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tain grout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기반암에서 그라우팅에 의한 차수효과 (The Impermeable Effect for Bedrock Constructed by Grouting)

  • 여규권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51-59
    • /
    • 2009
  • 본 연구는 댐 4개소의 기초지반에 실시된 암반 그라우팅에 대한 현장 시험결과를 통하여 RQD, 단위시멘트주입량, Lugeon값(Lu) 및 최대주입압력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현장에 대하여 댐 기초지반에서 암반 그라우팅을 실시한 후 차수성에 관한 개량효과 분석결과 변성암지역이 퇴적암지역 보다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압밀(Consolidation) 그라우팅의 차수효과가 차수(Curtain) 그라우팅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시멘트주입량은 RQD가 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Lugeon값은 RQD와 무관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Lugeon값과 단위시멘트주입량(Vc)의 관계는 서로 비례하고 비교적 투수성이 큰 퇴적암 지역에서의 상관관계가 Lu = 0.22Vc인 직접적인 비례관계를 보였다. 기 시공된 인접공의 영향은 차수 그라우팅 보다 압밀 그라우팅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주입순서에 따른 단위시멘트주입량과 Lugeon값의 변화는 거의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 PDF

해저터널에서 주입에 의한 차수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mpermeable Effect by Grouting in the Subsea Tunnel)

  • 김승환;임희대;윤성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1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편마암지역의 NATM 해저터널 막장 9개소에서 실시한 차수 주입홀 315공에 대한 주입재 주입량에 대하여 RMR 분류요소들과 주입재 주입량, 루전값과 RQD, 루전값과 시멘트 주입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암반 차수 주입 효과를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해저터널에서 막장별 주입재 총주입량은 일부 막장에서 다소 변화폭은 있으나, 불연속면의 간격(R3, Js)과 지하수상태(R5)에서 분류요소의 평점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막장별 총주입량은 RMR 분류요소들보다는 탄성파탐사(3D, TSP)의 지질이상대 및 감지공의 유입량과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주입량은 불연속면의 상태(Jc, R4)의 풍화도를 제외한 RMR 분류요소들에서 평점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QD와 루전값은 상관관계가 크지 않으나, RQD 값이 클수록 루전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inforcement effect of surface stabilizer using surface curtain walls on aging reservoirs

  • Song, Sang-Huwon;Cho, Dae-Sung;Seo, Se-Gw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8권1호
    • /
    • pp.1-10
    • /
    • 2022
  • In Korea, accidents related to the collapse of deteriorated aging reservoirs occur every year. The grouting method is generally applied to reinforce an aging reservoir. However, when using this method, different reinforcing effects appear depending on the ground conditions. Thus, new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capable of providing consistent reinforcing effects are required. In this study, the direct shear test (DST), model test, and simu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surface stabilizers, generally used to reinforce roads, rivers, and slopes of roads, applied using surface curtain walls on aging reservoirs. The DST results indicate that when the surface stabilizer was mixed with in-situ soil, the increase in cohesion was the highest at a mixing ratio of 9%. No changes in the friction angle were evident; therefore, 9% was determined to be the optimal mixing ratio. In addition, the model test and simulation analysis showed that when 9% of the surface stabilizer was mixed and applied to the aging reservoir, the seepage quantity of water and the saturated area were reduced by approximately 42% and 73%, respectively. Moreover,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results showed that the grouting method could be completely replaced by surface stabilizers applied through surface curtain walls because the technique could secure stability by decreasing the seepage in the aging reservoir.

지반 그라우팅에 의한 상부구조물의 안전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Upper Structures by Soil Grouting)

  • 황철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8-65
    • /
    • 2013
  • Transportation and further expansion of social infrastructure was needed along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To use the underground space due to the lack of availability of land, it is inevitable to intersect between present structure and tunnel during construction. Soil grouting is one of the ground improvement methods to reinforce weak soil around the underground structures by injection of grouting liquid. Some of central columns of an upper structure are damaged during injection of grouting liquid by injection pressure. To investigate and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tunnel, three dimensional analysis are performed with full construction stages which includes the construction of present underpass, damaging columns of the underpass, reinforcing the columns by H-pile and shear walls, and excavation and construct tunnel. The arrangement of grouting holes such as curtain and horizontal type affects largely to the stability of upper structure and horizontal arrangement diminish the shear forces which is the cause of damage of central columns. The liquid injection type of reinforcement for tunnel is not recommended while the presence of upper structure with columns. Wall type reinforcing is utilize for permant support of upper structures which is affected by grouting injection pressure. H-pile is utilize for temporary support, but not for permanent since the sharing of shear forces is not much to shear wall during tunnel construction.

LNG 지하저장탱크의 침투해석 및 용수 대책공법에 대한 사례분석 (Case Study on Seepage Analysis and Countermeasure Against the Seepage Flow of In-ground LNG Storage Tank)

  • 신은철;오영인;이상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5-72
    • /
    • 2001
  • Since Pyoungtaek thermal power plant began using natural gas in 1986, the annual using volume has rapidly increased and reached 12.7 million tons in 1999. When the natural gas is cooled to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62$^{\circ}$C at atmospheric pressure, it condenses to a liquid called liquefied natural gas(LNG). LNG has a special characters such as odorless, colorless, non-corrosive, and non-toxic. So, LNG storage tank, tanker ship, transfer pipelines are required the special storage and transportation systems and technology. The presently operating LNG terminals are Pyongtaek and Inchon terminals. A total of 19 above-ground LNG storage tanks(100 thousand ㎘ grade) are currently in operation with a sendout capacity of 4,360tons/hour. To meet the growing domestic demand of LNG supply, the Inchon receiving terminal is expanding(six in-ground tank) and constructing a third LNG terminal at Tongyong. In this paper, case study on seepage analysis and countermeasure against increasing the seepage volume of in-ground LNG storage tank excavation work is reported. The results of an additional seepage analysi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design seepage volume of assumption section and seepage volume after curtain-grouting in the slurry wall.

  • PDF

터널붕괴지반의 보강공법 및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and Effect of the Failed Tunnel)

  • 조현;임재승;정윤영;최상열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3-300
    • /
    • 1999
  • The maintenance for the stability of tunnel, especially on downtown area, careful check must be considered during construction stage and after. Moreover we have to achieve the stability of tunnel by ground improvement and reinforcement when ground condition is bad or tunnel failures under the various ground conditions. In this paper, it is presented the case of tunnel failure and the state of restoration by ground reinforcements at seoul subway $\bigcirc$-$\bigcirc$ construction site. For the purpose of ground reinforcement, first, curtain wall was established by chemical grouting. Secondly, cement milk grouting was carried by upper part of tunnel crown. Also Boreholes loading test and tunnel monitoring were carried by in failure site for the long term stability of tunnel.

  • PDF

고성능 주입장비의 적용에 따른 주입재의 물성변화 및 주입효과 증진에 관한 연구 (The Physical Properties Variation of Grout Materials and Improvement of Grouting Effects on Application of High Performance Injection Equipment)

  • 천병식;김진춘;김백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179-190
    • /
    • 2003
  • 용액형 주입재의 경우 침투성은 우수하나, 현탁액형 주입재에 비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지반강도증대 및 차수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현탁액형 그라우팅의 침투성 향상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현장에서 초미립화된 주입재를 제조하는 분쇄기술의 실용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습식분쇄기를 이용하여 피분쇄물의 물시멘트비와 분쇄장비의 분쇄시간과 분쇄속도를 조정하여 최적분쇄능력을 파악하고 피분쇄물의 점도, 침투성 및 일축압축강도 등과 같은 제조인자별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현장에서 초미립화 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습식분쇄기와, 뭉쳐진 입자를 강제로 분리할 수 있는 고속전단믹서를 현장에 적용하여 전기비저항탐사와 변수위투수시험으로 주입효과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침투효과가 대단히 우수하였고 고속전단믹서를 사용한 경우 주입재의 입자분리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인천 해안 저장공동 유출수 및 주변 지하수의 수질특성 (Characteristics of Seepage Water and Groundwater in Incheon Coastal LPG Storage Cavern)

  • 조윤주;이진용;최미정;조병욱
    • 지질공학
    • /
    • 제20권1호
    • /
    • pp.1-1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천 해안 LPG공동의 수리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공동 유출수 및 주변 지하수에 대한 수리지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2월, 5월, 8월, 10월에 걸쳐 시료채취 및 수질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판공동 지하수의 경우 pH는 8.1~12.4의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는 공동건설 및 관측정설치에 사용된 시멘트 그라우팅 물질의 용해영향으로 사료된다. 전기전도도는 시료채취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음의 산화환원전위는 유출수 및 지하수가 환원환경에 있음을 지시하였다. 수질분석결과 유출수 및 지하수의 수질유형은 모두 Na-Cl type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해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호기성세균, 혐기성세균, 점액질세균, 황산환원세균 모두 500 CFU/mL 미만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급격한 미생물 성장은 관찰되지 않았다. 현재로선 공동 운영에 지장을 주는 특이적 수리화학적 현상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