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ticle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6초

산수유(山茱萸)의 기미론(氣味論)적 해석과 내외부형태연구 (The Approach of Properties-Flavours Theory and the Study of Morphological Standard in CORNI FRUCTUS)

  • 최문일;이화정;윤주봉;김자영;강경식;신철균;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9-119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pproach of properties-flavours theory and the study of morphological standard in CORNI FRUCTUS. Methods : The properties-flavours theory were attempted with bibliographic method and various climate-information. The external-internal morphological standards were determined by using stereoscope and butanol series. Results and conclusion : 1. The significant analysis for the corni fructus as the properties-flavours theory, is a follow-up survey of the effect written in the official oriental medicine book. 2. The other analytic methods according to the gathering time, processing or storing system or especially nature or growth environment(altitude, temperature,. the mean moisture, and the agronomical survey) by way of the explanation of properties-flavours theory appears so many insufficiency at the many cases. 3.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ape of original plant or herbal states, entirely correspond to all the literature on this subject. 4. According to the place of production, there are some different points. (l) In the external shapes, it is reasonable that if we make the basic standard of classification by the sharpness of color, the existence of gloss and the size of products. In the case of the Korean products, it shows bright and glossy color totally, but in the case of North Korea products, it shows black and lackluster. And in the case of the foreign products, it has softer body than Korea one and shows white color on the surface. (2) In the internal shapes, the Korea products has a thicker cuticle layer than the foreign one, and has fewer ca-oxalate in the parenchyma cell.

  • PDF

트리트먼트(Treatment)를 이용한 모발 염색이 손상도와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Damage Degree of Hair Dye Treatments and the Impact of Heavy Metals)

  • 이태숙;김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551-557
    • /
    • 2017
  • 헤어(Hair)의 연출은 현대인의 개성 창출을 위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나 염색(Dye), 펌(Prem) 등과 같은 반복적인 화학 시술은 모발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손상을 줄이기 위한 화학 시술 방법으로 헤어 트리트먼트(hair treatment)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색 시, 헤어 트리트먼트의 사용이 실제 모발의 형태학적 손상도와 모발 내의 유독성 미네랄과 필수 미네랄의 수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20대 전 후반 5명의 모발(normal hair, NH)을 채취하여 염색 전 모발(NH), 염색 모발(dye hair, DH), 염색제와 헤어 트리트먼트 혼합 모발(dye with treatment hair, DTH)의 형태학적 손상도를 관찰하였으며, 모발 속 중금속 및 미네랄(mineral) 함량분석을 통하여 염모제와 헤어 트리트먼트에 의한 모발 내 중금속 변화를 조사하였다. 모발의 형태학적 영향은 DTH 모발에서 DH나 NH에 비하여 큐티클 형태의 배열이 대체적으로 균일하게 보여 지며, 들뜸이 차분해지고 선이 매끄럽게 관찰 되어 손상도가 적게 관찰되었다. 미네랄 함량의 농도 부분에서는 대체적으로 균형범위에 있었으나 유독성 미네랄 부분에서는 바륨(Ba), 영양미네랄 부분에서는 Na, Ca, Mg의 농도가 NH모발, DH모발, DTH모발에서 균형범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막뇌염을 동반한 진국인 유극악구충증 1예 (Description of a Male Gnathostoma spinigerum Recovered from a Thai Woman with Meningoencephalitis)

  • 이순형;홍성태;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33-38
    • /
    • 1988
  • 서울에 있는 미군 병원에서 시행한 신경외과 수술에서 검출 의뢰된 충체를 유극악구충으로 동정하여, 국내에서 충체로 화인된 첫 증례로 보고한다. 환자는 젊은 태국인 여성으로 태국에 체재할 때부터 수막뇌염 증세를 앓았고, 뇌척수액에서는 수많은 호산구를 검출하였다. 등글게 말려서 고정된 충체는 길이가 12.3mm, 폭이 0.9mm이고 앞쪽 끝에 근 head bulb가 있었다. 이 기관의 표피에는 고양이 발톱모양의 피극이 8줄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 전반부의 표피에는 수많은 피극이 가로로 열지어 있는데 head bulb 가까이 에서는 등근 기저부와 4분지의 끝이 있는 굵은 피극이 분포하나 점차 뒤쪽으로 3분지되고 2분지되면서 가늘고 걸어지는 피극으로 이행되었다. 중간부에서는 짧고 작은 가시모양의 피극이 관찰되고 그 수도 크게 감소하였고 후반부에서는 피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길이 12.4mm의 식도와 두 개의 식도선(cervical sacs)이 있고, 장이 식도에서 항문까지 곧게 이어져 있었다. 장은 검고 불투명하며, 심하게 굴곡하는 고환과 겁쳐져서 관찰되었다. 뒤 끝에서는 작은 피극이 다시 나타나서 가로로 배열하였고 항문 주위에 Y형으로 피극이 없는 부분이 있었다. 끝의 복면·양쪽에 네 쌍의 큰 감각유두((pedunculated papillae)가 배열하였다. 이상의 소견은 enathostoma spinigerum 성충 수컷의 형태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이 증례는 태국에서 감염되어 국내로 유입된 수막뇌염이 유발된 유극악구충 증례로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는 것이라 하겠다.

  • PDF

한국산 겨우살이과 식물의 형태와 기주별 흡기 특징 (Anatomy of the Korean mistletoe and their haustorial features in host plants)

  • 최경;박광우;김혁진;이재동;구자춘;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11
    • /
    • 2009
  • 한국에 자생하는 겨우살이과 4종, 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등에 대해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주식물별 2차 흡기구조의 해부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으로 한국산 겨우살이과 4 분류군을 종과 속 수준에서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잎에서는 향축면과 배축면의 축, 중앙맥에 발달된 유관속 형태, 후벽세포의 발달 여부 등이, 줄기에서는 횡단면에서 줄기의 전체적인 형태, 큐티클층의 발달 정도, 유관속의 배열, 후벽세포와 수의 발달 여부 등이 표징형질로 조사되었다. 기주별 2차 흡기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에서 각각 7종류 및 5종류의 기주식물을 대상으로 지상부 흡기 발달 정도, 종단면에서 2차 흡기의 모양과 플랜지 발달 여부, 기주내 침투 지역과 흡기 축의 발달 여부, 2차 흡기에서 흡기세포의 위치와 짧은 흡기 가도관의 발달 여부 등 형질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형질에서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는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한편, 기주식물의 강도와 흡기의 발달 정도에 따라 2차 흡기의 전체적인 형태가 기주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침투 지역, 흡기 짧은 가도관 세포의 발달 등 정성적인 형질들은 기주와 발달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하여 계통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소나무재선충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Bacillus licheniformis MH48의 선발 및 특성 규명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MH48 for the Biocontrol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정민해;양서영;이용성;안영상;박윤석;한혜림;김길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512-518
    • /
    • 2015
  •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소나무재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뛰어난 미생물을 선발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나무재선충에 대하여 살선충 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해 5종 미생물의 배양액 처리를 통해 살선충 활성이 뛰어난 Bacillus licheniformis MH48을 선발하였다. B. licheniformis MH48의 살선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세포 생육과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도를 분석하였는데, 세포 생육은 배양 3일째 가장 높았고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은 7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B. licheniformis MH48의 배양액 농도에 따른 소나무재선충의 살선충 활성을 조사한 결과, 키틴-젤라틴(CG) 배지와 키틴-선충(CN) 배지 모두 20% 배양액 처리시 치사율이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B. licheniformis MH48 배양액 처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나무재선충의 표피가 분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B. licheniformis MH48은 소나무재선충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제로서 가능성과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nsis) 피부계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Integumentary Cuticle and Epidermis of Perinereis aibuhitensis (Polychaeta: Nereidae))

  • 이정식;임현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7-261
    • /
    • 2000
  •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피부계는 바깥쪽으로 부터 큐티클층, 상피층, 진피층으로 구성된다. 큐티클층은 외분비공을 가지며, 표면은 epicuticular projections로 덮여있다. 큐티클층과 상피층의 지지세포 사이에서는 반접착반이 관찰된다. 상피층에서는 지지세포와 선세포들이 관찰된다. 지지세포는 불규칙한 형태이며, 이들 세포의 핵은 뚜렷하고 크며, $1{\~}2$개의 인을 가진다. 세포질에서는 잘 발달된 당김세사와 다수의 미토콘드리아, 조면소포체, 유리리보좀 그리고 전자밀도가 아주 높은 소수의 색소과립들이 관찰된다. 선세포는 AB-PAS에 청색으로 반응하였으며, 투과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alpha}, {\beta}, {\gamma}$의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종류인 ${\alpha} type$은 난형으로 뚜렷한 핵을 가지며, 세포질에서는 잘 발달된 당김세사와 막으로 싸인 직경 $0.8{\~}~l.5 {\mu}m$크기의 분비과립들이 세포질 한쪽에 밀집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두 번째 종류인 ${\beta} type$은 세포의 형태가 불규칙하며, 커다란 공포를 가지며, 직경 $0.5{\~}~0.8 {\mu}m$크기의 분비과립들이 세포질 전체에 분포한다. 세 번째 종류인 ${\gamma} type$은 세포의 형태가 불규칙하며, 잘 발달된 소포체와 골지체 그리고 직경 $0.2{\~}~0.3 {\mu}m$ 크기의 분비과립을 가지며, 이들의 전자밀도는 선세포들의 분비과립 가운데 가장 높다.

  • PDF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열분석 (Thermal Analysis of the Straight Permed Hair)

  • 노정애;이귀영;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3호
    • /
    • pp.163-168
    • /
    • 2010
  • 건강모발과 일반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열분석(thermal analysis)과 가열온도에 따른 모발의 연소과정을 열분석기(thermal analyser)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건강모발과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열분석 결과 무게의 변화는 $100^{\circ}C$부터 일어났다. 가열온도가 올라갈수록 $200^{\circ}C$까지는 건강모발보다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무게 감량비가 약 2.6% 높았으나 $300^{\circ}C$의 가열온도에서 건강모발과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감량비는 각각 64.9%, 64.4%로 나타났다. 이후 $400^{\circ}C$의 가열온도에서 건강모발과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감량비는 32.3%와 33.4%로서 건강모발의 감량비가 높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500^{\circ}C$에서는 각각 25.4%와 28.3%로서 최종적으로 탄화된 물질의 무게는 건강모발보다 스트레이트 펌 모발이 약 2.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온도에 따른 모발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300^{\circ}C$ 까지 연소된 모발은 인접된 모발들이 서로 융합되었다. 모발의 용해과정은 수질(medulla)과 피질(cortex)이 용해되면서 마치 대나무 통과 같이 속이 텅 빈 상태로 관찰되었다. $500^{\circ}C$로 가열된 모발조직은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탄화되어 덩어리를 형성하고 있었고 덩어리 표면에는 많은 기포들이 형성되어 있었다.

인체 기생 Thelatria cazlipaeda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f Thezazia callipaeda from human)

  • 최원영;윤지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3호
    • /
    • pp.217-224
    • /
    • 1989
  • 눈에 이물감, 결막 자극 증상, 소양감 등을 호소하며 서울 지역 안과의원을 내원한 2명의 환자로부터 백색 실 모양의 선충 자충 4마리, 웅충 1마리 및 유충 여러 마리를 얻었다. 충체들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여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표피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웅충의 경우, 체장은 11.00mm, 체폭은 0.18mm, 교미침의 길이는 0.70mm, 식도의 길이는 0.35mm이었다. 자충의 경우 체장은 13.50∼18.00mm, 체폭은 0.20∼0.30mm, 앞 끝에서 vaginal opening까지 0.27mm, 식도 의 길이는 0.41∼0.80mm, 뒤 끝에서 항문까지는 0.062mm이었다. 특징적으로 체표에 가로 주름이 있었는데 전단에서는 주름의 간격이 좁고 몸통 부위에서 그 수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표피가 일어나 나풀거리는 형태를 나타내는데 주름의 수는 단위 mm당 250∼650개의 범위이었다. 위 측정 결과를 통해 본 충을 동양안충(Thelazia callipaeda)으로 동정하였다. 본 충의 전체 모양은 구부와 미부에서 가늘고 몸통 중앙부위는 점점 굵어지는 형태였고 웅충의 경우 미부가 꼬여 있었다. 자충에서는 구부에 6각형 구조로 배열된 6개의 끈 모양의 각질 구조와 그 측면으로 화학적 자극 수용체인 amphid, 몸통 부위에 옆줄과 vaginal opening, 미부에서 또다른 자극 수용체인 1쌍의 phasmid와 anus의 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웅충에서는 두부에 끈 모양의 각질 구조 이외에 1쌍의 papillae와 미부에서는 우벼내어진 형태의 구조물을 확인하였으며 교미침과 caudal papillae는 웅충이 1마리이고 그 말단이 꼬여 있어 확인이 어려웠다. 자충의 자궁에서 얻은 유충은 얇은 막에 싸여 있었고 이 막을 벗어야만 특징적인 가로 주름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Thelazia callipaeda는 우리 나라에서 보고된 것 중 18번 및 19번째 인체 감염의 예이다.

  • PDF

불가사리 추출물의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살충활성 (Aphicidal Activity of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Extracts against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 장자영;이솔;정이영;최은현;조욱희;양시영;서정미;김인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3-1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불가사리 폐기물을 농업용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불가사리 생체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복숭아혹진딧물 살충효율 실험을 수행하였다. 불가사리 추출물은 1,000 mg/L 수준에서 약 70% 이상의 살충효율을 보였으며 추출물을 정제하여 TOF-MS 분석한 결과 살충물질로서 polyhydroxysteroid가 동정되었다. Polyhydroxysteroid는 진딧물의 cuticle membrane을 파괴하여 진딧물을 살충하는 기작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투과전자현미경 분석결과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폐기물 형태로 퇴치되고 있는 불가사리를 활용하면 진딧물 같은 해충방제용 소재로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나노섬유 방사노즐 설계를 위한 거미 실크 방적장치의 생체모사 분석 (Biomimetic Analysis on the Spider Silk Apparatus for Designing the Nanofiber-spinning Nozzle)

  • 문명진;김훈;박종구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2호
    • /
    • pp.67-76
    • /
    • 2012
  • 고강성 나노섬유 생산이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방사노즐의 설계를 위해 자연을 모방하는 공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무당거미(Nephila clavata L.Koch) 대병상선의 토사관과 그 생체방적 시스템이 지닌 미세구조적 특성을 고해상도의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연계에서 가장 강도가 높은 드래그라인을 생성, 분비하는 대병상선의 토사관은 bullet type spigot을 통해 전방적돌기 표면에 개구되어 있었으며, 신축성 구조를 지닌 토사관 말단마디의 노즐을 통해 고체상의 실크가 생성되었다. 분비낭과 토사관 사이를 연결한 분비관은 루프를 형성한 후 방적돌기에 수납되었고, 분비관 내강의 직경은 점진적으로 축소되어 노즐을 통해 방사되는 실크의 직경은 펀넬 부위의 1/10 이하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실크 중합과정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큐티클의 특수구조가 관찰되었는데, 분비낭의 펀넬 부위에서는 해면상 큐티클 구조가 그리고 분비관의 말단부에서는 비후된 subcuticle 구조와 함께 잘 발달된 상피의 미세융모 층이 확인되었다. 또한 분비관의 내강부 큐티클 표면에서 확인된 나선형 강선구조는 실크 전구물질의 신속한 유동을 촉진하는 장치일 것으로 해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