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ve Estimation Regress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4초

한우의 체중 성장곡선 모수 추정을 위한 체중 측정 자료의 최적 범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um Range of Weight-Age Data for Estimation of Growth Curve Parameters of Hanwoo)

  • 조용민;윤호백;박병호;안병석;전병순;박영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165-170
    • /
    • 2002
  • 본 연구는 한우의 성장형태 분석을 위한 성장곡선 모수 추정시 이용하는 체중 측정자료의 최적 월령을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농협 한우개량부에서 사육된 한우 수소 1,133두의 일령별 체중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비선형 회귀모형인 Gompertz 모형으로 성장곡선을 추정하였다. 24개월까지 측정한 자료에 대해 14개월부터 2개월 단위로 최종 자료입력 시기를 분할한 6개의 측정종료 월령별 체중자료에 대해 추정한 성장곡선 모수 가운데 성숙체중(A)은 22개월령과 24개월령의 추정치 평균간 차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성숙률(k) 추정치는 18-24개월령의 추정치 평균간 차이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측정종료 월령별 성숙체중(A) 추정치간의 상관 계수는 22개월령과 24개월령간에 0.9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숙률(k) 추정치간의 상관계수는 18-24개월령간에 0.91-0.99로 높게 나타났다(p$<$0.05). 성숙체중과 성숙률 추정치간의 상관은 12개월령의 경우 0.84로 높게 추정되었으나, 22개월령과 24개월령의 경우 0.12 및 0.10으로 추정되어 체중자료의 최종입력 시기가 연장됨에 따라 추정 모수간의 상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우의 체중 성장 형태를 분석하기 위한 성장곡선 추정을 위한 자료의 최종 입력시기의 최적 월령은 22개월령 이상으로 사료된다.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쇄석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 예측 (Estimation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Gravel Compaction Piles Using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 박준모;한용배;장연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12-121
    • /
    • 2013
  • 쇄석다짐말뚝의 한계상태설계법에서 신뢰성이론에 기반한 저항계수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신뢰도 높은 극한지지력의 평가가 요구되고 있으며, 실무에서는 극한지지력을 예측하기 위하여 주로 정재하시험을 이용하고 있다. 정재하시험의 하중-침하량 곡선을 여러 도해법 등을 이용하여 극한지지력을 예측하는 평가법들이 설계기준에 제시되어 있으나, 기술자의 판단에 따라 극한하중이 일정하게 산정되지 못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쇄석다짐말뚝의 정재하시험 결과를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극한지지력을 예측하고, 기존의 극한지지력 판정법과 비교함으로써 실제 극한지지력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비선형 회귀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극한지지력 판정법이 저항편향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한계상태설계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축적을 목적으로 정재하시험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시험조건을 검토하였다.

평균유속공식의 최적매개변수 산정에 의한 유량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Discharge by Estimating Optimum Parameter of Mean Velocity Equation)

  • 추태호;채수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578-5586
    • /
    • 2012
  • 이수 및 치수, 수공구조물 설계 등을 위한 하천 설계의 중요한 요소로써, 유량의 정확한 산정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하천의 유량 생산은 수위-유량관계 곡선법을 사용하고 있다. 수위-유량 관계 곡선법은 측정된 수위와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홍수기 때의 유량을 회귀 분석으로 예측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간편하게, 특히 측정이 어려운 홍수기 때에 유량을 예측하여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수위와 유량만의 관계를 이용하므로 동수반경, 에너지경사, 지형, 조도 등 하천의 수리적 특성인자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기본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량을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론의 하나로 KSCE에 기 게재된 Choo 등(2011)에서 제안한 Manning식과 Chezy식의 경험적 매개변수의 편리한 산정법을 이용하여 하천의 유량을 예측하였다. 실험실 사행 개수로와 India 운하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를 증명하였고 결정계수 0.8 수준의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면 수리적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간단하게 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하여 실무에서도 간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극치자료계열의 Scaling 특성과 Bayesian GLM Model을 이용한 지역빈도해석 (A Bayesian GLM Model Based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Scaling Properties of Extreme Rainfalls)

  • 김진영;권현한;이병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29-41
    • /
    • 2017
  • 확률강수량 산정은 하천관리, 수공구조물 설계 및 위험도 분석에 있어 중요한 기초적인 자료 중 하나이다. 실무에서는 대표지속시간에 대해서 지점빈도해석을 통해 확률강수량을 추정하고 이를 지속시간에 대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IDF (intensity-duration-frequency) 곡선을 작성한다. 이들 IDF곡선을 활용하여 기타 지속시간에 대해서는 내삽 또는 외삽으로 보간 하여 확률강수량 추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료 연한이 짧은 점을 고려한다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확률강수량 산정 기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GLM 모형을 통하여 자료의 확률분포 매개변수의 Scaling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지역빈도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 적용결과 개별지점에서 효과적인 매개변수 추정뿐만 아니라, 유역전체의 특성을 대표하는 매개변수 추정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IDF 곡선은 향후 다양한 수자원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미계측유역 또는 지속시간별 자료가 불충분한 지역에 대해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표홍수 빈도곡선의 개발에 의한 미 계측지점의 확률 홍수량 추정 (An Estimation of Flood Quantiles at Ungauged Locations by Index Flood Frequency Curves)

  • 윤용남;신창건;장수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지표홍수 빈도곡선을 개발하여 미계측 지점에서의 확률 홍수량을 추정해 보았다. 홍수빈도 분석은 한강유역의 9개 지점에 대하여 연최대치 홍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홍수빈도 곡선을 작성한 후 각 지점별 연평균홍수량( $Q_{2.33}$)을 결정하였고, 각 지점별 재현기간에 따른 연평균 홍수량에 대한 비를 산정 후 평균하였다. 그 결과 재현기간별로 다른 홍수량비가 산정되었다. 연평균 홍수량과 유역의 지형인자와의 상관 분석을 통해 다중선형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미계측 지점의 확률 홍수량은 그 지점의 유역면적과 하상경사를 이용하여 경험식에 의해 연평균 홍수량을 산정 한 후 재현기간에 따른 홍수량비를 곱하여 산정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하천정비 기본계획에 수록되어 있는 재현기간별 확률홍수량과 비교한 결과 유역면적 2,000k $m^2$ 이하의 유역에서는 유사한 값을 모의 할 수 있었다. 기존 강우-유출 해석을 기반으로 한 설계 홍수량 추정 방법에의 적용은 재평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수문자료와 강우-유출모형은 많은 불확실성이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Liver Cancer Mortality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China from 1991 to 2012

  • Fang, Jia-Ying;Wu, Ku-Sheng;Zeng, Yang;Tang, Wen-Rui;Du, Pei-Ling;Xu, Zhen-Xi;Xu, Xiao-Ling;Luo, Jia-Yi;Lin, K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1959-1964
    • /
    • 2015
  • Purpose: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liver cancer mortality as well as its developing trend from 1991 to 2012, forecast the future five-year trend, and provide a basis for the comprehensive prevention and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Mortality data for liver cancer in China from 1991 to 2012 were used to describ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liver cancer mortality. Trend surface analysis was used to stud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liver cancer mortality. Curve estimation, time series modeling, gray modeling (GM) and joinpoint regression were used to predict and forecast future trends. Results: The mortality rate of liver cancer has constantly increased in China since 1991. Rates in rural areas are higher than in urban areas, and in males are higher than in females. In addition, our data predicted that the trend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next 5 years. The age-specific mortality of liver cancer increases with age and peaks in the group of 80-84 years old. Geographical analysis showed the liver mortality rate was higher in the southeast provinces, such as Jiangsu, Zhejiang and Guangdong, and southwest regions like Guangxi Province. Conclusions: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e of liver cancer in China has consistently increased from 1991 to 2012, and the upward trend is predi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Much bet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iver cancer is needed in high mortality areas (the southwestern and southeastern parts of China) and high mortality age groups (80- to 84-year-olds), especially in rural areas.

어린이집의 통행수단별 이용권 분석 (Study on the Catchment Area of Child Care Center by Means of Transportation Mode)

  • 김용진;김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83-489
    • /
    • 2017
  • 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시대의 가장 중요한 공공시설이자 핵가족화 및 여성사회참여 등의 사회변화로 그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는 어린이집에 대하여 그 이용권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의 시립어린이집 32개소의 2,174명의 아이들에 대한 이용실태를 조사하여 통행수단별 이용권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영아(0~2세) 과정의 대부분은 차량을 통해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90%ile에 해당하는 이용권은 약 3km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누리(3~5세) 과정의 아이들 중 걸어서 어린이집에 등원하는 경우의 85%ile에 해당하는 이용권은 약 500m로 나타났으며,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90%ile에 해당하는 이용권역은 약 1.3km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누리과정과 영아과정의 차량 이용권역을 고려할 때, 생활권별 1개소 이상의 어린이집 설치가 필요하다. 특히, 영아과정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이 시급히 확충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어린이집 중심의 보행환경 개선사업이 필요하다.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Esophageal Cancer Mortality in China from 1991 to 2012

  • Tang, Wen-Rui;Fang, Jia-Ying;Wu, Ku-Sheng;Shi, Xiao-Jun;Luo, Jia-Yi;Lin, K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929-6934
    • /
    • 2014
  • Background: To analyze the mortality distribution of esophageal cancer in China from 1991 to 2012, to forecast the mortality in the future five year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Mortality data for esophageal cancer in China from 1991 to 2012 were used to describe its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hange of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e, urban-rural differences, sex and age differences. Trend-surface analysis was used to stud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mortality. Curve estimation, time series, gray modeling, and joinpoint regression were used to predict the mortality for the next five years in the future. Results: In China, the incidence rate of esophageal cancer from 2007 and the mortality rate of esophageal cancer from 2008 increased yearly, with males at $8.72/10^5$ being higher than females, and the countryside at $15.5/10^5$ being higher than in the city. The mortality rate increased from age 45. Geographical analysis showed the mortality rate increased from southern to eastern China, and from northeast to central China. Conclusions: The incidence rate and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e of esophageal cancer are rising. The regional disease control for esophageal cancer should be focused on eastern,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China, and the key target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are rural men more than 45 years old. The mortality of esophageal cancer will rise in the next five years.

Risk Factors for Appendiceal Metastasi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 Kokanali, Mahmut Kuntay;Guzel, Ali Irfan;Erkilinc, Selcuk;Tokmak, Aytekin;Topcu, Hasan Onur;Gungor, Tayf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689-2692
    • /
    • 201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appendiceal metastasis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compare findings with the previous studie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hirty-four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were assessed in this study. All of them had undergone a surgical procedure including appendectomy. Of these, 21 (15.7%) patients who had appendiceal metastasis were analyzed as the case group and the patients with no metastasis were the controls, compared according to stage, grade, histology of tumor, preoperative Ca125 levels, presence of ascites, peritoneal cytology, diameter and site of tumor considered as risk factors. Results: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stage, grade, right-sided tumor location, presence of ascites, diameter of tumor${\geq}10cm$ and positive peritoneal cytology (p<0.05). I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stage, grade, presence of ascites, right-sided location and diameter of tumor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ROC curve analysis showed that stage, grade and diameter of the tumor were discriminative factors for appendiceal metastasis. Conclusions: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stage, grade, presence of ascites, right-sided location and large tumor size have importance for estimation of risk of appendiceal metastasis. As we compare our findings with previous studies, there is no definite recommendation for the risk factors of appendiceal metastasis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more studies are needed.

Mortality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Female Breast Cancer in China from 1991 to 2011

  • Shi, Xiao-Jun;Au, William W.;Wu, Ku-Sheng;Chen, Lin-Xiang;Lin, K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785-2791
    • /
    • 2014
  • Aims: To analyze time-dependent changes in female breast cancer (BC) mortality in China, forecast the trend in the ensuing 5 years, and provide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Mortality data of breast cancer in China from 1991 to 2011 was used to describ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such as the changes of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e, urban-rural differences and age differences. Trend-surface analysis was used to stud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ortality. In addition, curve estimation, time series modeling, Gray modeling (GM) and joinpoint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estimate and predict future trends. Results: In China, the mortality rate of breast cancer has increased yearly since 1991. In addition, our data predicted that the trend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ensuing 5 years. Rates in urban areas are higher than those in rural areas. Over the past decade, all peak ages for death by breast cancer have been delayed, with the first death peak occurring at 55 to 65 years of age in urban and rural areas. Geographical analysis indicated that mortality rates increased from Southwest to Northeast and from West to East. Conclusions: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e of breast cancer in China is rising and the upward trend is predicted to continue for the next 5 years. Since this can cause an enormous health impact in China, much bet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breast cancer is needed. Consequently, disease control centers in China should place more focus on the northeastern, eastern and southeastern parts of China for breast cancer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the key population should be among women between ages 55 to 65, especially those in urban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