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Properties Management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3초

1950년대 일본 문화재보호법과 1960년대 한국문화재보호법의 성립 - 무형문화재와 민속자료를 중심으로 - (Enactment of the Japanes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the 1950s and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the 1960s: Focusing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folklore materials)

  • 임장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1호
    • /
    • pp.35-50
    • /
    • 2022
  • 한국의 문화재보호법은 1962년에 제정되었는데 일본의 문화재보호법을 모방 또는 이식하여 제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문화재보호법은 무형문화재·민속자료·매장문화재를 포함하여 기존의 법률과는 차이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의 1950년 법률제정은 독자적으로 입안한 것이 아니며 GHQ와 협의로 제정되었기에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었다. 근년 일본에서 GHQ의 문서가 공개되면서 문화재보호법의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문화재보호법은 일본 문화재보호법의 성립과정과 취지를 이해해야 비로소 법률제정의 의미와 성과를 논할 수 있다. GHQ는 일본의 헌법에서 천황을 상징적인 존재로 설정하였고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규정하였기에 일본 문화재보호법의 제정에 있어서 '국민의 문화재'라는 개념이 확립되도록 유도했다. 따라서 민간기구인 문화재보호위원회는 독립된 의결기구로 문화재를 지정하고 국립박물관과 문화재연구소를 관리하였다. 이러한 제도는 문화재의 상당수가 황실과 관련되어 있고 박물관이 황실의 소속으로 관리되고 있었기에 민간주도로 관리를 전환하려는 정책이었다. 한편 일본 참의원은 무형문화재에 대해 부정적이었던 GHQ를 설득하여 문화재보호법에 무형문화재를 포함했다. 이는 황실의 공적 행사에 참여하는 아악부가 해체될 상황에서 이를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민속자료는 당시 학계의 연구 성과를 고려하고 민중의 유형문화재라는 점에서 GHQ의 동의하에 문화재보호법에 포함하였다. 한국의 문화재보호법에서는 문화재 지정의 주체는 문교부이며 문화재위원회는 자문기구로 기능을 한정하였는데, 문화재의 지정은 민이 아닌 관이 주도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문화재위원회는 무형문화재와 민속자료의 개념에 대해 혼돈이 있었다. 이것은 일본의 문화재보호법에서 정한 문화재의 개념을 그대로 수용하여 적용하였지만, 법률의 취지를 이해하지 못해 혼돈을 겪은 결과이기도 하다. 문화재위원회는 일본의 관리 실태에 대한 파악의 필요성을 문교부에 요구하기도 했다. 민속학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문화재위원회는 무형문화재와 민속자료의 개념에 혼돈을 겪었으나, 1964년에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이 제정되며 개념이 정립되었다.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동굴관광자원의 관리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Show Cave for Sustainable Tourism)

  • 홍충렬;김원진
    • 동굴
    • /
    • 제64호
    • /
    • pp.27-36
    • /
    • 2004
  • 자연동굴은 생태환경교육의 장이며 주요한 관광자원으로 이용가치가 매우 크다. 그러나 현재 개방된 관광동굴의 경우 관리보존상의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관광동굴의 관리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안적인 동굴관리체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검토결과 대부분의 관광동굴이 '천연동굴 관리보존지침' 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거나 체계적인 관리운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굴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동굴관리자의 근무환경 개선, 관광객에 대한 교육, 동굴관련 문화재보호법의 개정, 동굴관리자에 대한 전문가 교육이 요구되었다. 향후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동굴관리 및 보존을 위해서는 동굴관리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행정기관, 동굴관리자, 관광객의 상호협력적인 관리체계와 동굴내외부의 환경변화에 대한 세부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동굴관리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경주지진피해로 본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한 전통공간의 지형적 입지유형 분석 (An Analysis of Landform Type of Traditional Space with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in the Damage of Gyeongju Earthquake)

  • 구민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9-119
    • /
    • 2018
  • 본 연구는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경주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한 전통공간 44곳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문화재 연구를 위해 지형적 입지정보 데이터화와 지형별 유형에 따른 피해 경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지형의 유형은 위요형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으며, 위치형은 도시와 농촌과 같이 주변이 건물인 지역의 빈도가 더 많았다. 수문형은 산의 정상쪽을 제외하고는 모두 강, 하천, 계곡, 호수, 바다를 끼고 입지하였으나 이 지역은 퇴적층 지역으로 위요형과 함께 지질학적인 면에서도 지진에 취약한 곳으로 밝혀져 지진과 문화재 관리적 측면에서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체 44개 중 26곳이 사찰이었으며, 평지형, 배경형, 위요형, 산지형, 정상형으로 갈수록 고도와 경사가 높아졌으며, 1-20% 경사지에 가장 많이 입지하였으며, 사면향은 남쪽을 끼고 있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진원지에서 10km 범위 내에 23%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거의 65km 범위 내에 있었으며, 배경형이 가장 가까웠고, 진원지로부터 북동쪽과 남서쪽에 집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지진피해를 조경문화재인 전통공간의 입장에서 다각도로 분석한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전통공간 계획과 설계,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민가정원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공원화 방안에 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Traditional Gardens in Folk Houses as a Park)

  • 염성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0-57
    • /
    • 2015
  • 한국의 전통정원은 자연과 인공구조물의 조화를 기반으로 조성되어져 당시의 시대상, 생활상, 문화, 예술 등의 다양한 문화, 역사적 가치를 가진다. 이러한 전통정원 중,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사유재산으로 소유주의 고령화, 상속, 관리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훼손, 손실되어 가고 있는 민간정원의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원화를 도입하여 효율적인 이용과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있는 일본의 전통정원의 공원화 사례조사와 국내의 민가정원의 현황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 소유주의 공원화에 대한 의지, 공원화에 필요한 조건에 대한 청문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민가정원의 공원화 도입에 있어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초적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전통정원의 경우, 소유주체를 법인화하여 입장료에 의해 생기는 수입을 유지관리에 조달하고 있으며 지자체와 연구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이용과 보전을 기반으로 공원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국내의 민가정원의 조사결과 소유주 대부분이 관리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공원화를 통한 체계적 유지관리에 긍정적인 의지를 갖고 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종교유적 건축물 정보의 메타데이터 구성과 온톨로지 구축 (Construction of Metadata Format and Ontology for Religious architecture heritage Information)

  • 정희선;김희순;송현숙;이명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26
    • /
    • 2013
  • 표준화된 메타데이터 구성은 문화유산정보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서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메타데이터는 각 객체가 속한 집단의 목적이나 자원의 속성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종교유적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항목 구성을 위하여 국내외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정보 분야의 6종의 메타데이터 포맷을 비교하여 18개의 메타데이터 항목을 구성하였다. 종교유적 건축물 메타데이터 항목에 근거하여 서울시 소재 72개 종교유적 건축물에 대하여 건축물 부분, 스토리텔링 부분, 참고자료 및 관련 자료의 세부분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CIDOC-CRM에 한국의 종교문화유산 정보에 필요한 항목을 추가하여 구성한 수정모형을 이용한 온톨로지를 설계하고, 수동 말뭉치 구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원문 텍스트로부터 개체명 및 이벤트를 부착하였다.

요가복 사용실태와 전통문양활용 요가복 선호도 조사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Yogawear and Consumer's Preference of Yogawear)

  • 김지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7-154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ctual using condition of Yogawear and consumer's preference of Yogawear with traditional pattern. Yogawear can be developed as a cultural fashion item, because Yoga is getting universal interest with "Wellbeing Trend". A survey with 34 questionnaires was made by 305 consumers who had ever experienced Yoga from July to August, 2006.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ost of objects were female(94%). Those who are in their twenties accounted for 50%, and those who take Yoga practice time less than 1 year accounted 63%, and those who take Yoga practice time less than 1 hour in a week accounted 46%. 2. Respondents who have Yogawear accounted 32% and they bought it in a online-shopping mall(48%), department store(16%) and discount store(11%). 3. Only 31% of respondents were satisfied of their Yogawear but they weren't satisfied about Yogawear Design, fabric and color. 4. Most preferred Yogawear style was pastel colored 'shirt & Pants' style with long sleeve using cotton fabric. 5. They liked much more modern Yogawear having korean image than completely korean style Yogawear or modern style Yogawear. 6.The benefits of Yogawear were 3 dimension: appearance, easy management, physical properties.

한국근대주거건축물 보존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Conservation in Korea Modern House)

  • 장석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87-96
    • /
    • 2006
  • Since the idea of registering architectural heritag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was introduced as part of the code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aw in July, 2001, more systematic and flexible application the code has been in great demand. It is the aim of this thesis that we preserve modern buildings and then use this research data what find our modern history. So we should find connection of modem and tradition with the overcome of the feeling of being victimized. Accordingly, based on preservation cases and finding of modern house heritage, it is the aim of this thesis that we find the way of the best u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more comprehensive and commonsensical guideline for the preservation of modern architecture satisfying both the government and the registering party, based on more thorough architectural analysis of residential edif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for application and conservation by point, area and network method. (2) It is needed that periodically check and record central system for the purpose of the management of those. (3) It's consider that develop of conservation method on co-ownership with citizen by house personality.

1961년 문화재보존위원회 활동 재평가 (Re-evaluation of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Committee Activities in 1961)

  • 오춘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2호
    • /
    • pp.144-166
    • /
    • 2024
  • 문화재위원회는 1962년부터 지금까지 60여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대한민국의 문화재 보존에 관한 중요한 일들을 심의하고 있는 중요한 기구이다. 1961년에 활동한 문화재보존위원회는 1년 정도의 짧은 활동 기간이었지만,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었음을 당시에 작성된 회의록으로 확인하였다. 우선 법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문화재나 무형문화재의 개념을 법령에 처음 사용했다는 점과 전문위원 제도와 위원의 임기 규정을 최초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이런 사항들은 현재의 문화재보호법과 문화재위원회 운영의 기초가 되었다. 다음은 활동과 관련하여,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다르게 당시의 정치적 격변에도 불구하고 활발히 활동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당시의 급격한 정권 교체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는 구성원의 변동이 없었고, 회의도 중단 없이 계속되었다. 그리고 당시 문화유산 보존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집단들의 배타적 관계가 있었고, 이 관계는 이들 집단들을 통합한 문화재관리국이 세워지면서 사라지게 되었음도 회의록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당시 작성된 회의록의 형태는 당시의 문서 작성 형태를 보여주는데, 여기에서는 전통적으로 이어오던 문서 작성 양식이 새로운 형태로 바뀌고 있는 현상이 확인된다. 근현대 서지학 측면에서 좋은 연구자료가 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1961년의 문화재보존위원회는 법률적 측면이나 실제 활동적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들을 가진다. 이 위원회의 활동이 낮게 평가된 이유는 당시에 작성된 회의록이나 관련 서류들이 관련 행정 체계의 미비로 잘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문화재보존위원회의 회의록에는 당시 문화유산 정책과 결정에 관한 여러 사실들을 기록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내용들에 대한 분석 연구로 당시 문화유산 정책과 인식에 대한 여러 사실들을 더 많이 밝혀낼 수 있다.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WeeFIM in Korea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Park, So-Yeon;Park, Eun-Young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48
    • /
    • 2010
  • The WeeFIM is an outcome measure used worldwide to evaluate the functional abilities of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WeeFIM in Korea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using the Rasch model.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92 boys and 53 girls) was 10.6 years (SD=2.3, range 5~15 years). The Winsteps software was used for analyzing the internal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WeeFIM. For analyzing the internal validity the motor and cognitive area items of the WeeFIM were analyzed both together and separately. When all 18 items were analyzed 4 were considered to be misfits; upper extremity dressing, lower extremity dressing, toileting, and comprehension. When only the 13 motor items were analyzed, toileting, bladder management, and bowel management were considered misfits. In addition, only comprehension was considered as a misfit among the 5 cognitive items. The most difficult motor items were stair climbing, and bathing. The simple ones were eating, bowel management, and bladder management. The most difficult cognitive item was problem solving, and the simplest one was comprehension. The person separation indexes and reliability for combined and divided instruments were reported as excellen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applicability of WeeFIM to Korean CP children with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Further studies should include young children with CP and compare item difficulty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CP. In addition, the Korean normative data of nondisabled children should be used to compare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대량 공공 기록물의 선별적 소독을 위한 미생물 활성도 분석 연구 (Microbial Activity Analysis for the Selectively Sterilizing of Government-controlled Bulk Public Archives)

  • 김대운;박가영;김지원;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43-458
    • /
    • 2018
  • 기록물이란 기록이 남아있는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을 총칭하며, 현재 종이로 구성된 기록물이 가장 많이 존재한다. 종이는 재질적 특성상 생물학적 손상인자에 의해 쉽게 열화 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화학약제 소독처리 및 환경조절을 통해 관리해 왔다. 국가에서 관리하는 대량 기록물 보관처의 경우 입고되는 모든 기록물은 전수소독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공적 기록물의 생산량은 매년 증가되어, 이로 인해 대량 기록물 보관처의 보존관리가 점차 한계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선별적 소독기준 제시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보존서고 내 미생물 60종을 대상으로 유전학적 종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에서 즉각 사용 가능한 미생물 오염도 분석법인 ATP 생물 발광 반응(ATP bioluminescence)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생물량에 따른 미생물 활성도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실제 기록물 보존서고에 보관중인 미소독 기록물 1951점을 대상으로 미생물 활성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중 항온항습이 유지되는 조건에서 미생물 활성도는 억제 또는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소독처리 방안 및 세부기준수립의 기반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