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asset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7초

커뮤니티 자산 평가 체계 개발을 위한 커뮤니티 자산 유형 및 구성요소 분석 (An Analysis of Community Asset Types and Components for a Development of Community Asset Evaluation System)

  • 임순정;이효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47-58
    • /
    • 2016
  • The new paradigm of urban regeneration, would promote the comprehensive communal view. Therefore, the community role has become an important and necessary for regeneration of communities. It is necessary for urban regeneration which should be matched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o develop an evaluation framework that can objectively and accurately diagnose the status of community; so it can be an integrated prescription. A new alternative, asset-based approach may be an alternative to build the community based on opportunities and strengths, which focuses on community inside and things that community have. In this study, a community asset is defined a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omponents in the community. A community asset evaluation system is develop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related to previous studies of several researchers who investigated the asset-based approaches. Community assets are classified into seven types: human, social, cultural, natural, physical, economic, and political property. Each type is classified into components and establish as a framework with 3 levels in order to set the indicators which can be measured concretely.

농촌지역 유.무형 자산을 활용한 마을 가꾸기 사업의 추진현황 분석 - 신문화공간조성사업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Project of Creating a Village by Utilizing Assets in a Rural Area - Focused on the Project for a New Cultural Space Creation-)

  • 전영미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7-2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physical and intangible assets, and to analyze the use of planning in a new cultural space creation project areas. For this study, literature survey, filed survey and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ject's characteristics had a variety of space utilization's scope. It was to emphasize the organizations and participants in the human side. 2) There are the pumping stations, mokgammak, mills, barbershops, marketplaces etc in physical assets, and it was worth the historic or agricultural facility. 3) The using plans of three kinds in hardware facilities, software programs, human ware(human abilities)are linked to each other organically. 4) The problems in the project's process include th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factors rather than planning matters.

  • PDF

IoT 환경기반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을 위한 카테고리별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 분석 (Analysis of Categorized Cultural Asset and Application for Cultural Asset App Store Based on IoT Environment)

  • 임원준;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1호
    • /
    • pp.105-10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 기반의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을 위한 카테고리별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한다. 문화재 종류는 문화재진흥청에서 정의한 종류로 분류되어 있으며 종류에 따라 문화재 개수도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분석을 통해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에 있어 카테고리 분류 작업시 중요한 기반 자료가 된다. 이는 앱스토어 소비자에게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문화재의 3D 스캔 데이터로부터 도면을 생성하기 위한 자동화된 실루엣 추출 방법 (Automated Silhouette Extraction Method for Generating a Blueprint from 3D Scan Data of Cultural Asset)

  • 정정일;조진수;황보택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0-1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문화재의 실측된 3D 스캔(scan) 데이터로부터 내부문양 및 실루엣(silhouette)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자동화된 실루엣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먼저 3D 벡터 데이터의 에지리스트(edge list)를 생성하고, 시점에 따라 윤곽 에지(contour edge)와 주름 에지(crease edge)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주름 에지에서 인접면들의 벡터 변화량을 검사하여 표면 실루엣을 추출한 후, 최종적으로 문화재의 도면(blueprint) 생성을 위한 윤곽 실루엣과 표면 실루엣을 추출한다. 제안한 실루엣 추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전통 기와, 자동차 및 석탑 데이터를 이용한 실루엣 추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임계값을 이용한 실루엣 추출 방법에서 불필요한 에지까지도 실루엣을 형성하는 것을 보완하여, 잡음과 같은 의미 없는 에지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더욱 선명하고 깨끗한 실루엣 및 내부 문양을 추출하였다.

USN을 이용한 목조문화재 방재시스템에 관한 연구 -불꽃감지기 오작동 확인시스템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for Wooden Cultural Assets Using USN -Focusing on the System Checking the Malfunction of Flame Detector-)

  • 백민호;김정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49-54
    • /
    • 2010
  • 목조문화재의 화재특성을 보면 화재전파가 빠르고 화재가 발생하면 전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화재의 예방과 초기 진압을 위해서는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기술적인 대응과 더불어 인지된 문제를 조기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을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에 의한 상황 감지, 그리고 상황에 따른 빠른 대처 즉, 진압에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 불꽃감지기, 이미지 센서, USN 기반 문화재 방재 응용사례, 오작동 확인시스템 구현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 유비쿼터스형 문화재 방재시스템에 대해 불꽃감지기 오작동 확인시스템에 대해 실험하여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화재로 인한 국가 중요 문화재 보호대책 연구 (Fire due to an important national cultural protection measures research)

  • 이정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3년 춘계학술대회
    • /
    • pp.485-500
    • /
    • 2013
  • Cultural assets of the country's history and cherish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people, conscious and cohesive crystals, and the pride of the hearts of the people as a haven. In the country worth preserving national treasure, bomulgeup, local cultural heritage as a major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re. Cultural properties, etc. Most are wooden, is vulnerable to fire, and, moreover battling to far away from the city and due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are very challenging aspects. The national cultural assets, such as the many temples, vows to fire one if the loss of a centuries-old cultural property is a big loss of national posterity to great shame is not. Still cultural assets and a large number of visitors have flocked temples. All of us to keep the look and feel of the cultural assets pleasure to conserve cultural assets preserved to ensure that fire prevention is always unmistakably bear in mind that sees.

  • PDF

서울시 문화재 수리공사의 발주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der Status of the Cultural Properties Repair Works in Seoul)

  • 조한구;강영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0-25
    • /
    • 2019
  • 본 연구는 서울시의 문화재 수리공사의 발주현황에 관한 연구로써 각 지자체 및 산하 기관에서 발주되는 문화재 공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로는 공간적으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하였고, 시간적 범위로는 2015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2년으로 하였다. 그리고 서울시의 문화재 현황, 그리고 문화재 수리 예산을 알아봄으로써 문화재 공사의 발주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다. 2년간의 문화재 공사의 발주 실태를 조사하여 총 발주 건수, 발주 시기 및 각 공종별 발주규모를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기초자료를 가지고 세부내역을 분석함으로써 각 문화재 공종별 혼입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문화재 공사의 혼입 실태를 파악한 결과, 하나의 문화재 공사는 타 공종의 혼입 없이 완전히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문화재공사 도급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재공사 발주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발주 방식을 제안하였고, 이것으로 현장에 적절한 문화재수리기술자 배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문화재 공사업에 있어서 조경은 문화재 경관을 책임지는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이런 조경의 위상을 정립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재 공사업의 발주 실태와 조경공사의 위상을 밝힌 논문이 전혀 없으며, 이 논문은 그것에 대하여 서울시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밝혀, 조경공사의 오롯한 위상 정립을 위한 제안을 함과 동시에 각 문화재 수리분야의 업역 확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캐릭터사업을 위한 안동 하회탈의 시각화 (Visualization of Andong hahoe Mask for Character Business)

  • 김훈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203-212
    • /
    • 1999
  • 본 연구는 지방 문화재 특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안동지방 전통문화재인 하회마을 ' 하회별신굿' 탈의 캐릭터사업계획에 따른 시각화 작업을 안동 MBC방송국으로부터 의뢰 받고 1998년 6월 1일부터 8월 20일 까지 약 3개월간의 작업과정과 작업결과에 대한 것을 기술한 것이다. 또한 본 논문에는 작업과정 중 기초적인 예비 조사단계에서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과 본격적인 아트워크과정, 그리고 최종적인 시각형태를 수록하였고, 향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본 프로젝트와 유사한 전통문화재 캐릭터사업의 시각화작업을 중심으로 그 문제점과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요약해서 결론으로 했다.

  • PDF

부산 감천문화마을의 지역자산 기반 재생과정 연구 (A Local Asset Based Regeneration Process of Gamcheon Culture Village Busan)

  • 이연숙;박재현
    • KIEAE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111-120
    • /
    • 2014
  • In the late 20th century, Korea has accelerated urban sprawl and demolition based redevelopment without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quantitative supplement of housing has been saturated and has pushed revitalization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lineate the local asset based regeneration of Gamcheon Culture Village Busan. The research methods are field visit, site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library and internet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the contents analysis techniques. As results, elements of hardware, software and humanware resources and the dynamics of the whole process such as how the resources connected and utilized, and how the external resources have been converged into these to regenerate Gamcheon Culture Village in diverse dimensions, such as cultural, social, economical and physical one were analyse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share the wisdom of revitalizing with collaborations. Through enhancing negative resources of decayed area to positive ones, the case produced the synergy.

한국 동남부 탈놀음과 공동체와의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Mask dramas of Korea southeast region)

  • 정상박
    • 공연문화연구
    • /
    • 제32호
    • /
    • pp.7-30
    • /
    • 2016
  • 한국의 동남부 지역의 탈놀음과 공동체와의 상관성을 따지고 그 존재양상을 살펴보았다. 우리 민속 탈놀음은 전통사회에서 공동체 구성원이 잘 살기 위하여 행하고 즐기는 문화행위였다. 21세기에 탈놀음을 공연하더라도 전통사회의 삶의 양상이 담겨져 있을 뿐 아니라 전통사회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 기법과 기능도 현대의 것이 아니라 전통사회의 유산이다. 탈놀음의 예능과 놀이양상이 비교적 온전히 전승된 것 중에서 문화적 가치가 있는 것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인위적으로 전승시키고 있다. 한국 동남지역, 즉 경상도지방은 여러 장르의 탈놀음이 전승되었다. 즉, 지역공동체가 행하는 하회별신굿탈놀이 등의 굿탈놀음, 고을공동체가 행하는 통영오광대 등 토박이오광대, 고을공동체가 행하는 수영야류 등 토박이 탈놀음인 들놀음, 밤마리 대광대패 등 연희공동체가 행하던 떠돌이오광대 등이 전승되고 있었다. 광대패, 사당패, 남사당패 등 지역공동체와 관계없이 유랑하는 연희집단은 인적 결합을 한 특수한 공동체다. 이들은 먹고 살기 위하여 연희를 하면서 떠돌며 사는 특수집단이다. 이들은 생산적 활동과 집단적 생활을 공유하는 연희공동체다. 한국 동남지역의 탈놀음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각광을 받으니까, 합천밤마리오광대, 김해오광대, 마산오광대, 거제영등오광대 등 소위 복원하는 것이 생겨났다. 탈과 대사가 전하고 있어도 과거에 놀았던 사람이 없으면 행위 전승, 즉 예능의 전수가 이루어 질 수가 없으므로 놀이가 전승되었다고 볼 수 없다. 공연물의 동영상을 보고 그대로 모방하여도 예능의 전승이 아니고 복원이다. 이런 복원은 이미테이션(imitation)이다. 과거의 놀이 양상을 알 수 없어서 다른 탈놀음을 참조하여 만들면 창작을 한 것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복원이라고도 할 수 없다. 이런 것들은 전통사회의 공동체와는 무관하여 무형문화재의 범주에 들기 어렵다. 그러나 아무리 시대가 지난 예술을 복원 혹은 모방한 것이라도 성행하면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것을 제도적으로 지원할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