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of Information Service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5초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rack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63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society. To this end,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S curriculum, determined demand from field librarians through a survey, carried out job analysis by library types, and developed an operating model for LIS curriculum by synthesizing all of these results. Finally, we suggested a course of study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based on this model. As a result, the six required courses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The four core courses for the civil service concentration are: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Sources by Subjects,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Digital Libraries. Suggested electives best suited to this career path include Using Web Resour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Services in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Library Marketing, Libraries and Cultural Programs, Reading Guidance, Library History, Small Library Management, Studies in Library Buildings, Library Cooperation,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 과정(안) 개 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Model Development for the Disabled Users Service Special Librarian)

  • 김혜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5-348
    • /
    • 2015
  • 본 연구는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사회의 관심도 증가에 따라 도서관서비스 대상에서 소외되었던 장애인 이용자가 처한 특수상황에 맞는 맞춤형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교과 과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교과과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요인을 선별하기 위하여 국내외 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의 도서관장애인서비스와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교과과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도서관장애인서비스를 위한 전문사서 양성 과정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교과 내용과 교과 과정을 기초 과정과 심화 과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문헌정보학과 장애인서비스 교과과정에 관한 기초 연구 - 서울시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및 문헌정보학과 장애인서비스 교과과정 현황 조사 - (A Basic Research on the Librarian Curriculum for the Disabled Users: A Survey of Public Library Disability Services in Seoul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isability Services Curriculum)

  • 김혜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55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 교과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을 통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고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의 계속 교육과정 및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 대학원 과정의 경우 현재 각각 한 곳에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과 관련된 교과과정이 개설되어 있었다. 둘째, 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의 계속 교육과정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2010년 처음 강좌를 개설한 이후 매년 강좌를 개최하고 있으며, 강좌 이수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수자들의 의견을 다음 강좌내용 선정에 반영하고 있다. 셋째, 현재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장애인은 시각장애인보다는 지체장애, 정신지체, 정서 행동장애, 자폐성 장애가 있는 이용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서비스는 관외대출서비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일반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전화인터뷰에 의하면 현재 장애인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소수 기관의 담당사서들은 장애인에 대한 이해, 장애인 문화프로그램 운영 기획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의 정보서비스 영역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in South Korea)

  • 남영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43-362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과내 정보서비스 영역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정보서비스분야의 발전적인 교과운용방안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대학교 5곳과 미국 주요 대학원 4곳을 선정하여, 해당 대학교가 개설하고 있는 정보서비스관련 교과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사서채용시에 요구하는 시험과목을 분석하였다. 전자는 학문적 기반의 정보서비스 교과내용을 파악하기 위함이고, 후자는 도서관 현장에서 요구하는 정보서비스의 교과내용을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분석결과, 학문적으로 요구하는 정보서비스 영역은 분야별 정보원에 관련한 지식(장서 관리, 주제별 서지 등)과 대이용자 분석에 관련한 지식(정보서비스, 이용자연구, 독서지도 등) 등이었다. 또한 국가고시의 관리자급 채용요건에서는 정보서비스 이론과 함께 주제정보원 및 대이용자 서비스 관련 지식을 종합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따라서 정보서비스 영역 교과과정에서 전문적인 주제정보교육이 보다 강화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비스무역 커리큘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Trade in Services)

  • 박광서
    • 무역상무연구
    • /
    • 제69권
    • /
    • pp.741-762
    • /
    • 2016
  • The importance of trade in services has been increasing day by day, but the research on it is insufficient so far in terms of basic information, statistics, influence, industrialization and so on. To foster of professional trader in services, we need curriculums, textbooks and training centers like academy or college in advance. We have well developed curriculums for trade in goods since 1960's in Korea, so we can transfer the trade in goods' curriculum to trade in services.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rade in goods and trade in services basically, but we can borrow a lot of idea from trade in goods in terms of basic framework like international economics, international business and international commercial transactions. This study propose the basic framework for trade in services' curriculum. First, trade in services economics handle the basic concept, statistics, characteristics, theories etc. Second, trade in services business treat the global companies to expand their business to global market, so characteristics of service companies, marketing plan and strategies and so on. Third, international commercial transaction of trade in services concentrate for procedures and contracts in terms of formation, implementation and finish of contract. Finally, Services industries can be a future strategic industry to any contries, so there are some national and corporates' strategy for expanding their business. This study acts on the initial idea for curriculums of trade in services, so I am looking forward to many criticism and development from another researchers to develop the model curriculums and textbook for education of specialized trader in services.

  • PDF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Competency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 안인자;노동조;노영희;김성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33-361
    • /
    • 2009
  • 주제전문사서 교육의 목적은 전문화, 특성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사서의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교육과정은 담당 사서가 주제전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성취 중심의 교육과정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교육과정을 도출하는 과정 및 결과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6개의 교육코스와 15개의 교과목을 제안하는데 6개 코스는 '정보원개발', '정보봉사', '도서관마케팅', '이용자교육', '주제연구', '도서관경영 및 일반'이다.

기술정보화(IT) 시대의 회계 교육 : IT교과와의 융합교육의 제안 (Accounting Education in the Era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 Suggestions for Adopting IT Related Curriculum)

  • 윤소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1-109
    • /
    • 2021
  • Recently,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changed.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ccelerated the introduction of databases, communication networks, information processing and analyzing systems, making the use of suc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 essential factor for corporate management innovation. This change also affected the accounting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cument changes in accounting areas due to the adoption of IT technologies in the era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to define the required accounting professions in this era, and to present the efficient educational methodologies for training such accounting experts. An accounting expert suitable for the era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means an accounting profession not only with basic accounting knowledge, competence, independency, reli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flexible interpersonal skills, but also with IT skills, data utilization and analysis skills, the understand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chain-based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educate future accounting experts, the accounting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zed to strengthen the IT capabilities, and it should provide a wide variety of learning opportunities.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a practical level of education through industry and academic cooperation. Distance learning, web-based learning, discussion-type classes, TBL, PBL, and flipped-learnings will be suitable for accounting education methodologies to foster future accounting expert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motivate to consider accounting educational system and curriculum to enhance IT capabilities.

도서관학 교과과정의 변화 (Curriculum change in education for librarianship)

  • 엄영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0권
    • /
    • pp.107-131
    • /
    • 1993
  • This paper compares the curricula in 1985 and those in 1993 of nin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Comparison may be claimed as a curriculum comparison between the Departments of Library Science and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purpose of the comparison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curricula provided between the 1980s and the 1990s. The differences are expected to show the trends of library education and the reasons which have caused them to ha n.0, ppen. Before comparing,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urriculum developments as well as the curriculum chang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in Korea have been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numbers of subjects, compulsory and elective, along with credits, the subjects included in the curricula, and the distributions of the subjects have been compared. Some differences are found between the periods, but they are not so distinctive as expected. The most notable change is an increase of subjects on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the findings, a few suggestions, which include that subjects dealing with library use and services need to be increased, are recommended.

  • PDF

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마케터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관련 연구 (A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for Big Data Driven Digital Marketer)

  • 이명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05-115
    • /
    • 2021
  • 개인, 민간, 정부 등 다양한 영역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많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Data Scientist)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기반 마케팅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방대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마케팅 관점에서 활용하기 위한 국내외 대학 빅데이터 기반 마케팅 관련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에 의해 수집된 디지털마케팅, 빅데이터 마케팅, 데이터 분석, 개발자 관련 과목 3,523개의 분석결과 빅데이터 시대에 필요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양성을 위해 특화된 교과과정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과정이 디지털 마케팅 및 빅데이터 기반 마케팅 교과과정 개발에 유용하게 참고 될 것으로 기대한다.

문헌정보학과의 코어 교과목 연구 (A Study on the Core Courses of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엄영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3-4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의 기초 과목으로 볼 수 있는 코어 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문헌정보학과들이 코어 교과과정으로 인정되는 필수과목들을 개설하지 않으므로 1980년대의 필수과목들을 조사하여, 이들이 현재의 교과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학부제의 실시 이전과 비교하면 개설되는 코어 교과목들과 이들이 교과과정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별 변화가 없으며, 전통적인 코어 교과목인 자료의 수집, 조직, 봉사, 경영ㆍ관리 및 정보학 관련 교과목들이 교과과정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