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charateristic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원목재배 연구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omitopsis pinicola in log woods)

  • 장현유;오승희;이호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15-118
    • /
    • 2005
  • 소나무잔나비버섯의 자실체 형성에 있어서 일광의 영향은 빛의 파장이 골고루 함유된 자연광이 가장 좋았다. $CO_2$ 농도는 0.2% 이상에서 자실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여 2% 이상에서는 자실체 형성이 되지 못한다. 온도의 영향은 $26^{\circ}C{\pm}2$에서 $15^{\circ}C$ 전후에서 자실체 형성을 촉진한다. 소나무잔나비버섯의 원목 길이가 120cm이고 직경이 6cm일 때 구멍수가 27개가 되며 10ccm일 때 45개, 20cm일 때 90개가 된다. 수확한 자실체를 72시간 동안 햇볕에 건조할 때 자실체 색깔이 생체와 비슷한 색택을 유지하여 가장 좋았다. 소나무잔나비버섯의 재배중 발생하는 병충해는 T. viridae외 6가지 곰팡이와 1종의 세균 Psedomonas sp., 원목 주위에 흰개미, 버섯파리, 딱정벌레류가 발견되었다.

  • PDF

금강지역의 불교건축특징 (On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Temples with Korean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in Kum Kang(Kum-river) Area)

  • 채훈관;김낙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11
    • /
    • 2002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out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temples with relevant to Korean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in Kum Kang(Kum-river) area. This analysis is accomplished by setting up the speciflc viewpoints where the charateristics can be perceived, and by measuring the form and angle from these points to the buddist culture ; 124 item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the comparative method. The most Important research finding is that both Traditonal Korean Temple and Kum Kang(Kum-river) Area site conceptualized and used a certain geometrical Feng-shui(geomancy) order in the disposition of mountain and river sid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human cogni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Buddhist cul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temples in Kum Kang(Kum-river) Area having accumulated from the past and are the cultural complex and mixture of 7 elements. They also reflect cultural situations of each time period. The temples are a result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 and spirit, as well as, regarding tradition as an important factor.

  • PDF

콜리플라워를 이용한 피클제조 최적화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Charateristics of Cauliflower Pickles)

  • 윤지영;황재선;주나미;정현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3-19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rganoleptic charateristics of cauliflower pickles made in various compounding ratio according to central conposite design for optimum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the cauliflower pickles. The optimum mixing condition of cauliflower pickles were optimized,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with 3 variables and 3 level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various kinds of cauliflower pickle were made in various compounding ratio of vinegar, salt and sucrose - critical ingredients of pickle recipe - and were presented to reliable panels, who graded the subjects in 7 degrees for 4 items : color, flavor, hardness and overall quality. The optimum mixing conditions of cauliflower pickle were 603.50g of vinegar, 80.13g of salt and 251.07g of sucrose in the maximum point of overall quality.

충남 연기군 동면 합강리 유적 출토 직물류 및 목제 빗의 과학적 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Archaeological Textiles and Wooden comb Excavated from Hapgang-ri, Dong-myun, Yungi-gun, Chungcheongnam-do)

  • 조남철;김우현;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9-334
    • /
    • 2014
  • 고대 섬유의 과학적 분석은 그 시대에 사용된 재료의 특성 및 각 지역의 직물문화, 제직기술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수침 고목재의 수종분석은 보존처리 방법의 설정뿐만 아니라 당시의 수목환경, 목제품의 종류에 따라 선호되던 수종, 외래수종을 통한 당시의 교역 교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과학적인 분석방법이다. 충남 연기군 동면 합강리 유적에서 청동합 내 부장상태로 출토된 직물류와 목제 빗에 대하여 섬유 및 수종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직물1과 직물3은 쐐기풀과(Urticaceae)의 저마(Boehmeria nivea ; Ramie), 직물2는 아욱과(Malvaceae)의 면(Gossypium herbaceum), 목제 빗은 자작나무과(Betulaceae) 자작나무속(Betula spp.)으로 식별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고대 섬유 및 수종을 확인하여 비교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루궁뎅이버섯의 종균배양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ricium erinaceus in Sawdust Media)

  • 장현유;노문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4호통권91호
    • /
    • pp.252-255
    • /
    • 1999
  • 노루궁뎅이버섯균의 균사생장과 밀도에 가장 적절한 종균배양적 특성을 요약하면 적정온도는 $25^{\circ}C$, pH는 5, 톱밥 배지의 적정 수분함량은 $65{\sim}70%$이며, 주재료는 참나무톱밥, 첨가재료는 밀기울이었다. 또한 적정 첨가재료인 밀기울의 첨가량은 20%, calcium carbonate의 첨가함량은 0.1%이며, magnesium sulfate의 첨가함량은 0.2%, sucrose의 첨가함량은 0.2%이었다.

  • PDF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톱밥재배 연구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mitopsis pinicola in sawdust media)

  • 장현유;오승희;이호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14-217
    • /
    • 2004
  • 소나무잔나비버섯의 톱밥재배를 위한 가장 적정한 종균 배양적 특성을 요약하면 적정온도는 $30^{\circ}C$이며, 적정 pH가 소나무잔나비버섯균은 pH 5이다. 톱밥배지의 적정 수분함량은 60%이며, 주재료는 미송톱밥, 첨가재료는 맥주박이었다. 또한 적정 첨가재료인 맥주박의 첨가량은 20%, calcium carbonate의 첨가함량은 0.1%, sucrose의 첨가함량은 0.1%이었다. LVD의 첨가함량은 0.01%이었다.

  • PDF

남양주 궁집의 공간계획 및 의장특성 (The Space Plan and Design Characteristic for the Gungjip in Namyangju)

  • 조중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39-48
    • /
    • 2010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ce plan and design charateristic of the Gungiip(宮家) built on near the 1770 in Namyangju. It has been called Gungjip since it was constructed from the timber and by carpenters sent of the government. It has a great scientic value because it is the best house constructed by carpenters of the royal palace. It help to know prototype of their excellent design skill. that is skill of work upon of colum, curvatere of ridge in roof, trust the eaves. This paper shows that this house has a different scale and form from other houses. In addition, Anchae was built with the aim of making the most use of sunlight and securing its best convenience. Sarangchae aims at serving as a cultural space for its neighbor. The house seems to reflect the carpenter' architectural viewpoints, and its building style shows its contempory people's life style.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the techenial charateristics of its design result from the correlectin of colum(Ki-Sot-Um and An-Sol-Lim), curvatere of ridge in roof(Ma-Ru-Gock), and trust the eaves(Ang-Goak and An-Hu-Ri).

전남지역에서 출토된 고대 도자기의 태토조성과 소성온도 (Body Composition and Firing Temperature of Ancient Pottery Excavated in Chonnam Province)

  • 강경인;정창주
    • 보존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30
    • /
    • 1997
  • 전남지역 도요지에서 출토된 토기, 시유도편, 녹청자와 청자편의 제조기술과 산지추정은 X선회절분석, 유도결합 플라즈마 발광분석, 열기계적 분석을 통한 물리화학적 성질의 검토로 이루어졌다. 도편의 사용원료는 점토, 석영, 장석광물로 유사하지만 그 함량비는 출토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철분함량에서 토기, 흑갈유, 녹갈유 도편은 $4\~7\%$, 녹청자 및 청자편은 $2\~3\%$로 기종에 따라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흑갈유, 녹청자의 구성광물은 $\alpha-Quartz$, mullite와 일부 tridymite, cristobalite로 이루어졌으며, 청자는 $\alpha-Quartz$, mullite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편의 소성온도는 토기가 $1000\~1100^{\circ}C$, 흑갈유, 녹갈유, 녹청자 청자가 $l130\~1200^{\circ}C$ 정도로 추정되었다. 도편에 대한 출토지의 구분은 분석된 21개의 미량원소중 14개의 원소가 매우 근접되어 불가능하였으며, 도자기제조에 사용된 원료의 지질학적인 특성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들 지역에서 출토된 도편의 특성원소는 Rb, Sr, V, Zr, Y, Nd, Sc, La, Ce, Nb, Sm, Eu, Dy, Yb로 14개이다. 영암의 도편은 Zn과 Fe원소에 의해 다른 지역에서 출토된 도편들과 명확히 구분되었고, 출토지가 다른 녹청자, 청자편은 동일한 범위에 군집되는 특징을 나타내어 사용원료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정보화 차원의 사회 ${\cdot}$ 문화 발전 수준에 대한 공간 분석 (A Spatial Analysis on the Socio-Cultural Level of Informatization Aspects)

  • 유영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29-541
    • /
    • 1996
  • 본 연구는 첫째 정보화의 진전 초기에는 정보화 현상의 공간적 집중화가 이루어지며, 둘째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복지적 차원의 지역간 격차보다 앞으로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상당히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정보화 차원의 지역간 격차가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 차원의 사회.문화 발전 수준은 서울과 다른 지역간에 격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집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보화가 진전되면서 나타나는 지역에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지역경제의 자족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복지수준과 정보화 수준의 지역간 격차를 비교한 결과 정보화 수준이 복지수준의 격차에 비해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 동안의 경제발전에 의해 나타난 지역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도입된 정보화는 하부구조가 잘 갖추어진 대도시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지역간 격차를 더욱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이런 지역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자치정부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지역정보화 정책이 필요하다.

  • PDF

인공열화 시 공기질 및 습도가 밀랍지의 열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ir quality and humidity on aged characteristics of beeswax-treated paper during artificial aging)

  • 양은정;최경화;강영석;조정혜;정혜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3호
    • /
    • pp.45-55
    • /
    • 2012
  • 제책 시료의 경우 낱장과 달리 제책 위치에 따라 공기, 습도, 빛 등의 접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열화특성 또한 제책 위치에 따라 다르다. 특히 밀랍지는 일반적인 한지와는 달리 통기성이 없으며 발수성이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밀랍지로 제작된 제책본의 경우 주위 보존환경과 접하는 부분과, 외부와 접하지 않는 내부에서의 열화 인자 및 기작(mechanism, 機作)의 상이성(相異性)은 일반 서적들에 비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밀랍본의 내 외부의 열화 특성의 상이성(相異性)을 분석하기 위해 공기 및 수분의 조건에 따라 밀랍지를 인공열화 시킨 후 각 조건별 열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인공열화 후 밀랍지의 물리적, 광학적 특성 분석 결과, 산소가 밀랍지의 열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도 50 % RH 조건이 0 %RH의 조건보다 밀랍지의 열화에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화된 시편으로부터 추출된 밀랍의 GC/MS 분석을 실시하여 각 조건에 따른 밀랍의 분해산물을 비교분석한 결과,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팔미트 산 등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C9-C20의 탄소수를 가지는 저분자화합물이 증가되고, 탄화수소화물 및 지방족 알코올 등을 포함하는 C21-C36의 탄소수를 가지는 화합물과 왁스 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C34 이상의 고분자화합물은 감소되어 밀랍성분이 분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조건에 따른 밀랍의 분해는 물리적, 광학적 특성 변화율과 마찬가지로 산소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도 50% RH에서보다 0% RH에서 높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