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culio sikkimensi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밤바구미 방제를 위한 살충제의 탐색 (Selection of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Chestnut Curculio (Curculio sikkimensis))

  • 김영재;한종빈;서동규;김연태;박병규;최광식;김철수;신상철;이상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47-352
    • /
    • 2004
  • 시판되고 있는 39종의 살충제 중 밤바구미 성충(Curculio sikkimensis)에 대한 우수 살충제를 탐색하고, 선발된 약제로 야외포장에서 잔효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내검정에서 39종의 살충제 중 100%의 살충율을 나타낸 약제는 chlorpyrifos, fenitrothion, phenthoate, benfuracarb, thiodicarb, carbosulfan, bifenthrin, cypermethrin, $\lambda$-cyhalothrin, deltamethrin, clothianidin, acetamiprid+bifenthrin, etofenprox+diazinon, esfenvalerate+fenitrothion, furathiocarb+diflubenzuron, fipronil 등 16종이었다. 잔효성 시험에서는 phenthoate, benfuracarb, thiodicarb가 1일째까지는 80% 이상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로는 급속히 떨어졌다. 그 외 약제들도 잔효성은 낮았다. 야외포장 방제효과 시험에서는 phenthoate, thiodicarb, fipronil, acetamiprid+bifenthrin, furathiocarb+diflubenzuron이 1일째부터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친환경적 밤 종실해충 방제 연구 (Study on Chestnut Insect Pests by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s in Korea)

  • 이총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5-100
    • /
    • 2009
  • 밤 종실의 생산량과 재배 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한 친환경적 방제 기술을 보급하고자 밤의 주 생산지인 경상남도 밤나무 집단 재배지에서 몇 가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의 피해율은 조생종(단택, 삼조생)의 경우, 웜스톱 처리구에서 피해율이 7.76%로 가장 낮았고, 웜스톱+목초액, 포충등 처리구 순으로 증가였다. 중생종(유마, 축파)의 피해율은 웜스톰 처리구에서 13.39%로 가장 낮았으며, 만생종(박미, 은기)은 피해율간 유의차가 있었다(p<0.05).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 만생종 밤의 웜스톱 처리구에서 각각 40.49%, 41.89%로 가장 높았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의 피해율은 조생종과 중생종 밤에서 낮았으며, 숙기별 처리간의 유의차가 없었다(p>0.05). 만생종 밤에서의 피해율은 웜스톱과 이미다클로프리드 처리구가 15.38%로 가장 피해율이 낮았으며, 항공방제, 웜스톱, 포충등 처리구 순이었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에 대한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과 중생종에서는 낮았고, 만생종의 웜스톱과 이미다클로프리드, 항공방제 처리구에서 방제가는 각각 34.59%, 28.94%였다.

밤바구미 (Curculio sikkimensis)의 발육단계별 형태측정 및 비교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Morphology of Developmental Stages of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Coleoptera: Curculionidae))

  • 김영재;문상래;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16
    • /
    • 2010
  •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및 실외에서 사육하여 얻어진 밤바구미의 발육단계별 형태측정을 하였다. 알의 크기는 0.8${\pm}$0.03 mm 이었다. 탈출유충은 평균 생체중이 98 mg, 체장은 10.65 mm, 체폭은 3.99 mm, 두폭은 1.70 mm이었다. 번데기의 크기는 암컷이 7.01 mm, 수컷이 6.53 mm으로 측정되었다. 암컷과 수컷 성충의 생체중, 체장, 체폭, 두폭, 주둥이 길이와 더듬이 길이를 조사하였다. 암컷의 생체중, 체장, 체폭과 두폭은 수컷보다 큰 것으로 유의성이 있으며, 암컷의 주둥이 길이와 더듬이 길이도 수컷보다 긴 것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암컷과 수컷 성충의 평균 생체중은 0.343과 0.268 g, 체장 7.76 과 7.14 mm, 체폭 3.38 과 3.01 mm, 두폭 1. 60과 1.37 mm, 주둥이 6.53과 3.56 mm, 더듬이 5.47과 4.63 mm로 각각 조사 되었다. 유충은 1~3 년까지 월동하면서 생체중, 체장, 체폭이 줄었다. 이러한 형태를 비교한 결과 주둥이 길이와 체장의 비율, 주둥이에 붙은 기절의 위치, 미부 생삭기의 모양으로 암수를 구분할 수 있었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 유충과 성충의 발생소장 (Seasonal Occurrence of the Larvae and Adults of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 (Coleoptera: Curculionidae))

  • 김영재;윤창만;신상철;최광식;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9-15
    • /
    • 2008
  •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충남 공주, 부여, 청양 지역에서 구입한 밤에서 탈출하는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 유충의 탈출시기, 토양으로 잠입시간, 토중 분포상황 및 월동유충의 생존율과 성충의 우화시기 및 우화율, 성비 및 생존일수를 조사하였다. 밤바구미 유충의 탈출 시기는 조생종이 9월 중순부터 10월 초순, 중생종이 9월 하순부터 10월 중순, 만생종이 10월 초순부터 11월 중순에 탈출하였고, 탈출 후 35분 내에 100% 토양 속으로 잠입하였다. 밤바구미의 월동 유충은 지표면으로부터 48 cm 이내의 깊이에서 서식하였고, 18-36 cm의 깊이에서 74.1%의 분포를 보였다. 월동 유충의 생존율은 1년차에 38.0%, 2년차에 16.0%, 3년차에 2%로 조사되었다. 밤바구미 성충의 우화시기는 8월 초순부터 10월 초순까지로 우화최성기는 9월 초 중순이었다. 우화율은 1년차에 8.4%, 2년차에 3.6%, 3년차에 0.8%로 감소하였다. 성충의 성비는 $0.51{\sim}0.55$ 범위로 나타났고 암컷의 비율이 높았다. 생존일 수는 암컷이 평균 9.9일로 수컷의 8.9일보다 길어 암컷의 수명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바구미류 유충의 비교형태에 관한 연구(I)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Weevil Larvae of the Superfamily Curculionoidea in Korea(Coleoptera) (I))

  • 이찬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3-169
    • /
    • 1992
  • 본 연구는 바구미과(Curculionidae)의 노랑무늬솔바구미(Pissodes nitidus), 노랑점검바구미(Pissodes obscurus), 흰점박이바구미(Shirahoshizo insidiosus),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 버들바구미(Cryptorhynchus lapathi) 그리고 거위벌레과(Attelabidae)의 거위벌레(Apderus jekeli), 단풍나무거위벌레(Byctiscus puberulus regalis), 투리거위벌레(Euops splendidus), 복숭아거위벌레(Rhynchites heros) 그리고 왕바구미과(Rhynchophoridae)의 왕바구미(Sipalinus gigas) 유충의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 PDF

전남지방에 있어서 밤바구미의 피해상황, 우화 및 월동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amage, Emergence, and Overwintering of the Chestnut Curculio, Curculio sikkimensis in Chonnam Province)

  • 김규진;김종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2-136
    • /
    • 1984
  • 전남지방의 밤 집단재배단지에서 피해가 확대되고 있는 밤바구미의 피해율, 발생시기, 토중의 월동부위, 월동후의 사충율의 변이에 대한 시험을 계획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남지방 밤 단지의 밤바구미 피해율은 담장 $26.4\%$, 광양 $21.1\%$, 승주 $12.9\%$였으며 이 지역은 참나무류가 많이 혼재되어 있었다. 2. 월동유충의 약 $3.33\%$가 1년차에 우화되었고, $22.78\%$가 2년차에, 그리고 $1.67\%$가 3년차로 계속 월동중이었다. 3. 밤바구미의 우화시기는 7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였고 그 최성기는 8월 중순에서 9월 상순이었다. 4. 밤바구미 피해종실로부터의 유충 탈출시기는 10월 상순부터 11월 상순이었다. 5. 밤바구미의 난기는 5.95일, 용기는 17.17일, 성충의 수명은 암컷 9.10일, 숫컷 7.03일 이었으며 유충기간은 매우 다양하여 측정하기 어려웠다. 6. 밤바구미는 월동유충은 상중 $16\~26cm$에 많이 분포하였다. 7. 월동후 일수경과에 따른 사충율과는 고도의 유의상관관계$(r=0.970^{**})$가 인정되었다.

  • PDF

친환경적 방법에 의한 밤 종실해충의 관리 (Management of Chestnut Insect Pests by Friendly Environmental Controls in Korea)

  • 이총규;김종갑;구관효;강승미;윤석락;서동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30-34
    • /
    • 2008
  • 본 연구는 밤 종실을 생산량과 소득증대를 위한 방제 기술을 보급하고자 밤의 주 생산지인 경상남도 밤나무 집단 재배지에서 몇 가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의 피해율은 조생종인 단택과 삼조생 밤이 웜스톱 처리구에서 피해율이 8.17%로 가장 낮았고, 포충기, 네마캐치, 나프탈렌 처리구 순이었다. 중생종인 유마와 축파 밤은 웜스톰 처리구에서 9.83%로 가장 낮았으며 피해율간 유의차가 있었다(p<0.05). 만생종인 박미와 은기 밤은 피해율간 유의차가 없었다(p>0.05).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 중생종 밤의 웜스톱 처리구에서 각각 90.68%, 80.58%로 가장 높았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의 피해율은 조생종과 중생종 밤에서는 피해율이 낮았으며, 처리별 피해율간의 유의차가 없었다(p>0.05). 만생종 밤에서 피해율은 네마캐치 처리구가 13.07%로 가장 피해율이 낮았으며, 웜스톱, 포충기, 나프탈렌 처리구 순이었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에 대한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과 중생종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고, 만생종의 네마캐치와 웜스톱 처리구에서 방제가는 각각 80.58%, 77.90%였다.

밤 종실해충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과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함양 계통의 실용적 활용 (Practical Utiliz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and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Strain for Control of Chestnut Insect Pests)

  • 추호렬;김형환;이동운;이상명;박선호;추영무;김종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9-76
    • /
    • 2001
  •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ScP)과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함양 계통(HbH)을 이용한 밤 종실해충의 실용적인 방제를 위하여 밤나무 재배농가 에서 취하는 여러 가지 종실처리법과 관련하여 알아보았다. 수확 후의 밤 종실에는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밤애기잎말이나방 유충이 발견되었으며, 한 종실에 한 종류의 해충이 발견된 것은 58%로 밤바구미가 18%,복숭아명나방이 27.7%, 밤애기잎말이나방이 12.3%였다. 반면,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이 함께 발견된 종실은 3.3%, 밤바구미와 밤애기잎말이나방이 함께 발견된 종실은 5.0%,복숭아명나방과 밤애기잎말이나방이 함께 발견된 종실은 7.7%,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 밤애기잎말이나방 등 3종의 해충이 함께 발견된 종실이 5.0%였다. ScP와 HbH는 모든 종류의 종 실해충에 효과가 있었고, 밤애기잎말이나방보다는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에 더 효과적이었다. ScP의 $LC^{50}$값은 밤바구미 유충이 14.6마리, 복숭아명나방 유충이 4.6마리, 밤애기잎말이나방 유충 이 5.6마리 였고, HbH의 LC$^{50}$ 값은 밤바구미 가 49.2마리 . 복숭아명나방이 5.8마리 , 밤애기잎말이나방 이 13.9마리였다. ScP을 pot내의 종실에 4,813마리/pot$(1\times10^{9}$마리1ha)의 농도로 처리한 것에서도 종실내의 밤바구미 유충은 85.3%,복숭아명나방 유충은 96.9%, 밤애기 잎말이나방 유충은 68.1%가 치사되었고, HbH의 처리에서는 각각 60.7%, 96.5%, 66.8%의 치사율을 보였다. 두 선충을 단독 처 리의 반수 농도로 혼합 처리하였을 때는 ScP에 의한 치사가 Hb보에 의한 치사보다 모든 농도에서 높았다. 그리고 ScP현탁액에 종실을 처리하여도 침지시간과 농도에 관계없이 종실내의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밤애기 잎말이나방 유충은 높은 비율로 치사되었다.

  • PDF

일부 밤 농사 및 가공 종사자의 밤바구미 훈증제 이황화탄소 사용실태 및 인식 (Recognition and Using Status of Carbon Disulfide (CS2) as Fumigant for Controlling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 among Chestnut Farmers)

  • 이무식;김은영;이재림;손기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1권2호
    • /
    • pp.63-74
    • /
    • 2016
  • Objectives: We surveyed the awareness and current status of using fumigant carbon disulfide for exterminate Curculio sikkimensis among chestnut farmers in Chungnam Province to suggest directions for health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Methods: We designed questionnaires to evaluate recognition of fumigant carbon disulfid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assess recognition and recognition level of fumigant carbon disulfide by the study variables. Results: The recognition status for fumigant carbon disulfide was 74.5%, but the recognition level was low (know well 27.5%). The path of recognition was 45.1% and 15.7% for neighbor and rural technology center, respectively. The recognition status for warning label of fumigant carbon disulfide was 52.9%. Recognition for warning label of fumigant carbon disulfide was tended to increase with high educational attainment, bigger owning land area. Recognition on the content of warning label were 29.4%, 27.5%, 21.6%, and 21.6% for inflammability, toxicity, hazard, and explosiveness, respectively. Us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wa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high status of awareness on fumigant carbon disulfide. Conclusions: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using fumigant carbon disulfide are needed for chestnut farmers. In addition, publicity information activities about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carbon disulfide poisoning are needed for high risk far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