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Mn

검색결과 1,849건 처리시간 0.032초

Fe-3%C-16%(Ni+Mn+Cu) 주철에서 상변태에 미치는 Cu 조성비의 영향 (Effect of the Cu Composition Ratio on the Phase Transformation in Low Ni Austenite Cast Iron, Fe-3%C-16%(Ni+Mn+Cu))

  • 박기덕;허회준;나혜성;강정윤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19-42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low Ni austenitic cast iron through replacing Ni by Cu and Mn because they are cheaper than Ni. The effect of the Cu content (6-12 wt%) on the microstructure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in Fe-3%C-16%(Ni+Cu+Mn) cast iron. Contrary to general effect of the Cu on cast iron, the result of the microstructure analysis indicated that bainite and cementite were formed in high Cu content (>8 wt%Cu). A crystallized Cu-solution (Cu-Mn) phase and MnS in the Cu-solution were formed. The quantity of those phases increased as the Cu content increased. Consequently, the high Cu content in the composition ratio (Ni+Cu+Mn=16%) caused the formation of Cu-Mn/MnS and those phases decreased the effect of Cu and Mn on austenite formation. For this reason, bainite and cementite were formed in high Cu content.

Fe, Mn, Cu,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중 이들의 상대 함량, 탈취량 및 상호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ystematic Variation Application of Fe, Mn, Cu, and Zn on These Relative Contents, Uptake Amounts, and Mutual Ratios in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1-292
    • /
    • 2004
  • 미량요소 Fe, Mn, Cu 및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Fe/Cu(시험군-1), Mn/Zn(시험군-2) 및 Fe+Cu/Mn+Zn(시험군-3) 시험에서는 각 시험군 처리별 총 시비량을 systematic variation 방법으로 0/100, 25/75, 50/50, 75/25 및 $100/0\%$ 비율로 시비처리 하였고, Fe/Mn/Cu/Zn(시험군-4) 시험에서는 각 주성분을 $70\%$, 기타 성분의 처리를 각각 $10\%$(합계 $100\%$) 비율로 시비처리 하였다. 1. 처러별 미량요소의 상대 함량, 탈취량 및 상호비율은 두 초종간 차이를 보였다. Fe 처리별 Fe-함량, 상대 함량 및 탈취량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경미하였고, 반면에 Mn과 Cu의 경우는 이들의 처리에 따라서 다소 일관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Mn 시비에 따른 높은 U-상대 함량에서는 Fe, Cu 및 Zn은 함량의 면화가 없이 상대 함량이 낮아졌다. 2. 미량요소 탈취량의 증가는 수량 증가와는 다소 다른 특성을 보였고, 처리별 수량 차이가 없이 탈취향의 증가만 보이기도 하였다. Mn 시비에 따른 Mn-탈취량의 증가는 수량의 증가율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각 미량요소 탈취량의 증가는 Mn과 Cu 처리에서는 뚜렷하였으나, Fe과 Zn의 처리에서는 경미한 차이를 보였다. 3. Fe과 Zn보다 Mn과 Cu(특히 Mn)의 처리에 따라서 여러 상호 비율들이 큰 차이를 보였다. Fe/Cu시험에서 처리별 Fe/Cu 비율은 orchardgrass는 6.0~10.5, white clover는 $10.2\~16.4$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Fe+Cu/Mn+Zn 시험에서 처리별 Mn/Cu, Mn/Zn 및 Fe/Mn 상호 비율이 상대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Fe/Mn 비율의 불균형이 white clover의 불량한 생육특성과 연관성이 있고, 이 조건에서도 다른 양이온 미량요소의 시비 비율 또는 상호 비율에 따라서 다소 양호해졌음을 보여주었다.

Fe, Mn, Cu 및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중 이들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ystematic Variation Application of Fe, Mn, Cu and Zn on these Contents in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1-280
    • /
    • 2004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에서 미량요소 Fe, Mn, Cu 및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Fe/Cu(시험군-1), Mn/ Zn(시험군-2) 및 Fe+Cu/Mn+Zn(시험군-3) 시험에서는 systematic variation 방법으로 각 시험군 처리별 총 시비량을 0/100, 25/75, 50/50, 75/25, $100/0\% 비율로 나누어 시비처리 하였고, Fe/ Mn/Cu/Zn(시험군-4) 시험에서는 각 주성분의 처리 $70\%$, 기타 성분의 처리는 각각 $10\%$ (합계 $100\%$) 비율로 시비처리 하였다. 1. 처리별 목초 중 미량요소 함량은 일반적으로 white clover가 orchardgrass 보다 더 영향을 받았다 목초 중 Mn과 Cu-함량은 각 처리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Fe과 Zn-함량은 경미한 차이를 보였다. 2. Fe/cu 시험에서 white clover는 orchard-grass에 비해서 Cu-함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낮은 Cu 비율의 처리에서 Cu-함량과 수량이 심한 감소를 보였다. Mn/Zn 시험에서 $0/100\%$ 처리는 두 초종 공히 Mn-함량이 크게 감소되있고, 예취 회수가 갈수록 더 심해졌다. 특히 white clover는 본 1과 2보에서 언급한 Mn-결집 증상과 더불어 생육, 개화 및 수량이 불량한 것과 연관되었다. 3. Fe+Cu/Mn+Zn 시험에서는 처리별 Mn과 Cu-함량만 상대적으로 크게 차이를 보였다. 0/100과 100/0 처리에서 Cu와 Mn-함량이 각각 크게 낮아졌고, 이와 연관하여 특히 white clover는 생육, 개화 및 수량이 불량하였다. 낮은 Cu 및 Mn 시비의 부정적인 영향은 white clover가 orchardgrass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4. Fe/Mn/Cu/Zn 시험에서는 처리된 각 주성분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Mn-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각 주성분 처리($70\%$)에 따른 이들 함량의 증가는 다른 부성분($10\%$ 처리)들의 함량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였다.

백색 LED용 ZnS:Mn,Cu 황색형광체의 발광특성 (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ZnS:Mn,Cu Yellow Phosphors for White Light Emitting Diodes)

  • 유일;이지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627-631
    • /
    • 2010
  • ZnS:Mn yellow phosphors doped with Cu for white light emitting diodes were synthesized by solid state reaction method. The optical properties and structures of ZnS:Mn,Cu phosphors were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photoluminescence, and scanning electro microscopy. Photoluminescence excitation spectra originated from $Mn^{2+}$ were ranged from 450 nm to 500 nm. The yellow emission at around 580 nm was associated with $^4T_1{\rightarrow}^6A_1$ transition of $Mn^{2+}$ ions in ZnS:Mn,Cu phosphors. The highest photoluminescence intensity of the phosphors under 405 nm excitation was obtained at Cu concentration of 0.02 mol%. The enhanced photoluminescent intensity in the ZnS:Mn,Cu phosphors was interpreted by energy transfer from Cu to Mn.

Cu-Mn 혼합산화물 상에서 일산화탄소의 저온산화반응 (Low Temperature CO Oxidation over Cu-Mn Mixed Oxides)

  • 조경호;박정현;신채호
    • 청정기술
    • /
    • 제16권2호
    • /
    • pp.132-139
    • /
    • 2010
  • 서로 다른 몰비의 Cu-Mn 혼합산화물을 공침법으로 제조하여 $30^{\circ}C$에서 CO 산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제조된 촉매는 CO 산화반응에서 반응 활성과 연관시키기 위하여 XRD, $N_2$ 흡착 및 탈착, XPS, $H_2-TPR$ 등의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조된 촉매의 질소흡착 등온곡선은 4형태로 7-20 nm크기의 세공이 존재하며, M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BET 표면적은 17에서 $205m^2{\cdot}g^{-1}$ 으로 증가하였다. XPS 분석으로 Cu-Mn 혼합산화물 상의 Cu는 주성분이 2+의 산화상태임을 확인하였고, Mn은 +3과 +4의 산화 상태를 나타냈다. Cu-Mn 촉매의 함량 및 비율에 따른 최적 활성을 실험 조사한 결과, $30^{\circ}C$의 반응온도에서 Cu/(Cu+Mn)의 몰비가 0.5일 때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를 기준으로 화산형 형태의 반응 곡선을 나타냈다. 수분 존재하의 CO 산화반응은 활성점에 수분과 CO의 경쟁흡착으로 촉매의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최종적으로는 활성금속 성분과 하이드록실 그룹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粉乳의 微量 營養成分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of Trace Constituents in Dried Milk Powder)

  • Kim, Dae-Seon;Ha, Man-Kwang;Lee, Won-Chang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7-71
    • /
    • 1987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Cu, Mn, Zn in the dried milk powders except infant formula milkpowder from January to March, 1986. The content of the trace metals was deter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verages of Cu, Mn, Zn in the total samples were Cu, 0.3043 ppm Mn, 0.5101 ppm Zn, 26.006 ppm. 2. Averages and ranges of Cu, Mn, Zu in the whole milk powder were Cu, 0.2483, 0.216 - 0.48 Mn, 0.552 ppm, 0.336 - 0.732 ppm Zn, 28.961 ppm, 7.5 - 51.9 ppm. 3. Averages and ranges of Cu, Mn, Zn in the skim milk powder were Cu, 0.4095 ppm, 0.3 - 0.54 ppm Mn, 0.6907 ppm, 0.348 - 0.84 ppm Zn, 38.381 ppm, 30.6 - 55.2 ppm. 4. Averages and ranges of Cu, Mn, Zn in the modified milk powder were Cu, 0.3459 ppm, 0.12 0.948 ppm Mn, 0.2414 ppm, 0.096 - 0.348 ppm Zn, 7.752 ppm, 1.2 - 17.002 ppm. 5. It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Cu, Mn, Zu in the skim milk powder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 and the lowest amount of Cu in the whole milk powder group and Mn, Zn in the modified milk group.

  • PDF

Fe, Mn, Cu 및 Zn의 Systematic Variation 시비가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생육, 뿌리/근류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ystematic Variation Application of Fe, Mn, Cu, and Zn on the Growth, Root/Nodule, and Flowering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5-114
    • /
    • 2004
  • Orcharduass 및 white clover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의 systematic variations 시비가 목초의 생육, 재화, 수량, 양분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시험군-1(Fe/Cu), 시험군-2(Mn/Zn), 시험군-3(Fe+Cu/Mn+Zn)의 처리내용은 시험군별 총 시비량을 systematic variation 방법으로 각각 0/100, 25/75, 50/50, 75/25, 100/0% 비율로 나누어 시비 처리 하였고, 시험군-4(FeMn/Cu/Zn)에서는 각 기준처리 70%, 기타처리는 각각 10%(합계 100%) 비율로 시비 처리하였다. 1) White clover에서 Fe과 Mn 간의 길항작용에 의한 Mn과 Fe결핍 황화현상을 블 수 있었다. 또한 처리별 뿌리생육, 근류와 개화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으로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Fe/Cu 비율시험에서 white clover는 0/100 및 25/75% 처리에서 F-결핍 황화현상이 나타났으며 100/0%처리는 다른 처리에 비해서 뿌리생육(색도, 밀도 및 근류형성) 및 재화/화아 수가 불량하였다. 그러고 50/50과 75/25% 처리에서는 다른 처리에 비해서 다소 빠른 개화를 보였다. 2) Mn/Zn 비율시험에서 white clover는 특히 0/100% 처리에서 심한 Mn 결핍 황화현상이 나타났으며 또한 25/75 및 50/50 처리에서도 이 증상을 다소 불 수 있었다. 높은 Mn/Zn 비율의 처리에서 일반적으로 양호한 부리생육과 증가된 개화/화아 수를 보였다. 3) Fe+Cu/Mn+Zn 비율시험에서 white clover는 0/100% 처리에서 Fe 결핍 황화현상을 그리고 100/0 처리에서는 Mn 결핍 황화현상을 보였고 모두 뿌리생육의 불량과 개화/화아 수 감소를 보였다. 75/25 비율에서 가장 양호한 뿌리생육과 많은 개화/화아 수를 보였다. 4) Fe/Mn/Cu/Zn 비율시험에서 white clover는 처리비율에 따라서 Fe과 Mn 결핍증상이 나타났으며 반면에 Cu와 Zn 결핍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Zn>Cu>Mn>Fe-7% 시비처리 순으로 개화/화아 수가 많았다.

침적침전법에 의해 제조된 Cu-Mn 촉매의 활성 및 특성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Cu-Mn Oxide Catalyst Prepared by the Deposition-Precipitation Method)

  • 김혜진;최성우;이창섭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73-381
    • /
    • 2006
  • The catalytic combustion of toluene was investigated on the Cu-Mn oxide catalysts prepared by the deposition-precipitation method. Experiment of toluene combustion was performed with a fixed bed flow reactor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00{\sim}280^{\circ}C$. Among the catalysts, 1.29Cu/Mn showed the most activity at $260^{\circ}C$. The deposition-precipitation method may be showed the potential to enhance the activity of catalysts. The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by BET,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emperature-programmed reduction (TPR),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X-ray diffraction (XRD) techniques. On the basis of catalyst characterization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face of catalysts by deposition-precipitation method had uniform distribution and smaller particle size, which enhanced the reduction capability of catalysts. The XRD results showed that $Cu_{1.5}Mn_{1.5}O_{4}$ spinel phase was made by deposition-precipitation method, and increased catalyst activity and redox characteristic. It was assumed that the reduction step of $Cu_{1.5}Mn_{1.5}O_{4}$ spinel phase progressed $Cu_{1.5}Mn_{1.5}O_{4}\;to\;CuMnO_{2},\;and\;Cu_{2}O\;to\;CuMn_{2}O_{4}\;and\;Cu$.

γ-Al2O3에 담지된 Cu-Mn 산화물 촉매의 활성 및 특성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Cu-Mn Oxide Catalysts Supported on γ-Al2O3)

  • 김혜진;최성우;이창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193-199
    • /
    • 2006
  • ${\gamma}-Al_2O_3$에 담지한 Cu-Mn 산화물 촉매에서 톨루엔 완전산화 반응을 $160{\sim}28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고정층 반응기로 조사하였다. BET, SEM, TPR, TPO, XPS 및 XRD를 이용하여 촉매 특성분석을 하였다. 톨루엔의 완전산화 반응은 $280^{\circ}C$ 이하에서 이루어졌으며, 적절한 Cu-Mn 담지량은 15.0 wt%Cu-10.0 wt%Mn인 것으로 나타났다. TPR/TPO 및 XPS 분석 결과, 15 Cu-10 Mn 촉매의 산화환원 봉우리가 낮은 온도로 이동하였으며 결합에너지가 높은 값으로 이동하였다. XRD 결과, 고분산된 Mn 산화물과 CuO 보다 $Cu_{1.5}Mn_{1.5}O_4$의 촉매활성 인자로서의 역할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추측되며, 촉매의 활성은 촉매의 산화환원 능력과 촉매의 높은 산화 상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낮은 저항과 열안정성을 가지는 Cu/Mn 합금저항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Cu/Mn Alloy Resistor with Low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 김은민;김성철;이선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365-369
    • /
    • 2016
  • In this paper, we fabricated Cu/Mn alloy shunt resistor with low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for use of mobile electronic devices. We designed metal alloy composed of copper (Cu) and manganese (Mn) to embody in low resistance and low TCR which are conflict each other. Cu allow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n serves thermal stability in this Cu/Mn alloy system. We confirmed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the designed metal alloy system by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EDX) analysis. We obtained low resistance below $10m{\Omega}$ and low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TCR) below $100ppm/^{\circ}C$ from the designed Cu/Mn alloy resistor. And in order to minimize resistance change caused by alternative frequency on circuit, shape design of the metal alloy wire is performed by rolling process. Finally, we conclude that design of the metal alloy system was successfully done by alloying Cu and 3 wt% of Mn, and the Cu/Mn alloy resistor has low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