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diversity

검색결과 581건 처리시간 0.026초

문화행정의 관점에서 본 공공청사 시민문화공간 공간계획 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g Characteristics & Improvement of Citizen Cultural Space in Public Building in terms of Cultural Administration - Focused on the Cases Since 2000's -)

  • 강은진;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74-181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for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status and issues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s since the self-government policy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government office buildings, between domestically and to provide improvement plans of the citizen cultural space and with the self-government budget, enhance the utility and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nd to take a role of a reference in the future when citizen cultural space is formed in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pac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s citizen cultural space in terms of cultural administration is as follows. First, percentage of room to strengthen the sense of community is small. Therefore, the place where residents can argue there is a ne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venue and art collection that are missing in public government buildings. Third, since the lecture room for lack of civic education,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king cultural space for the citizens. Fourth, thread observatory and souvenir shops, providing information is not enough, it is to be further expanded. Fifth, rented facility for public is hall be provided with a diversity.

문화적 다양성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Cultural Diversity and Communication Barrier)

  • 양춘희
    • 유통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21-142
    • /
    • 2005
  • We're living in a world of one global village. The globalization of business is acceleration as more companies cross national borders to find customers, materials and money. Many foreign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re doing their business aggressively in Korea and many Korean companies and rushing into foreign market. When people communicate for business with someone from another culture, there could be difficult communication barriers to overcome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their values, beliefs, norms for behavior, expectations, attitudes and so on. To do successfully business, we need to understand culture background and communication style that is different from nation, race, language. Communication barriers stemm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may vary. Largely, they can be divided into value system, non-verbal communication, and perception process. Value system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ism versus group orientation, avoidance of uncertainty degree, power distance, and high- context culture versus low-context culture. Also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 and perception process may play decisive roles i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Especially nonverbal communication barriers which sometimes play more important roles than the verbal parts are composed of eye contact, gesture, kinesics, proxemics, chronemics, paralanguage and language of color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ffect business situation. I expect that if we understand cultural background, and then we overcome cross-cultural communication barriers. To overcome and to adapt inter-cultural business, we need to develope curriculum on the cross-cultural education which I will study in the next paper.

  • PDF

Diverse yet Distinct: Philippine Men's Clothing in the Nineteenth Century, 1850s-1890s

  • Coo, Stephanie Marie R.
    • 수완나부미
    • /
    • 제9권2호
    • /
    • pp.123-144
    • /
    • 2017
  • The changing of clothes in Balagtas' 1860 fictional comedy La filipina elegante y negrito amante (The Elegant Filipina and the Amorous Negrito) is used to explore the ethnic, cultural, and sartorial diversity in 19th century colonial Philippines. But, how does plurality in men's clothing reflect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the late Spanish colonial period? This paper focuses on the diversity in Philippine men's clothing around 1850 to 1896, taking into account the limited range of colonial archetypes in iconographic and documentary sources. Underscoring the colonial culture that shaped mentalities and tendencies, this study offers insights on how clothing was used and how it was perceived in relation to the wearer. In discussing clothing diversity, distinctiveness was articulated using the work of J.A.B. Wiselius (1875), a Dutch colonial administrator in neighboring Indonesia, who in comparing Spanish and Dutch systems of colonial governance, underscored the Filipino penchant for imitation.

  • PDF

WTP를 이용한 다문화가족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및 기여가치 평가 (Contribution Value Estimation on Rural Community by Multi-cultural Family Effect Using WTP)

  • 양순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3호
    • /
    • pp.701-727
    • /
    • 2013
  • 농촌의 인구활력화, 지역경제 활성화, 농촌의 문화다양성, 농촌 가족사회의 유지, 그리고 농촌자원의 향상과 같은 다문화가족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여가치에 대한 WTP(Willingness to Pay)를 추정하기 위해, 농촌지역 41개 시 군에서 weibull model에 기초한 이중이선선택법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어 추정모형을 개발하고 로지스틱(logistic)을 이용해 WTP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다문화가족의 기여가치 유지를 위해 농촌지역민이 평가한 WTP는 458억원이었고, 이것은 개개 농촌가구가 연간 13,840원을 지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교준거로서 다문화가족 남편이 평가한 WTP는 502억원 이었고 이것은 개개 농촌가구가 연간 15,170원을 지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청소년 글로벌 리더십 교육의 문제점과 방향 논의 -글로벌 리더십 역량 및 교육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lobal Leadership Education by Analysis of Korean Youth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ir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 김다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77-492
    • /
    • 2011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글로벌 리더십 역량과 교육 경험 내용 분석을 통해 글로벌 리더십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경기도 내 중학교 3학년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구적 안목 형성과 문화적 리터러시 함양의 2 개 영역을 중심으로 설문하였다. 지구적 안목 형성 영역에서는 지구적 비전과 지구적 문제해결력을, 문화적 리터러시에서는 문화다양성 인식과 인간 관계 영역을 설정하여 역량과 교육 경험을 조사-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리더십함양을 위한 교육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글로벌 활동가로서의 끔을 갖게 하는 교육, 둘째, 지구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 셋째, 다양한 문화 인식 교육, 넷째, 문화다양성 교육의 다양화, 다섯째, 언어 등 특정 능력 위주의 교육보다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교육, 여섯째, 문화다양성 인식과 지구적 안목 형성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지리 교육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교육 강화를 제시하였다.

  • PDF

문화시장 개방의 정치경제학: 문화제국주의 논쟁과 비판적 수용 (Political Economy of Global Market: Debate on Cultural Imperialism Thesis and Its Critical Acceptance of Cultural Imperialism)

  • 임동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5권
    • /
    • pp.114-146
    • /
    • 2006
  • 지금 현재, 한국은 한미 FTA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한편에서는 한미 FTA가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한미 FTA는 국익에 별로 도움이 안 되니 이를 저지하거나 또는 연기시켜야한다고 한다. 이러한 시장개방은 방송, 영화, 광고, 통신 등 문화시장에도 적용된다. 이 글은 문화시장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시장개방의 정치경제에 대한 논쟁과 함께, 선언적 의미에 그치고 있지만 문화제국주의의 비판적 대안을 제시한다. 지난 수십년 동안 문화제국주의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전개되어 왔다. 문화제국주의는 월러스타인의 세계체제론에 근거하여 문화의 영역에도, 중심과 주변 국가가 존재하고 있으며, 미국의 문화 지배는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결과로 미국 중심의 문화 동질화가 가속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1990년대 초부터 문화제국주의의 중심 주장에 대한 비판 또한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들 주장들을 살펴보면, 문화에서 보호는 자기 패배라는 주장에서부터, 문화의 세계화를 비판적으로만 바라볼 수 없으며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는 시각, 그리고 문화제국주의의 주장이 일면적이고 일방적이라고 한다. 또한 문화제국주의가 수용자의 수용과정을 무시하고 있으며, 멕시코, 브라질 등 일부 국가에서는 유사 문화 제국주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문화제국주의가 미국 주도의 일방적인 흐름은 아니라고 비판한다. 본인은 문화제국주의의 주장을 비판하면서도, 이를 전면적으로 버리기보다는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수용 국가와 제국주의 국가의 내적, 외적 역동성과 변증적 관계를 살펴보아야 하고, 수용국가의 내적 다양성에도 주목해야 한다.

  • PDF

한.미간 방송 시장 개방(FTA) 협상과 문화다양성협약의 의의 (The Free Trade Agreement on Broadcasting Service between Korea and USA and Meaning of Cultural Diversity Agreement)

  • 나낙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5권
    • /
    • pp.36-86
    • /
    • 2006
  • 전 세계를 시장화하는 GATT 및 WTO 등 다자간 자유무역체제의 확산 및 특정 국가간의 자유무역협정(FTA) 등이 확대됨에 따라 방송 분야의 산업화와 세계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산업적 논리에 입각한 방송환경의 변화는 방송의 산업적 위상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방송은 21세기 최고 유망산업 가운데 하나인 문화산업의 핵심 분야로 주목받고 있어, 방송 상품은 국제무역에서 중요한 교역물의 하나가 되었다. 국제교역에 있어서 미국과 일본은 문화 산물도 일반 재화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국제적인 자유무역의 틀 안에 두려고 하며, 반면 EU와 캐나다 등의 국가들은 문화 산물을 상품임과 동시에 공공재라는 입장을 취하여 자유무역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문화적 예외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WTO의 DDA협상이 진행되고 있고 미국이 FTA를 급속히 확대해 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 예외는 한시적 대응수단으로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협약을 통해 국가의 문화정체성 확보를 위한 정책 등을 실행함으로써 문화에 대한 자주권을 국제법상 보장받도록 해야 하며 무역협정의 교역질서를 대체하는 새로운 문화교류의 질서를 조직하여야 한다.

  • PDF

특급 호텔의 다양성 관리가 식음료 종사원의 직무열의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versity Management in a Deluxe Hotel on F & B Employees'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정효선;윤효실;윤혜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63-36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diversity management, employees'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deluxe hotel. Methods: In a total of 344 F & B employees obtained from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4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 Results: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x^2$=316.722 (df=112), CMIN/df=2.828, GFI=0.899, NFI=0.941, IFI=0.961, TLI=0.953, CFI=0.961, RMSEA=0.073. SEM results showed that diversity management (building cultural awareness: ${\beta}$=0.206; pragmatic management policy; ${\beta}$=0.315)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engagement. Also, employees' job engagement (${\beta}$=0.623)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s diversity management of hotel employees and its effectiveness as well as which diversity management is needed positive attitude.

Adaptability and Fatalism as Southeast Asian Cultural Traits

  • Dhont, Frank
    • 수완나부미
    • /
    • 제9권2호
    • /
    • pp.35-49
    • /
    • 2017
  • This paper will concentrate on how various particular Southeast Asian conditions created a distinct Southeast Asian cultural identity despite a very challenging geographical and historical diversity in the region. The paper will argue that Southeast Asians demonstrate an ability to adapt to changes and new values but also exhibit fatalism through a very high degree of passive acceptance to political and other changes that affect their society. The paper identifies a degree of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uniqueness in Southeast Asia that shapes context and gives rise to very distinct cultural traits.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region brought about by colonialism and nationalism, combined with this geographical and political make-up of the region, had an immense impact on Southeast Asian society as it fostered adaptability. Finally, the political transitions brought about by various conflicts and wars that continued to affect the area in rapid succession all throughout the 20th century likewise contributed immensely to a local Southeast Asian fatalistic response towards change. Historically, Southeast Asia demonstrated these socio-cultural responses to such an extent that these are argued to permeate the region forming a distinct aspect of Southeast Asian culture.

  • PDF

A study on a model of intercultural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 Jong Youl Hong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4호
    • /
    • pp.104-113
    • /
    • 2024
  • This study is a model study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intercultural learning. Starting with a discussion of the intercultural learning model construct, it presents key contents important for intercultural learn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tercultural learning. Also, we actually conducted the above learning program at the learning site and discussed the observations and results. It was a case study that allowed u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intelligence theory, the latest theory that can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y.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cultural intelligence theory to be effective in the learning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PBL method, which allows learners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rather than cramming education, is useful.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ARCS model was also very effective in motivating and maintaining learners' continuous motivation. At this time, the instructor was also able to see that the effect increases when the role of catalyst becomes the main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