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inary Environment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28초

경기 북부 지역 학교 급식 종사원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Northern Gyeonggi)

  • 민경찬;이명호;박혜원;박영심;신용칠;조규봉;이경익;정광옥;신임숙;윤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3-200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cooks employed in school foodservice an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school foodservice quality. Therefore,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job satisfaction of 119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using a 5-point scale metho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SPSS Package Program(Ver 12.0) to determine percentages and frequency. Among the employees, 99.2% were women, and 75.9% were employed by contract. All of the subjects worked in elementary schools with self operated foodservice system and 57.6% of them served food in the classroom. The total number of diners served by these foodservice programs was $1,391.6{\pm}307.6$ an average of $135.0{\pm}18.2$ diners per cook. Among the foodservice employees, 82.2% had completed high school academic courses, and 98.4% had never changed jobs. Their overall degree of job satisfaction degree was relatively high at $3.05{\pm}0.85$, but the wage and welfare system($2.45{\pm}0.86$), and the merit rating methods($2.25{\pm}0.87$) ranked among the lowest in the job satisfaction survey.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nagers and the coworkers marked relatively higher at $3.02{\pm}1.03$, compared with other aspects of job satisfaction. As for the work environment, the scaled score was $2.38{\pm}0.85$. Finally the ranking of achieving job improvement through education($3.28{\pm}0.93$),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3.58{\pm}0.78$) showed u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ducation.

동료학습을 적용한 조리실무관련 실습과목 학습부진 대학생의 주관성 연구 (A Study on Subjectivity of Underachievers on Peer Assisted Learning in Culinary Skills related Subject)

  • 신승훈;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62-572
    • /
    • 2020
  • 본 연구는 동료학습을 적용한 조리실무관련 실습과목의 학습부진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여 조리실무 관련 수업의 보다 나은 교육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규모 학생들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연구를 위해 Q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관적 인식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특징의 분석을 통해 총 3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제 1유형(N=8) : 학습효과 증대 형 (Increase learning effectiveness type), 제 2유형(N=8): 소극적 학생에 대한 수업자료개발 필요 (Development of lesson materials for passive students), 제3유형(N=6): 실습형 자기주도학습 개발 필요 (Practical self-directed learning needs development)은 각각 고유의 특징을 가진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조리실무관련 실습과목의 학습부진 학생들에게 동료학습을 적용함으로서 학습부진학생들의 수업흥미유발, 실수감소로 인한 자신감 상승 등의 학습효과증대와 추가학습에 대한 인식 증가와 주도적 학습 참여 유도와 같은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왔음을 발견하였으나, 일부학생의 경우 동료학생에 피해를 주는 것 같은 느낌과 타 학생들의 시선에 대한 부담감을 표현하는 집단이 발견되기도 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수준별 학습 분위기가 조성된 학습 환경에서의 실습조리과정의 진행과 주도적 학습을 위한 추가 교육과정의 개발은 보다 효과적인 동료학습을 위한 추가적인 조건임을 발견하였다.

친환경 레스토랑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rvicescape of an Eco-friendly Restaurant on Customer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 최원식;이수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5-6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레스토랑의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고객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친환경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을 고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친환경 레스토랑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태도 및 행동의도에 유기적인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친환경 레스토랑 또는 그린 레스토랑에서 한 달에 1회 이상 방문해 본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고객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2012년 4월 2일부터 2012년 4월 15일까지 14일간 본 조사를 위하여 설문지 총 300부를 배포하여 결과 응답치의 편중성향이 너무 강하거나 결측 값이 발견된 일부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64부(88.0%)의 설문자료를 최종 통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보면 고객이 친환경 레스토랑의 서비스스케이프를 호의적으로 인지 하게 되면, 유 무형적인 지각된 가치를 통해서 소비자는 지각된 가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서비스스케이프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는 태도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객은 해당 친환경 레스토랑을 만족하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고, 긍정적인 태도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심층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자 입장에서 높은 수준의 서비스스케이프를 유지하고 제공하는 것이 외식 기업들의 가시적인 성과 도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 PDF

학교급식에서 영양사의 친환경 농산물 사용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사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Purchase Decision and Attitude of Dieticians regarding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Meals)

  • 안선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2-206
    • /
    • 2015
  • 경기도지역 학교급식 영양사를 대상으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태도와 구매 결정요인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친환경 농산물태도와 친환경농산물 구매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변수간의 요인분석과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사들은 친환경농산물의 중요성에 관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나 구입 가격에 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구매결정요인은 '충성도' 0.920, '지각된 품질' 0.791, '인지' 0.862, '브랜드' 0.801로 조사되었다. 일반사항에 따른 결과에서 영양사들은 친환경 농산물 구매결정요인 중 충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품질, 브랜드, 인지 순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농산물에 관한 태도는 친환경 농산물에 관한 구매의사 결정요인 중 품질(r=.296, p<.01) 및 브랜드(r=.350, p<.01), 충성도(r=.558, p<.01), 인지(r=.496, p<.01)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로 경기도지역 영양사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친환경 농산물에 관한 친환경농산물 구매의사 결정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 농산물 구매의사 결정 요인 중 충성도와 인지가 친환경농산물 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급식 관리자인 영양사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제시가 필요하며, 친환경농산물 구매의사 결정요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Ecotourism of Upo Wetland and Perceptions of Stakeholders

  • Roh Yong-Ho;Kim Sang-H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0호
    • /
    • pp.897-904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ecotourism goals of conservation and increasing residents' benefits based on perceptions from the stakeholders of the Upo wetland. The stakeholders are residents, five villages' reprensentatives, people who were residents but now live out of the area, civil officals, and environmental NGO staffs of he Upo wetl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hile the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mong interviewees were positive, the residents' perceptions about residents' benefits were very negative in the Upo wetland. People who used to reside and then moves out had pride about the Upo and they wanted to return to live in the Upo wetland area. Even though the wetland is named as one of the most well known ecotourism site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orean National Ecotourism Organization(KNTO), the Upo wetland area is not an ecotourism site yet based on the definition of ecotourism goals which seek generating conservation and residents' benefits in this study. There are suggestions for this wetland area. The conservation policy with the residents' benefits are strongly recommended.

홍화씨를 첨가한 분쇄돈육의 동결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Ground Pork Containing Safflower Seed during Frozen Storage)

  • 박경숙;최영준;박현숙;차경숙;이경숙;정인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7-424
    • /
    • 2013
  • 본 연구는 홍화씨가 동결저장 중 분쇄돈육의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등심 68%, 냉수 10%, 소금 2%에 돼지지방 20%를 첨가한 분쇄돈육(T0), 돼지지방 10%와 홍화씨 10%를 첨가한 분쇄돈육(T1) 그리고 홍화씨 20% 첨가한 분쇄돈육으로 구분하여 제조하였다. 보수력은 동결저장 중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홍화씨를 20% 첨가한 T2가 가장 높았다(p<0.05). 가열감량은 동결저장 기간이 경과하면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T1 및 T2의 가열감량이 T0보다 낮았다(p<0.05). 직경감소율의 경우 T0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T1 및 T2는 동결저장 중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경도와 저작성은 동결저장 중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탄성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경도, 탄성 및 저작성은 T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동결저장 중 pH는 유의적으로 낮아져 50일째에는 T0, T1 및 T2가 각각 5.41, 5.43 및 5.32를 나타내었다(p<0.05). TBARS값의 경우 T0 및 T1은 동결저장 중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T2는 저장 중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동결저장 50일째의 TBARS값은 T0, T1 및 T2가 각각 4.76, 2.77 및 0.54 mg malonaldehyde/kg을 나타내었다.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T0가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동결저장 중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홍화씨의 첨가는 물리적 성질을 개선하면서 지반산화를 억제하여 기능성 육제품의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근무년수에 따른 학교급식 영양사의 근무환경.급식환경 및 직무 수행도 분석 (Job environment, foodservice environment and work performance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 according to years of service in Daejeon/Chungnam province)

  • 한장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6호
    • /
    • pp.573-58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jobs and foodservice environments, as well as work performances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in accordance to the years of service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a total of 415 from selec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areas.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general characteristics, status of their job environments and foodservice environments by frequency, and the averages and differences in work performance with regard to 12 work parts and 57 works using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ccording to the years of service. Six parts among 12 work par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wor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years of service. The 6 work parts were menu (nutrition) management, utensil recovery and management, sanitation management, foodservice administration & evaluation, dietary habit guide, and other works. The 11-15 years group ranked as the top on the total score and means of work performance. While the 16-years or more group, 6-10 years group, and under 5 years group followed consecutivel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job or foodservice environments and work performances showed that work performances of school dietitians were mostly influenced by employment status, education level, and annual salary among the variables of job or foodservice environments. Other works, dietary habit guides and menu management were mostly influenced by variables of job and foodservice environments.

프랜차이즈 분식점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Franchise Snack Bar - Focused on Busan Area -)

  • 이순아;이상묵;함성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64-279
    • /
    • 2015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분식점을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프랜차이즈 분식점 방문 시 지각된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고, 이러한 요인이 고객의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프랜차이즈 이용고객들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이 중 272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사용된 통계방법은 SPSS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및 신뢰도검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지각된 서비스 품질은 Brady & Cronin의 3차원 모델을 기반으로 물리적 환경품질, 상호작용품질, 그리고 결과품질로 구성되었으며,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와의 인과관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 품질의 세 가지 요인인 물리적 환경,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과 고객만족간 그리고 재방문 의도와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결과품질요인이 세 가지 서비스품질 요인 중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랜차이즈 분식점에서 고객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결과품질의 주요 측정항목인 음식 자체의 품질이 가장 중요함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고객만족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만족한 고객은 다시 그 프랜차이즈 분식점을 재방문하거나 주변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추천할 의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에 이미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던 서비스품질 척도를 프랜차이즈 분식점이란 영역에 적용시켜 그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학술적 의의를 가지며, 또한, 외식산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분식점산업을 위한 현실적이고 실증적 제언을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리실내의 유해오염물질 제거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Pollutants in the Cooking Chamber)

  • 권우택;이우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49-1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발생한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미세먼지, 악취, 총부유세균 등의 오염물질들이 조리실내로 분산되어 실내공간이나 조리업 종사자에게는 나쁜 냄새나 작업환경 및 건강피해를 감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공기청정기의 단점을 보완하고, 반영구적이며, 각종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과 황토를 결합한 바이오세라믹 필터를 bar type으로 제작한 실내용 소형 공기청정기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측정항목은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복합악취, 총부유세균 등 모두 4가지 항목으로 개발된 공기청정기 가동 전과 일정시간 가동 후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는 평균 $2,500{\mu}g/m^3$에서 $223{\mu}g/m^3$으로 약 91.02%의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미세먼지의 제거율은 평균 농도가 $26.68{\mu}g/m^3$로서 97.51%의 우수한 제거효과가 나타났으며, 복합악취의 희석배수를 측정한 결과 평균 144로 평균 95.20% 감소하였다. 또 총부유세균은 초기 농도가 $787{\sim}814CFU/m^3$에서 $47{\sim}40CFU/m^3$로 약 94% 이상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개발되어진 공기청정기의 바이오세라믹 필터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우수한 제거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를 조리실내에서 환기장치와 렌지후드를 병행하여 사용하면 기존의 열악한 조리실 내의 환경이 크게 개선되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푸드 코디네이션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 2000~2008년 논문을 중심으로 - (Trend Analysis of Food Coordination-related Studies Conducted from 2000 to 2008)

  • 권용석;홍완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8-236
    • /
    • 2010
  • 푸드 코디네이션 분야는 90년대 말에 국내에 소개되었고, 현재까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문에 대한 분류의 기준과 용어에 대해 표준화 된 체계조차 잡혀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8년 사이에 국내에서 발행된 푸드 코디네이션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모두 335편이었다. 내용분석과 문헌연구에 의한 유목 분류는 연구 주제, 논문의 연구형식 및 조사방법, 분석 방법, 논문의 연구대상, 연구 조사지역 및 조사대상자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유목 분류는 연구주제를 분류하는 것이다. 10개의 분류된 연구주제는 1) 푸드 코디네이션의 정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2) 식공간 환경에 관한 연구, 3) 색채, 패키지(포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 4) 테이블 세팅, 식사 매너 및 에티켓에 관한 연구, 5) 사진, 편집 디자인, 아이덴티티 디자인 및 메뉴에 관한 연구, 6) 식공간 구성요소, 테이블/글라스 웨어에 관한 연구, 7) 감성, 오감 및 요리 코디에 관한 연구, 8) 직무, 인적 자원에 관한 연구, 9) 평론, 식문화 및 교육에 관한 연구, 10) 구매, 소비자 행동, 경영및 마케팅에 관한 연구로 나누었다. 위의 10가지 연구주제 중 식공간 구성요소, 테이블/글라스 웨어에 관한 연구(23.6%)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색채, 패키지(포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17%), 구매, 소비자행동, 경영 및 마케팅에 관한 연구(14.6%), 식공간 환경에 관한 연구(13.4%), 평론, 식문화 및 교육에 관한 연구(9.6%)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5가지 주제로 연구된 논문이 전체의 75%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