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iosity

검색결과 624건 처리시간 0.029초

온라인 해외직접구매의 쇼핑가치가 호기심 및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헤비유저와 라이트유저의 비교- (The Effect of Shopping Valu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Online Cross-border Shopping Mediated by Curiosity and Self-efficacy -Comparing Heavy and Light User-)

  • 윤남희;김현숙;추호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004-1018
    • /
    • 2020
  • Advances in e-commerce enable consumers to shop efficiently for fashion products in global markets in addition, the market size of purchasing directly from foreign websites are also increas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online cross-border shopping. Curiosity and self-efficacy were introduced as mediating variables between shopping values and user intentions. A web-based survey is conducted on female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s to buy fashion products by online cross-border shopping. A total of 472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 panel of online survey firms. Data are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SEM by AMOS 21.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est, hedonic value affecte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online cross-border shopping as mediated by curiosity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utilitarian value influenced self-efficacy, which mediated relations between the utilitarian value and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research model was also tested to compare heavy users and light users of online cross-border shopping. For heavy users, the effect of hedonic value on curiosity was significantly stronger than for light users. Sever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과학 학습에서 불일치 현상 대면 여부에 따른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의 변화 (Changes in State Curiosity and State Anxiety in Science Learning Depending on Confronting Violation of Expectation)

  • 강지훈;김지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521-537
    • /
    • 2022
  • 과학 학습 과정에서 유발되는 상태호기심과 상태불안은 학업 수행 및 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상태호기심과 상태불안은 매 순간마다 그 수준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의 전 과정에서 학생의 상태호기심과 상태불안 수준을 파악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학습을 과학 문제 대면, 결과 확인, 과학 개념 학습의 세 상황으로 구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의 예상과 결과의 일치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 수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제 대면 후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예상과 일치한 결과에 직면한 nVOE 집단의 상태호기심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자신의 예상과 일치하지 않은 결과에 직면한 VOE 집단의 상태호기심은 증가하였다. VOE 집단 중 결과에 대한 이유를 바르게 추론한 VOE-R 집단의 상태호기심 수준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결과에 대한 이유를 바르게 추론하지 못한 VOE-FR 집단의 상태호기심은 증가하였다. 한편 문제의 결과를 확인한 후 VOE 집단과 nVOE 집단의 상태불안은 감소하였으며 VOE-R 집단 역시 상태불안이 감소하였다. 반면 VOE-FR 집단의 상태불안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제의 결과를 확인한 후 결과에 대한 과학 개념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VOE 집단, nVOE 집단, VOE-FR 집단의 상태호기심은 모두 감소하였다. 한편 nVOE 집단의 상태불안 수준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VOE 집단, VOE-R 집단, VOE-FR 집단의 상태불안 수준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교육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 학습에서 유발되는 학생의 정서적 상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low와 Experience가 온라인게임 사용시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low and Experience on the Usage Time of Online Games)

  • 최동성;김호영;김진우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214-219
    • /
    • 2000
  •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게임의 경우 더욱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오랜 시간동안 게임을 즐기고 있다. 본 연구는 Flow 이론을 중심으로 왜 사람들이 온라인 게임 속에 오래 머물러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사용시간과 Flow 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Flow의 4가지 차원 중에서 Intrinsic interest와 Curiosity를 많이 느끼면 그에 따라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시간이 늘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온라인 게임을 통해 사람들에게 Intrinsic interest와 Curiosity를 많이 느끼게 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재미와 지각적 재미라는 이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람들은 인지적 재미와 지각적 재미를 많이 제공해 주면 줄수록 Intrinsic interest와 Curiosity를 많이 경험할 수 있게 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Impact of Facebook Access Motivation on Facebook Addi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or Role of Online Self-Disclosure

  • Lee, Eun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03-112
    • /
    • 2019
  • Online self-disclosure was hypothesized as a mediating variable,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book access motivation (relationship expansion, curiosity about others' life,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social pressure from others, habitual use, impression management,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content sharing) and Facebook addiction. Data came from 407 high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provinces. Structural analysis was used to specify the relations among measured construct.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curiosity about others' life,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maintenance of social connection,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habitual use, and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impression managemen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Facebook addiction. Online self-disclosure mediates between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curiosity about others' life,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ocial pressure from others,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searching for information & Facebook access motivation of content sharing and Facebook addiction. Viewing online self-disclosure as a mediator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social media addiction counseling practice.

초등학생의 반려동물 사육경험이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호기심, 과학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reeding Companion Animals on Interest, Curiosity, and Self-Concept in Science)

  • 김지원;강지훈;유병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267-28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반려동물의 사육경험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호기심 및 과학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74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사육경험에 따른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호기심, 과학자아개념 수준을 ANOVA 및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반려동물 사육경험이 있는 학생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호기심, 과학자아개념이 사육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흥미와 호기심을 느끼며 반려동물 사육활동에 참여하며, 반려동물을 사육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 및 성공적인 사육경험으로 인하여 자아개념도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과학교육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반려동물을 소재로 하여 반려동물 사육경험이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과학 학습에서 유발되는 과학상태호기심 및 과학상태불안 수준에 따른 학습효과 (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the Level of Science State Curiosity and Science State Anxiety Evoked in Science Learning)

  • 강지훈;김지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1-235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 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학습 상황에서 과학상태호기심(Science State Curiosity; SSC) 및 과학상태불안(Science State Anxeity; SSA) 수준에 따른 학습효과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학 학습을 과학 문제 대면(I), 결과 확인(II), 과학 개념 학습(III)의 세 가지 상황으로 구분하여 각 학습 상황에서 SSC 및 SSA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SSC 및 SSA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학습효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과학호기심, 인지욕구, 과학자아개념, 과학불안, 흥미를 통제하였다. 과학 문제 대면 상황에서의 SSC 및 SSA를 'SSCI' 및 'SSAI'으로, 결과 확인 상황에서의 SSC 및 SSA를 'SSCII' 및 'SSAII'로, 과학 개념 학습 상황에서의 SSC 및 SSA를 'SSCIII' 및 'SSAIII'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학습효과를 직후학습효과와 지연학습효과로 구분하여 사전검사 점수에 비하여 직후검사 또는 지연검사 점수가 향상된 정도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후학습효과는 SSCI·SSCII가 높을수록, SSAI·SSAII·SSAIII가 낮을수록 높았으며, 지연학습효과는 SSCI·SSCII가 높을수록, SSAIII가 낮을수록 높았다. SSC가 SSA보다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직후학습효과에는 SSCII가, 지연학습효과에는 SSCI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SSCIII가 높을수록 추가적인 자발적 학습을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 학습에서 학생의 정서적 상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 연구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레저스포츠의 참여자 호기심, 운동강도, 운동정서가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Causal Effects Among Participants' Curiosity, Perceived Exertion, and Exercise Emotion on Exercise Adherence Behavior in Marine Leisure Sports)

  • 김성문;최만식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127-142
    • /
    • 2016
  • 본 연구는 해양레저스포츠 참여자의 호기심, 운동강도, 운동정서가 운동지속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대학교 해양레저스포츠 교과목(스쿠버다이빙, 윈드서핑, 요트) 수강자 491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그들은 4종류의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연구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AMO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으며, 변인 간 인과적 관계 규명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이 실시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로는 첫째, 해양레저스포츠 최초 참여자의 호기심은 운동정서에 정적인 인과관계가 나타났으며, 운동정서는 운동지속행동에 정적인 인과관계가 확인되었으며, 호기심은 운동지속행동에 정적인 인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운동정서는 호기심과 운동지속행동의 부분적인 매개변인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해양레저스포츠 최초 참여자의 운동강도가 높으면 긍정적 정서는 낮고, 부정적 정서는 높게 나오며, 운동강도가 높으면 운동지속행동의 가능성, 경향성, 강화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운동정서가 긍정적이면 운동지속행동의 가능성, 경향성, 강화성이 높아 운동지속 의지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운동정서는 운동강도와 운동지속행동의 부분적인 매개변인으로 판명되었다.

인스타그램 이용자 성격이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끼치는 영향 (Effects of Instagram User Personality on Brand Satisfaction and Loyalty)

  • 김혜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50-461
    • /
    • 2016
  • 본 연구는 SNS의 이용에 관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이용자의 성격이 SNS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여러 가지 SNS 중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률 증가를 보이는 인스타그램에 주목하고, 인스타그램 이용자 성격 요인 중 외향성, 호기심, 자존감 3개 요인을 외생변수로 정의하였다. 브랜드 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를 내생변수로 상정하고 성격 요인이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브랜드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상정하였다. 인스타그램 이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396부의 설문조사 결과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성격 요인 모두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끼쳤으며 브랜드 충성도에는 외향성과 호기심만이 정(+)의 영향을 끼쳤다. 브랜드 만족도는 매개변수로 검증되었으며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성격 요인은 호기심인 것으로 밝혀졌다.

Jigsaw 모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특성화고 학생의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Applying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al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유상은;손홍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09-32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직소모형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Jigsaw 모형을 적용한 수학수업의 특징으로 동료들에 대한 의무감 때문에 학생들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짐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수업이 학습자의 호기심과 동기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수학 개념과 공식의 가치인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