장백산(백두산) 잎갈나무 나이테 그래프(1602-1994)와 유사성올 비교하였으나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총독부청사 말뚝 채취지역이 중국측과 고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백두산 압록강변에 자라고 있는 잎갈나무에 대해 나이테 자료를 얻을 수 있다면 화산활동과 같은 과거 백두산지역의 역사와 고환경을 나이테를 통하여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 PDF

꽃문양을 활용한 레트로 테크널러지 패션 디자인 연구 -CAD를 활용하여- (A Study on the Retro Technology Fashion Design with Floral Patterns -through CAD-)

  • 정미진
    • 복식
    • /
    • 제56권7호
    • /
    • pp.105-120
    • /
    • 2006
  • Today's radical change of environment and technology spreaded high-technology art by cutting across a general idea of art, expressed machine aesthetic in fashion style by influencing materials and production processes of fash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ake another look at the value and the importance of ornaments in terms of fashion design, to overcome the negative aspect of Technology Fashion by designing Retro Technology Fashion that harmonizes reason with sensibilities through floral patt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If Retro technology Fashion was analyzed by time and space element that are postmodernism techniques, there are Ethnic Technology Fashion that are based on space and historical Technology Fashion that are based on time. In terms of spare element, there is the hybrid of revival of exotic folklore with Technology fashion. In terms of time element, there is the hybrid of costumes of before 20th Century with Technology Fashion. It means unifying detail or silhouette of costumes of ancient time to modern time wit Technology Fashion. For another time element, the hybrid of retro fashion after 20th Century with Technology Fashion. The retro nostalgia is revived by the floral patterns or silhouette of Hippie fashion unified with Technology Fashion. 2. Based on above research, Retro Technology Fashion with floral pattern on CAD were designed. As the results, for Ethno Fashion that is spatial retro, 'Asian Technology fashion' was designed with bright colors, China collar that are oriental, and vinyl material. For historical Technology fashion that are based on time, 'Space Middle Age' was designed with tight silhouette, party colored pants and plastic material.

소음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및 작업환경측정 결과 분석 (Analysis of Noise Special Medical Examination and Work Environment Monitoring Results)

  • 김갑배;박해동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5-12
    • /
    • 2015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pecial medical examination and work environment monitoring data, the rate of C1 and D1 on noise hazard exceeded 90 % among those of total hazardous factors. The rate of company exceeding noise exposure limit was also more than 90 %.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main ages diagnosed with C1 and D1 was age of 50s. The majority scale company having workers diagnosed with C1 and D1 was the companies employing 5~49 workers. Types of industries which have a large number of companies exceeding noise exposure limit were automobile and trailer manufacturing, metal processing industry and primary metal manufacturing. A large number of work processes exceeding noise exposure limit were forming and processing work, cutting and bending work and grinding. To reduce the number of company exceeding noise exposure limit, the reduction counterplan should be focused on the type of industry and the work process which exceeded noise exposure limit frequently. However, the reduction counterplan is preemptively necessary to the type of industry and the work process which exceeded noise exposure limit consecutively if the purpose of reduction counterplan is not to merely reduce the number of company exceeding noise exposure limit but to abate workers' suffering from no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