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ion substrate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5초

표고수확후배지 퇴비 물 추출물에서 Bacillus subtilis BSM 320의 고밀도 배양 및 표고 푸른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 (High density culture of Bacillus subtilisBSM320 in aqueous extract of composted spent mushroom substrate of Lentinula edodes and biological control of green mold disease )

  • 김자윤;박세현;박성준;황보주형;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0-144
    • /
    • 2023
  • 본 연구는 길항성 미생물, Bacillus subtilis BSM320을 이용한 표고 푸른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목적으로 하였다. B. subtilis BSM320는 표고 톱밥배지 에서 분리된 T. hazianum을 포함한 3 Trichoderma 분리균주 대해 균사 생장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B. subtilis BSM320은 1% glucose를 포함하는 LeCSMS물 추출물(LeCSMS WE)에서 4.2 × 109±113.7 cfu/mL 세균수로 고밀도 배양 되었으며 상용배지 Lurina-Bertani broth 배지보다 높은 세균 밀도를 보였다. B. subtilis BSM320의 LeCSMS WE 배양액은 표고 자실체에 약해 없이 표고 톱밥 배지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병에 대하여 75%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 결과는 LeCSMS 물 추출물 배양 B. subtilis BSM320는 표고 푸른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Ralstonia eutropha의 유가식 발효에 의한 Poly(3-hydroxybutyrate) 생산의 경제성 분석 (Economic Consideration of Poly(3-hydroxybutyrate) Production by Fed-batch Culture of Ralstonia eutropha KHB 8862)

  • 김갑진;양영기;이영하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2-99
    • /
    • 2001
  • Pi1ot plant (200 l)에서의 유가식 배양에 의한 Ralstonia eutopha KHB 8862의 고농도 배 양을 통하여 Poly(3-hydroxybutyrate) (PHB)의 대량생산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배양 80시간 후 168 g/l의 건체량과 건체량의 74%에 달하는 PHB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이때의 고과당 시럽으로부터의 PHB 전환수율 및 PHB 생산성은 각각 0.27 (w/w) 및 1.6 $gl^{-1}$ $h^{-1}$ /이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발효에 의한 PHB 생산 cost 및 그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신규설비투자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PHB의 생산 cost는 US$2.41/kg으로 산출된 반면에 신규 설비투자를 고려한 경우에는 US$3.15/kg으로 상승되었다. 탄소원의 PHB로의 전환수율과 발효 생산성 모두 PHB 생산비를 결정하는 중요요인이지만 전체 생산비의 37%를 차지하는 탄소원 원료비의 비중이 설비투자의 감가상각비 비중 (17%)에 비해 높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이는 노력보다는 전환수율을 개선하는 것이 PHB 생산비용 절감의 핵심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B chip으로의 제조시 PHB 생산 cost는 US$4.0/kg의 수준으로 현재로서는 범용 합성플라스틱에 비하여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다. 따라서 생산비 절감을 통한 범용수지로써 경쟁력 제고와 함께 바이오의약 분야 등의 고부가가치 영역에서의 새로운 용도 개발 등이 적극 요구된다.

  • PDF

흐름주입분석기술을 이용한 생물공정에서 암모니아 농도의 제어 (Control of Ammonium Concentration in Biological Processes Using a Flow Injection Analysis Technique)

  • 이종일
    • KSBB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452-458
    • /
    • 2001
  • 생물공정에서 암모니아 농도를 제거하기 위해 NN 제어기를 개발하였고 기존의 PID 제어기와 비교하였다. 특히, 생물반응기내 암모니아 농도를 온라인 모니터링하기 위해 암모니아-FIA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이 장치의 분석 오차, 분석 시료의 체류 시간 등의 제어 특성에 대한 영향 computer simulation을 통해 비교, 고찰하였다. 또한 computer simulation에 의해 생물공정에 적합한 인공 신경망 제어구조를 고찰하였고, 3-2-1 구조의 NN 제어기가 PID 제어기보다 우수함을 알수 있었다. 3-2-1 구조의 NN 제어기를 이용하여 모사 생물공정 및 yeast 발효공정에서 암모니아 농도를 제어하여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미생물의 비선형성장 특성을 가진 생물공정에서 기질의 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3-2-1 구조의 인공 신경망 제어기가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roduction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Bioflocculant Produced by Bacillus sp. DP-152

  • SUH, HYUN-HYO;SEONG-HOON MOON;HEE-SIK KIM;HYOUNG-KAB KIM;GEE-ILL JUN;HYUN-GEOUN PARK;DAE-OOK KANG;HEE-MOCK OH;BYUNG-DAE Y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618-624
    • /
    • 1998
  • The culture conditions for Bacillus sp. DP-152 in the flask were investigated for the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locculant, DP-152.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the locculant production were 8.0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avorable substrates for flocculant production were soluble tarch and ammonium nitrate. The medium composition was optimized as follows: 30 g soluble starch, 0.75 g $NH_4NO_3,\; 2.0g\; K_2\;HPO_4,\; 0.1\; g KH_2PO_4,\; 0.2g\; MgSO_4.\; 7H_2O,\; and\; 0.2g\; MnSO_4~5H_2O$ in 11 of distilled water. Under this optimized condition, flocculating activity has been improved 4-fold compared with that of the basal medium. In the culture flask, the highest flocculating activity was obtained after 70 h of cultivation and the amount of bioflocculant DP-152 yielded was 12.4 g/$\ell$. The solution of bioflocculant DP-152 showed non-Newtonian characteristics. Bioflocculant DP-152 exhibited apparently higher viscosity at all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at of zooglan (from Zoogloea ramigera), and it was stable over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and pHs.

  • PDF

Polyhydroxyalkanoate (PHA) Production Using Waste Vegetable Oil by Pseudomonas sp. Strain DR2

  • Song, Jin-Hwan;Jeon, Che-Ok;Choi, Mun-Hwan;Yoon, Sung-Chul;Park, Woo-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8호
    • /
    • pp.1408-1415
    • /
    • 2008
  • To produce polyhydroxyalkanoate (PHA) from inexpensive substrates by bacteria, vegetable-oil-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a rice field using enrichment cultivation. The isolated Pseudomonas sp. strain DR2 showed clear orange or red spots of accumulated PHA granules when grown on phosphate and nitrogen limited medium containing vegetable oil as the sole carbon source and stained with Nile blue A. Up to 37.34% (w/w) of intracellular PHA was produced from corn oil, which consisted of three major 3-hydroxyalkanoates; octanoic (C8:0, 37.75% of the total 3-hydroxyalkanoate content of PHA), decanoic (C10:0, 36.74%), and dodecanoic (C12:0, 11.36%). Pseudomonas sp. strain DR2 accumulated up to 23.52% (w/w) of $PHA_{MCL}$ from waste vegetable oil. The proportion of 3-hydroxyalkanoate of the waste vegetable-oil-derived PHA [hexanoic (5.86%), octanoic (45.67%), decanoic (34.88%), tetradecanoic (8.35%), and hexadecanoic (5.24%)] showed a composition ratio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rn-oil-derived PHA. Strain DR2 used three major fatty acids in the same ratio, and linoleic acid was the major source of PHA production. Interestingly, the production of PHA in Pseudomonas sp. strain DR2 could not occur in either acetate- or butyrate-amended media. Pseudomonas sp. strain DR2 accumulated a greater amount of PHA than other well-studied strains (Chromobacterium violaceum and Ralstonia eutropha H16) when grown on vegetable oil. The data showed that Pseudomonas sp. strain DR2 was capable of producing PHA from waste vegetable oil.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재배(裁培)에 있어서 배지량(培地量) 및 종균(種菌) 재식량(載植量)이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the Quantities of the Rice Straw Substrates and Spawn on the Yield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박용환;장학길;고승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
    • /
    • 1977
  • 볏짚을 이용(理容)한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us (Fr.) $Quacute{e}l.$] 재배(栽培)에 있어서 배지량(培地量) 및 종균재식량(種菌裁植量)이 자실체(字實體)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보고자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 볏짚량(量)을 $90kg/3.3m^2$까지 증가(增加)시켰을 때 자실체(字實體) 수량(收量)은 $102kg/3.3m^2$으로 가장 높았고, 종균(種菌)을 표면(表面) 재식(裁植)할 경우(境遇) 종균량(種菌量)은 $8kg/3.3m^2$까지 증가(增加)시키므로서 증수(增收)되었으며 균사생장(菌絲生長) 기간(期間)도 단축(短縮)되었다.

  • PDF

느타리 버섯(Pleurotus sajor-caju) 재배를 위한 기질 및 재배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Substrate and Cultural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sajor-caju)

  • 홍범식;김세진;송치현;황세영;양한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4-359
    • /
    • 1992
  • P.sajor-caju의 균사체 생장에 oil 첨가효과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식물성 oil 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그 중 cotton seed oil을 배지 100ml에 2.5ml 첨가하였을 때 균체량이 무첨가구에 비하여 약 4배정도 이었다. 자실체 생산 기질로 농산 및 산업폐기물인 볏짚, 땅콩박, 왕겨, 톱밥 ,코코아박, 맥주박, 커피박 등을 사용한 결과 볏짚의 biological efficiency(B.E.)가 36.4%였으며 땅콩박은 32.6%로 나타났다. 또한 볏짚(50%)과 맥주박(50%)을 혼합하였을 경우 B.E가 109.6%로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땅콩박(50%)과 맥주박(50%)을 혼합하였을 경우에도 B.E.가 74.5%로 높은 수확량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인삼 양액재배시 배지의 영향 (Effect of Substrate on the Production of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in Nutrient Culture)

  • Dong Sik Yang;Gung Pyo Lee;Park, Kuen Wo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99-204
    • /
    • 2002
  • 한국의 인삼재배시 연작장해로 인한 생산량 감소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삼 재배를 위하여 양액재배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최적의 양액재배용 배지를 선발하기 위하여 모래, TSK-2 (S+T), 피트모스 (P), 재활용 암면 (RR)과 입상 암면 (GR)등의 다양한 배지를 단독 및 혼합처리구로 사용하였다. RR배지의 경우 전반적인 물리화학적 특성은 기존에 보고된 인삼배지의 토양특성과 유사하였다. S+T배지는 가밀도가 인삼용 토양보다 높았다 인삼의 지상부 생체중은 RR배지와 S+T배지에서 높았다. 인삼 뿌리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RR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인삼의 뿌리의 품질적 측면에서 vitamin C함량은 양액재배로 생육시킨 인삼이 토양에서 생육한 인삼보다 높았으나, crude saponin과 ginsenosides 함량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Biosurfactant의 생산을 위한 Nocardia sp. L-417균주의 배양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of Nocardia sp. L-417 Strain for Biosurfactant Production)

  • 이태호;김순한;임이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2-258
    • /
    • 1998
  • Biosurfactant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 중에서 표면장력 및 계면장력 감소능에서 가장 우수한 L-417주를 순수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No-Cardia속으로 판명되었다. Biosurfactant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3% n-hexadecane, 0.1% $NaNO_3$, 0.02% $K_2HPO_4$, 0.01% $KH_2PO_4$, 0.01% $MgSO_4 \;.\;7H_2O$, 0.01% $CaCl_2$ 0.02% yeast extract였으며,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6.0이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500ml용 shaking flask에 최적 배지 50ml를 넣어 배양했을 경우 대수증식기 말기인 4일째에 균의 증식과 유화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남에 따라 Nocardia sp. L-417에 의한 bio-surfactant의 생산은 균의 생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계면활성제는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bunker A, paraffin, corn oil 및 oilve oil 등에 대해서도 비교적 높은 유화활성을 나타내였다.

  • PDF

원유 분해균주 Nocardis sp. Hl7-1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rude oil-Degrading Strain, Nocardia sp. H 17-1)

  • 이창호;권기석
    • KSBB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654-662
    • /
    • 1996
  • 원유에 대한 분해능이 있는 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균주의 균체생육과 유화활성 및 원유 전환율을 검토하여 4균주 즉, A54, H17, H17-1 그리고 F6 를 선멸하였다. 이들 균주중 H17-1 균주를 최종선멸하여 형태학적 빛 생화학적 그리고 생리학적 특성 을 조사한 후 Nocardia sp. H 17-1로 명명하였다. Nocardia sp. H17-1의 배양 시간에 따른 균체생육, 유화도 그리고 원유 전환율을 측정한 결과, 균체수 는 $9.1\times109 CFU/mL$었고, 유화활성과 원유 전환율 은 각각 480 unit/mL와 약 83%로서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또한, 다양한 탄화수소를 탄소원으로 이용 하였다. 원유분해를 위한 배양조건 및 환경인자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배양온도는 $^30{\circ}C$, 초발 pH는 7.0, 염분농도는 2.0%이며, 5% 이상에서는 유화활 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원유농도는 3%, 무기염류 의 농도는 12.5 mM $NH_4N0_3$, 0.057 mM $K_2HPO_4$로 나타났다. 또한, 잔류 원유의 GC 분석 결과 CI6(n­ hexadecane) 이상의 n-alkane peak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