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1.562

A Study on Subjectivity of Underachievers on Peer Assisted Learning in Culinary Skills related Subject  

Shin, Seoung-Hoon (영남이공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Kim, Chan-Woo (영남이공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subjectivity of underachievers on Peer Assisted Learning(PAS) in culinary skills related subject for providing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efficiency of particular teaching method. Q Methodology was employed for analysing of responses of a small group of the students. The research found that three types of distinctive structures of responses of the students' subjectivity. The first one was Increase learning effectiveness type(Type1, N=8), the second one was Development of lesson materials for passive students(Type2, N=8), and the last one was Practical self-directed learning needs development(Type3, N=6). From the result, PAS w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underachievers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of study program, helping to rise self-confidence in subject's tasks, and awareness of self directed learning and additional study on subjects matters. The study, however, found that students could consider themselves as an interruption to other students' study progress, and could feel other students' awareness as a burden. At last, forming a class by deeper consideration on the learning levels of each students and providing additional educational contents for encouraging self directed learning are necessary for the better efficiency for the future.
Keywords
Peer Based Learning; Culinary Skills related Subject; Underachievers; Subjectivity; Q Method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범종, "Q방법론의 이해와 소비자 연구에의 적용," 한국마케팅저널, 제1권, 제3호, pp.120-140, 1999.
2 신승훈, 김찬우, "조리전공 대학생의 요리경연대회 참가를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598-608, 2019.   DOI
3 J. Dryzek, Discursive Democra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4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46, 1980.
5 S. Brown, D. During, and S. Selden, "Q Methodology, In G. Miller and M. Whicker, eds.,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ublic Administration," New York: Marcel Dekker, 1999.
6 김찬우, 신승훈, "외식창업교육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조리전공 재학생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 팝업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pp.347-358, 2019.   DOI
7 김찬우, 신승훈, "외식업체 빅 블러(Big Blur)현상과 키오스크(Kiosk)도입에 따른 이용고객의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268-279, 2019.   DOI
8 김찬우,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648-660, 2018.   DOI
9 이현주, 외식조리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및 진로의사결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0 조은혜, 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조리실기 선행학습과 전공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1 http://www.academyinfo.go.kr/ 2019.05.11.
12 정제영, 선미숙, 정민지,"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수준 요인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57-76, 2015.
13 이훈병, "대학에서 학습부진 학습자 진단을 위한 주요인 분석," 인문사회21, 제7권, 제3호, pp.653-66, 2016.
14 진달래, 학습부진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을 위한 e-포트폴리오 활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5 하정숙, 박종호, "동료 멘토링이 초등학교 수학장애아동의 사칙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제21권, 제2호, pp.93-109, 2010.
16 채수진, 황미영,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팀기반 학습에서 동료평가 결과와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점수와의 관계 분석," 한국치위생학회지, 제9권, 제3호, pp.536-544, 2009.
17 교육부, 국내의 부진 학생 지도.지원 우수 사례집,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18 김동일, "학습부진아 교육에 관한 교육심리학의 역할과 과제," 한국교육심리학회, 제13권, 제12호, pp.13-32, 1999.
19 송승현,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방법," 교육방법연구, 제20권, 제1호, pp.93-111, 2008.   DOI
20 김홍찬, 이정은,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안으로 써의 수학일지 쓰기," 수학회논문집, 제13권, 제4호, pp.525-547, 2010.
21 정차남, 민천식,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부진아의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제24권, 제1호, pp.155-169, 2008.
22 윤창수,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동료지도학습이 수학교과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3 권혁재, 대학생의 학습부진 원인과 개선방안,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4 김명찬,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5 구미련, 동료학습이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6 이원국, 또래지도를 통한 과학탐구 놀이가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행동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7 김미경, 컴퓨터 실습교육에서 동료지도자와 동료학습자 역할이 중위권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8 P. A. Cohen, J. A. Kulik, and C. L. C Kulik, "Educational outcomes of tutoring: a meta-analysis of finding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19, No.2, pp.237-248, 1982.   DOI
29 B. Elbaum, S. Vaughn, M. T. Hughes, and S. W. Moody, "How Effective Are One-to-One Tutoring Programs in Reading for Elementary Students at Risk for Reading Failure? A 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2, No.4, pp.605-619, 2000.   DOI
30 고홍월, "대학생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125-147, 2012.
31 오양교, 동료교수학습과 개인학습이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32 S. Watts and P. Stenner, "Doing Q Methodology: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Qualitative Research in Psydhology, Vol.2, pp.67-91, 2005.   DOI
33 조경진, 임규연, "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에서 동료학습자의 피드백 제공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메타인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31권, 제3호, pp.401-430, 2015.
34 하정숙, 박종호, "동료 멘토링이 초등학교 수학장애아동의 사칙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제21권, 제2호, pp.93-10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