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ized exercise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1초

근골격계 기반의 자세 평가 및 맞춤형 운동 처방 전송 및 저장 시스템 설계 (Evaluation of posture based on musculoskeletal system and design of customized exercise prescription)

  • 심종성;김희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2-277
    • /
    • 2018
  • 일상생활 속 바른 자세 관리를 위해서는 객관적 자세 평가 방법과 적절한 처방 및 관리가 필요하다. 자세 평가 프로그램은 비교적 쉽고 안전하게 자세를 평가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자세 평가 프로그램은 골격계 위치를 활용해 평가가 이루어지지만 자세 이상의 원인이 되는 근육 정보가 부족하고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부족해 프로그램의 효율이 떨어진다. 그래서 기존 자세평가 프로그램을 개선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SOAP 메시지를 통해 서버가 평가 결과를 측정하고 저장 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적절한 운동 처방으로 바른 자세 관리를 도와주는 시스템 설계를 다룬다.

  • PDF

지역사회 노인의 저체중 영향요인: 2020년 노인실태조사 중심으로 (Factors Contributing to Underweight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Data from the 2020 National Older Adults Koreans Data)

  • 박혜련;전혜정;황윤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89-40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being underweight among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based on a survey of national older Korean's data in 2020. Methods: The data from 9,555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were used for analysis. Composite sampl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integrated weights applied to the raw data. A Rao Scot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for Windows. Results: Underweight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chronic disease, drinking, exercise, nutrition, chewing,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he factors affecting the underweight older adults were age,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chronic disease, drinking, exercise, nutrition, chewing,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A customized program is needed for underweight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attempts should be made to motivate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Qualitative study on the key elements of obesity counseling in Korean Medicine

  • Sungha Kim;Seung Eun Chung;Kyungsun Han;Sunmi Choi;Jun-Hwan Lee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13
    • /
    • 2023
  • Objectives: Weight counseling is an inevitable process for patients with obesity who intend to lose weight; however, the contents of real-world counseling practices remain uncertain in Korean medicine (KM) practic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constituents of obesity counseling in KM. Methods: Qualitative methods were used to explore the structure of weight counseling and clinicians' approaches to weight counseling, particularly the advice and main constituents of weight counseling in KM. Nine KM clinicians (4 women, 5 men) from nine clinics completed face-to-face, individual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from September 2019 to February 2020 in Seoul, Daejeon, Cheonan, Seongnam, Asan, and Hwaseoug. The interviews were digitally recorded, transcribed verbatim, and categorized based on their constituents. Results: During weight loss counseling, the six principal constituents of KM identified were: planning with patients, motivation, correcting misinformation on weight loss, dietary and exercise advice, medication guidance, and customized guides for each type. Conclusion: Clinicians with in-depth knowledge about obesity prescribed personalized guidance for exercise, diet, and medication through an integrative approach. The study results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weight counseling in KM. These six constituents could guide the counseling provided by clinicians in obesity care.

딥러닝 기반 영상처리 기법 및 표준 운동 프로그램을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홈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 연구 (Non-face-to-face online home training application study using deep learning-based image processing technique and standard exercise program)

  • 신윤지;이현주;김준희;권다영;이선애;추윤진;박지혜;정자현;이형석;김준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577-582
    • /
    • 2021
  • 최근 AR, VR 및 스마트 디바이스 기술의 발전에 따라 피트니스 산업에서도 비대면 환경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비대면 온라인 홈트레이닝 서비스는 기존의 오프라인 서비스에 비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운동 기구의 부재 및 사용자의 정확한 운동 자세 유지여부, 운동량의 측정이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표준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딥러닝 기반 신체 자세 추정 영상처리를 통하여 새로운 비대면 홈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알고리즘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다면 표준 운동 프로그램 영상의 트레이너를 사용자가 직접 보고 따라하면서 사용자 스스로 자세를 교정하며 정확한 운동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연구의 알고리즘을 용도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한다면 공연, 영화, 동아리 활동, 컨퍼런스 분야로의 적용도 가능할 것이다.

중국 대학생의 건강 신념이 운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계획 행동과 행동 제어의 매개효과- (Effects of Health Belief on Exercise Adherence among college Students in China -Mediating Effect of Planning behavior and action control-)

  • ;조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769-782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들의 건강 신념, 계획 행동, 행동 제어, 운동 지속성의 네 가지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생들의 건강 신념과 계획된 행동의 향상 및 개선 방안을 수립하고, 행동 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학생들의 운동 지속 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한 후 본조사는 2023년 5월 12일부터 7월 21일까지 52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무효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5109부를 최종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는 건강 신념은 계획 행동과 행동 제어, 운동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계획 행동은 행동 제어와 운동 지속성에도 정적인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행동제어는 운동 지속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건강신념과 운동 지속성 간의 관계에서 계획행동과 행동제어는 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건강신념 향상을 위해 학교에서는 건강심리 교육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더욱이 대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함으로써 대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신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복합 생체신호를 이용한 능동형 스피닝 트레이닝 시스템 (Active Spinning Training System using Complex Physiological Signals)

  • 김철민;강경헌;김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591-600
    • /
    • 2015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운동 프로그램을 스스로 학습하고 즐길 수 있는 능동형 피트니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동 참여자의 생체신호에서 획득한 생체상태와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수준에 맞는 스피닝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자기 주도 방식으로 학습 및 체험할 수 있게 하는 능동형 스피닝 트레이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운동 참여자의 뇌파와 맥파 신호를 통해 생체 상태를 분석하고, 골격 동작을 실시간 인식하여 검출된 스피닝 동작 일치율과 운동량을 반영하여 운동 참여자에게 적합한 난이도의 스피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가상 스피닝 강사를 통해 올바른 동작을 제시하고 참여자의 동작 일치율에 따라서 난이도를 조절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사용자들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안시스템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유효한 운동 효과를 얻는데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버세대를 위한 기능성 게임 콘텐츠 개발 (Developing Functional Game Contents for the Silver Generation)

  • 김은석;이현철;주재홍;허기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51-162
    • /
    • 2009
  • 고령화가 진전되면서 실버세대가 경제적으로 차지하는 비율도 매우 증가하여 생산과 소비의 주체가 되는 시대로 변모하고 있다. 실버세대의 경제적 활동이 증가하는데 반해 여가 활동을 대비하는 실버 콘텐츠개발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실버세대는 신체적 노화로 지각능력과 학습능력, 운동능력 등이 젊은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며, 이동성이나 활동성 면에서도 취약하기 때문에 실버세대를 위한 기능성 실버콘텐츠와 사용이 용이한 인터페이스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버세대의 여가 활용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하체 운동 효과를 갖는 게이트볼, 체감형 자전거, 두더지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게임으로서의 재미와 함께 실버세대의 인지능력, 신체 활동 능력에 맞는 기능적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였고, 실버세대들이 사용하기 쉬운 체감형 인터페이스와 개별적인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진행 방법을 통해 지속적인 흥미와 하체운동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농지역 사회복지형 문화재생 공간의 신체활동 치유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식 및 수요분석 - 김천시를 대상으로 - (Awareness and Demand Analysis of Participants in Physical Activity Therapy Program of Social-welfare Type Cultural Regeneration Spaces in Urban-rural Region - The Case of Kimcheon -)

  • 박상균;;오윤지;김대식;이왕록
    • 농촌계획
    • /
    • 제28권1호
    • /
    • pp.81-87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awareness and demand of participants in a physical activity therapy program(PATP) of a social welfare-type cultural regeneration space in urban and rural area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emale(68.4%) were more than the male, and 30-39 years old(53.3%) were the most generation in the PATP participants.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by all subjects, gender and age, 78.4% of the respondents had never participated in PATP before. The most duration of the PATP was 30 to 60 minutes(24.6%). 73.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not feeling difficult at all to the intensity of PATP, and 94.8%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tensity of PATP. The most respondents preferred to participate again with if the new PATP starts(97.2%) and to join the new PATP with his or her family members(85.7%).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under the age of 39(24.3%) perceiv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physical fitness by PATP was higher than over 40 years of age(11.9%).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ly the age had a significant effect(p<.01) on intensity of PATP. It means that the perceived intensity of PATP was different between the older and young generation. However, the PATP was not designed to meet the participants age and fitness levels, and even the general exercise prescription guidelines based on professional scientific data such as exercise frequency, exercise intensity, exercise time, exercis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paces. In conclusion, to encourage and promote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health-related fitness level in the spaces for the future. The various type of PATP that include a few different intensities for all genders and age groups, and a customized program based on systematic and scientific exercise prescription guidelines.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보행속력에 따른 맞춤보폭의 적용 (Adaptation of Customized Measurement of Stride Length in Smart Device)

  • 이병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5-43
    • /
    • 2013
  • 생활 속에서 걷기(보행)와 같은 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면 비만과 같은 생활습관 질병과 체중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소모 칼로리는 보행시 이동하는 거리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그러나 보행거리는 보폭과 걸음수로 측정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운동량 측정 계에서는 평균보폭을 기준으로 삼아 측정하고 있어 각기 다른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보행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보행속력에 따라서 보폭도 달라지기 때문에 보행속력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보행거리가 길수록 오차가 점점 커져 잘못된 보행거리와 칼로리 소모량이 계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보행속력을 3단계로 분류하고 3축 가속도계로부터 측정된 x,y,z축 값으로 보행속력을 추정한 뒤 보폭을 자동으로 계산해 내는 개인별 자동보폭 측정기법을 고안하였다. 또한 측정기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 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인식률 실험과 보행속력 분류 정확도 실험, 그리고 이동거리 측정실험을 통해서 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과 인지기능 및 신체 건강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 집락 배정 설계 (Effects of a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o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ing, and Physical Health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Community: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박예리자;송경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15-52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CHPP) o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ing, and physical health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Methods: A randomized comparison of pre-and post-test design was used with 62 participants assigned to either an intervention (n=32 in seven clusters) or a control group (n=30 in seven clusters) in 14 areas of a town. The final sample included 30 intervention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CHPP for 10 weeks, and 26 control participants.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the CHPP weekly; they were provided with instructions about coping with their chronic illnesses, lifestyle modification, risk management, providing emotional support to each other, and floor-seated exercise, which they were encouraged to do three times a week in their homes. Result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depression (U=48.50, p<.001), cognitive functioning (U=2.50, p<.001), left arm flexibility (U=251.50, p=.023), right arm flexibility (U=225.00, p=.007), static balance (U=237.00, p=.012), and gait ability (U=190.50, p=.004).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grip strength and muscle mas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CHPP was overall effective at improving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ing, and physical functioning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could therefore be considered a positive program for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living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