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ative radiotherapy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1초

성문상부 상피세포암에서의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Primary Radi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uprag1ottic Larynx)

  • 김원택;김동원;권병현;남지호;허원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33-243
    • /
    • 200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성문상부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 성적과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여 성문상부암에서의 방사선치료의 효율성과 역할, 그리고 앞으로의 치료방침의 결정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을 알아보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8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32예를 후향적 분석을 통해 최소 29개월간 추적관찰 하였다. 6MV 광자선을 이용하여 조사영역 축소치료법과 통상적 분할조사 방법으로 원발부위와 주위 경부림프절을 평균 70.2 Gy로 치료하였고, 이중 13예는 cisplatin과 5-FU로 유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병기별로는 1기가 5명(15.6$\%$), 2기가 10명(31.3$\%$), 3기가 8명(25$\%$), 4기가 9명(28.1$\%$)이었다. 결과 : 연구 결과 5년 전체 생존율과 국소제어율, 성문보존율은 각각 51.7$\%$, 65.2$\%$, 65.6$\%$였고, 병기별로의 생존율은, 1기, 2기, 3기, 4기 각각 80$\%$, 66.7$\%$, 42.9$\%$, 25.0$\%$였고, 국소제어율은 각각 100$\%$,60.0$\%$, 62.5%$\%$ 44.4$\%$였으며, 성문보존율은 각각 100$\%$, 70$\%$, 62.5$\%$, 44.4$\%$였다. 유도 화학요법을 실시한 군과 방사선 단독 군에서 생존율, 국소제어율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치료실패를 보인 환자 중 7예에서 구제적 수술을 시행했고 이 중 3예에서 성공하였다. 치료 중 화학요법을 병용한 1예에서 중성구감소증으로 입원하였으며, 그 외에는 grade 3 이상의 급성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치료 후 2예에서 심한 후두부종으로 기관절개술을 받았다. 원격전이는 4예에서 보였고(폐 3예, 뇌 1예), 2예에서 이차성 원발암이 발견되었다. T병기와 N병기, 총방사선량, 그리고 종양의 육안적 소견 등이 유의한 예 후인자였다. 결론 .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조기 성문상부암인 경우 방사선치료와 보존적 수술이 생존율과 국소제어율에 비슷한 결과를 보이므로 후두기능 보존의 효과가 좋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도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하겠으며,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서는 방사선 단독 치료가 수술과의 병합 치료보다 예후가 월등히 좋지 않게 나타나므로 가급적 수술과 방사선치료 병합요법을 시도하는 것이 좋겠으나, 방사선치료를 해야만 하는 경우에서는 성문보존율과 국소제어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 특히 동시 화학방사선치료와 다분할 방사선치료, 그리고 방사선 민감제 등을 이용한보다 더 폭 넓은 연구와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Chemoradiotherapy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Kim, Kyung Hwan;Chang, Jee Suk;Keum, Ki Chang;Ahn, Joong Bae;Lee, Chang Geol;Koom, Woong Sub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25-33
    • /
    • 2013
  • Purpose: We reviewed the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s with anal canal carcinoma who were treated with curative intent chemoradiotherapy (CRT) at Severance Hospital from 2005 to 2011. Materials and Methods: Data for 38 eligible patients treated during this period were reviewed.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curative intent using radiotherapy (RT) with (n = 35) or without concomitant chemotherapy (n = 3). Among 35 patients who received CRT, most of the chemotherapeutic regimens were either 5-fluorouracil (5-FU) plus mitomycin C (23 patients) or 5-FU plus cisplatin (10 patients). Recurrence-free survival (RFS), colostomy-free survival (CFS), overall survival (OS), and locoregional control (LRC) rates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survival between sub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log-rank test.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for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Over a median follow-up period of 44 months (range, 11 to 96 months), 3-year RFS, CFS, OS, and LRC were 80%, 79%, 85%, and 92%, respectively. In multivariate analysis, tumor size >4 cm was an independent predicting factor for poorer RFS (hazard ratio [HR], 6.35; 95% confidence interval [CI], 1.42 to 28.5; p = 0.006) and CFS (HR, 6.25; 95% CI, 1.39-28.0; p = 0.017), while the presence of external iliac lymph node metastasis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ator for poorer OS (HR, 9.32; 95% CI, 1.24 to 70.3; p = 0.030). No treatment-related colostomies or deaths occurred during or after treatment. Conclusion: Curative intent CRT resulted in excellent outcomes that were comparable to outcomes in previous randomized trials. No severe treatment-related toxicities were observed.

방사선 치료중인 암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정신과 장애의 관련성 (A Relation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on Radiotherapy and Psychiatric Disorders)

  • 김호찬;문창우;박시성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134-141
    • /
    • 1999
  • 연구목적 : 암환자에서는 암의 임상적 특성이나, 치료방법에 따라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들이 발생한다. 특히 방사선 치료는 다른 방법의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 볼 수 없는 다른 심리적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정서적 고통과 갈등이 가중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 치료중인 암환자들에게는 어떠한 정신과 장애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 정신과 질환이 암과 관련된 다양한 임상적 특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방사선 치료를 위해 치료방사선과에 입원한 암환자 47명을 대상으로 하여. DSM-IV 진단기준에 따라 정신과 장애를 평가하고, 환자들의 인구학적 자료, 암의 부위, 이환기간, 재발횟수 등의 임상적 특성, 암환자의 암에 대한 인지여부, 치료결과에 대한 기대 등의 요인과 정신과 장애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 1) 21 명(44.7%)의 환자가 정신과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적응장애가 14명(66.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5명(23.8%)의 환자에서 동반된 주요 우울장애였다. 2)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종교 등의 인구학적 변인과 정선과적 장애와의 관련성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3) 암의 부위별로는 골반부에 위치하는 암이 22명(46.8%)으로 가장 많았으며, 암의 부위, 이환기간과 정신과 장애와의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다. 4) 암의 재발에 있어 재발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재발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신과 장애의 이환율이 높았다. 5) 암의 인지여부와 정신과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은 없었다. 6) 치료결과에 대한 기대와 관련하여, 방사선 치료가 단지 보조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군이 방사선치료에 의해 완치될 것으로 생각하는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신과 장애의 이환율이 높았다.

  • PDF

초기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Radiotherapy Results of Early Uterine Cervix Cancer)

  • 최두호;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33-39
    • /
    • 1996
  • 목적 : 초기 자궁경부암은 수술과 방사선치료 모두 가능하며 결과도 비슷하다고 알려져있다. 이에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의 생존율, 실패율, 부작용등을 다른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IB 48명과 IIA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985년 11월 부터 1993년 5월 까지 등록된 환자들로 최소 추적기간은 2년이었다. 외부전골반 방사선치료를 40-50Gy 시행후 3가지 다른 1회 조사량으로 고선량 강내치료를 시행후, 추적조사하여 생존율, 실패양상과 합병증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2.3\%,\; 72.8\%$였으며 예후인자는 병기 병소의 크기, 병리조직 (선암), 방사선치료의 반응이었다. 19명의 치료실패가 있었으며 대부분 24개월이내에 발생하였다. Grade 2이상의 만성합병증은 방광이 $8.8\%$, 직장이 $15\%$, 모두 $17.5\%$ 였으며 발생율과 심한 정도는 강내치료 1회 조사량과 총 선량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초기 자궁암의 방사선치료는 수술의 결과와 비슷하였으며 예후가 나쁜환자는 결과가 안좋아서 더 적극적인 치료방법이 필요하며 만성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질 packing 등으로 주위조직의 방사선 피폭량을 줄이고 고선량 강내치료시 적절한 1회 조사량의 선택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소세포성 폐암의 방사선 치료 성적 (Short-Term Result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Curative Radiotherapy)

  • 안성자;박승진;정웅기;나병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213-218
    • /
    • 1990
  • 1985년 8월부터 1988년 10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비소세포성 폐암환자 102명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들에 대한 추적조사기간은 1개월에서 37개월이었고 중간값은 15개월이었다. 전체환자군의 1년 및 2년 생존율은 각각 $28\%,\;5\%$였으며 임상적 병기별로 보면 II, IIIA, IIIB기 환자군의 평균생존기간은 각각 10개월, 6개월, 9개월이었고 2년 생존율은 각각 $12.5\%,\;12.5\%,\;12.1\%,\;0\%$였다. 방사선치료후 치료실패가 확인된 32명에 대하여 분석을 하여보면 국소실패군이 $28\%$(9명)였으며 원격실패군이 $72\%$ (23명)로 폐암환자의 사망의 대부분은 전신적인 원격전이에 의함을 알 수 있었다. 치료당시의 전신적 건강상태를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p<0.01), 방사선 치료선량에 따른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비 소세포성 폐암의 방사선 치료 결과 (The Treatment Results of Radiotherap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 윤종철;손승창;서현숙;전우기;김동순;손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4권1호
    • /
    • pp.55-62
    • /
    • 1986
  • 1983년 11월부터 1986년 1월까지 인계의대 부속 백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43명의 비 소세포성 폐암 환자를 치료하였다. 그 중에서 분석 가능한 38명에 대한 치료결과를 보고하는 타이다. 33명이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고 나머지 5명은 수출후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12명의 환자는 방사선 치료하기전 혹은 방사선치료와 더불어, 그리고 방사선 치료후에 약물치료를 병행하였다. 38명의 환자 중 28명이 편평상피종이었고 10명은 선종이었다. 남자 환자가 29명, 여자 환자가 9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58계로 34세로부터 74세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병기별로 보면 1기가 1명, 2기가 7명, 그리고 3기가 30명이었다. 근치적 목적으로 치료한 환자 중 치료 후 흉부 X-선 사진과 컴퓨터 단층촬영 상에서 완전히 종양이 소실된 경우가 $36\%,\;50\%$이상의 종양크기 감소를 보인 경우가 $27\%,\;25\%$ 이상의 종양크기 감소를 보인 경우가 $15\%$였고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경우가 $21\%$였다.

  • PDF

편평상피 세포성 폐암의 방사선치료 실패 양상 (The Pattern of Failure after Definitive Radi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장양숙;김재철;류삼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1호
    • /
    • pp.45-50
    • /
    • 1989
  • From Feb.1985 to Feb.1988,76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available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All patients received radiation of 4000cGy-6600cGy with curative aim. The overall rate of complete response was 25.0% and partial response was 452.6% The complete and partial regression of tumor was 14.3% in patients treated with dose below 5000cGy and 84.1% in the group treated with dose above 5000cGy (p<0.01). The complete response was seen only in the group of patients received radiation at least 6000cGy. The patterns of failure were as follows. The rate of initial intrathoracic recurrence was 52.6% in patients with complete response. The overall rate of failure was 68.8%. Distant metastasis was found in 47.4% of patients. Bone, contralateral lung, and brain were common metastatic sites in decreasing order All of the distant metastases and 80% of local recurrences were found within the first year after treatment.

  • PDF

조기 성문암에서 레이저 수술과 방사선 치료 후 음성기능 비교 (Comparison of Functional Voice Outcomes in Patients Treated with Laser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 이종철;이윤세;남순열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0
    • /
    • 2008
  • The early glottic cancers are traditionally treated by radiotherapy or endoscopic surgery. The excellent effectiveness of both treatment modalities for local control, larynx preservation, and disease specific death is similar. Therefore, functional voice outcome after treat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choice of treatment for early glottic cancer. To assess the functional outcomes and compare the voice quality in patients with early glottic cancer treated with curative intent with radiotherapy or laser cordectomy, we performed literature review. Most studies showed that the voice quality after radiation therapy is slightly better than that after laser cordectomy. Subanalysis according to types of laser cordectomy, however, indicates that voice quality depends on type of laser cordectomy. Especially, type I or type II laser cordectomy might be superior to other types of laser cordectomy and radiation therapy. We conclude that the laser cordectomy is a good surgical alternative for properly selected early glottic cancer including professional voice users.

  • PDF

진행된 식도암의 방사선 단독치료 성적 (External Beam Radiotherapy Alone in Advanced Esophageal Cancer)

  • 안성자;정웅기;나병식;남택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11-16
    • /
    • 2000
  • 목적 : 진행된 식도암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았던 환자의 치료성적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흉곽내에 위치한 편평상피세포암의 식도암으로 1990년 7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외부 방사선 단독 치료를 받은 10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근치 목적의 방사선은 6 MV 혹은 10 MV X선으로 55 Gy에서 70.8 Gy 의 선량으로 통상적인 분할치료를 시행하였다. 추적이 가능한 환자는 100명(94$\%$)으로 추적기간은 1개월에서 92개월(중앙값: 6개월)이었다. 결과 :전체환자의 중앙연령은 62세였으며, 남녀 비율은 104:2였다. 가장 흔한 병변부위는 중앙 부위로 54$\%$를 차지하였다. 83$\%$의 환자가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이들의 평균 방사선 선량은 58.6 Gy였으며(55$\~$70.8 Gy)평균 치료소요기간은 53일이었다. 전체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6개월이었고, 1, 2년 생존율은 각각 27, 12$\~$였다. 연하곤란으로 위루술을 시행한 7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의 완화를 보였다. 치료 직후 완전 관해율은 32$\~$ (34/106)였고 이들 환자의 중앙생존기간(14개월)과 2년 생존율(30$\%$)은 다른 환자의 중앙생존기간(4개월)과 2년 생존율(30$\%$)에 비해 좋았다(p=0.000). 진단시 연하곤란의 정도에 따른 중앙생존기간과 2년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정상적인 음식물 섭취가 가능한 경우는 9개월과 16$\%$인 반면, 전혀 음식물을 삼킬 수 있었던 환자의 경우는 3개월과 0$\%$였다(p=0.004). 그러나 식도주변조직의 침범이나 주변 임파절 침범 유무에 따른 두 군간의 성적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요인 분석에서는 방사선치료 직후 종양의 완해 여부가 가장 중요하였고 그외 원발 병소의 길이, 진단 당시 연하곤란의 정도 순으로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인자였다. 치료로 인한 부작용은 10명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9$\%$). 결론 : 진행된 식도암 환자의 외부방사선 단독 치료는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에 진행된 병기의 식도암환자의 치료 선택에 있어서 반드시 근접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의 병행을 고려해야 하겠다.

  • PDF

Survival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T4 N0-3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According to the AJCC 7th Edition Staging System

  • Arslan, Deniz;Bozcuk, Hakan;Gunduz, Seyda;Tural, Deniz;Tattli, Ali Murat;Uysal, Mukremin;Goksu, Sema Sezgin;Bassorgun, Cumhur Ibrahim;Koral, Lokman;Coskun, Hasan Senol;Ozdogan, Mustafa;Savas, Bur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465-2472
    • /
    • 2014
  • Background: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published a new staging system ($7^{th}$ edition) in 2009. In our study, we evaluated the survival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among T4 local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LA-NSCLC) patients in a large heterogeneous group, in accordance with this new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files of 122 T4 N0-3 M0 LA-NSCLC patient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new staging system, treated at two centers between November 2003 and June 2012. Variables correlating with univariate survival at p<0.20 were later included in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Here, selection of relevant predictors of survival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likelihood ratio formula with p<0.05 regarded as significant. Results: The median age was 60 and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17.4 months. Median overall survival (OS) was 18.3 months, the 1 year overall survival (OS) rate was 72%, and the 5 year OS rate was 28%.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urvival were (p<0.20) ECOG-PS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age, T4 factor subgroup, stage and primary treatment in OS univariate analysis. On multivariate analysis for OS ECOG-PS (p=0.001), diagnostic stage (p=0.021), and primary treatment (p=0.004) were significant. In the group receiving non-curative treatment, the median OS was 11.0 months, while it was 19.0 months in the definitive RT group and 26.6 months in the curative treatment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n-curative group and the groups which had definitive RT and curative operations (respectively p<0.001 and p=0.001) in terms of OS, but not between the groups which had definitive RT and curative operations. The median event free survival (EFS) rate was 9.9 months, with rates of 46% and 19% at 3 and 5 years, respectively. On univariate analysis of EFS rate with ECOG-PS, weight loss and staging,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ly for thorax computerized tomography (CT)+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 (PET-CT) use, stage and primary treatment (p<0.20). In multivariate analysis with EFS, only the primary trea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In the group receiving non-curative treatment, the median EFS was 10.5 months while in the curative operation group it was 14.7 months. When all the primary treatment group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grade III/IV side effect swas observed in 57 patients (46.6%). Esophagitis was most prominent among those that received definitive radiotherapy. Conclusion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mong these 122 heterogeneous LA-NSCLC T4 N0-3 M0 patients were age at diagnosis, ECOG-PS, stage and primary treatment, the last also being a significant prognostic indicator of EFS. Our findings point to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staging an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with modern imaging methods in this patient group. In those with T4 lesions, treatment selection and the effective use of curative potential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goal of clinical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