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tch Gai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Axillary Crutch Length on EMG Activity of the Trunk Muscles and Range of Motion of the Lumbar Spine, Pelvis, and Hip Joint in Healthy Men

  • Kang, Min-Hyeok;Jang, Jun-Hyeok;Kim, Tae-Hoon;Oh, Jae-Seop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63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xillary crutch length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lumbo-pelvic-hip complex movements during crutch gait. Eleven healthy 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three-point gait with optimal, shorter, and longer crutch lengths. Weight-bearing (WB) side was determined as the dominant leg side. The electromyography (EMG) activity of the bilateral rectus abdominis (RA) and erector spinae (ES) muscles and lumbo-pelvic-hip complex movements were monitored using a three-dimensional motion system with wireless surface EMG. Differences in the EMG activity of RA and ES muscles and range of motion (ROM) of lumbar spine, pelvis, and hip among conditions were analyzed using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a Bonferroni correction was conducted. There was less RA muscle activity on the WB side under the optimal crutch length condition compared with shorter and longer crutch length conditions (p<.05). The EMG activity of the RA muscle on the non-WB side and ES muscle on the WB sid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under the optimal crutch length condition compared with shorter crutch length condition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G activity of the ES muscle on the non-WB side and ROM of lumbo-pelvic-hip complex were found among conditions (p>.05).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optimal crutch length improves the trunk muscle efficiency during crutch gait.

부목과 목발을 이용한 보행이 20대 여성의 에너지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Affect of gait with splint and crutch has on basal metabolism young women)

  • 이지연;박정서;이대희;한슬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001-4007
    • /
    • 2011
  • 본 연구는 부목과 목발을 이용한 보행 시 에너지 소모 정도를 알아보고자 건강한 20대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4주간 정상보행, 부목보행, 부목 목발보행 시 각각의 운동강도, 환기량, 산소소모량, 호흡교환율, 칼로리 그리고 환기당량을 측정하였다. 부목의 무게는 평균 1.2 kg이었으며, 보행은 연구대상자들이 부목을 착용하고 가장 편안하다 고 느낀 2.74 km/h의 속도로 30분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부목 목발보행이 정상보행과 부목보행에 비해 운동강도가 높았으며, 환기량과 산소소모량에서도 부목 목발보행이 정상보행과 부목보행에 비해 더 많았고 통계학적으로도 유의 하였다(p<0.05). 칼로리는 부목 목발보행이 정상보행과 부목보행에 비해 더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호흡교환율과 환기당량에서도 세 조건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겨드랑이 목발의 디자인 비교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Study with Axillary Crutch Design Variations)

  • 양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43-253
    • /
    • 2016
  • 이 연구는 하지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보행 보조기기인 목발과 목발을 이용한 보행에 관한 것으로 인간의 보행특성에 적합한 합리적인 목발 개발을 위한 장기 연구의 일부분이다.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목발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3종의 겨드랑이 목발을 비교 평가 하였다. 목발 사용 경험이 없는 성인 남녀 31명이 참가한 목발의 비교 평가 실험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10가지의 목발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겨드랑이 목발 3종에 대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각 목발에 대한 가이드라인별 사용자 평가의 전체 평균에서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는 KM Crutch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이드라인별로 보면, 6가지의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는 KM Crutch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목발의 경량성과 경제성 및 시장성에 대해서는 세 목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발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기존 목발의 사용자 인식수준을 규명하고자 한 이 연구의 결과는 후속연구인 목발을 이용한 보행평가실험의 결과와 종합적으로 분석되어 가이드라인이 합리적인지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착용형 전동 목발 제어시스템 (Wearable and Motorized Crutch Control System)

  • 윤덕찬;장기호;최영진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33-139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wearable and motorized crutch control system for the patients using the conventional crutches. The conventional crutches have a few disadvantages such as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direct contact between the ground and the armpit of the patients, and unstable gait patterns.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motorized crutch is designed as a wearable type on an injured lower limb. In other words, the crutch makes the lower limb to be moved forward while supporting the body weight, protecting the lower limb with frames, and rotating a roller equipped on the bottom of the frames. Also the crutch is controlled using the electromyography and two force sensing resistor (FSR) sensors. The electromyography is used to extract the walking intention from the patient and the FSR sensors to classify the stance and swing phases while walking. As a result, the developed crutch makes the patients walk enabling both hands to be free, as if normal people do.

하지 장애인의 보행보조를 위한 목발 디자인 연구 (The Design of a Crutch as Mobility Aids for the Handicapped in the Lower Extremity)

  • 양승호;오광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55-70
    • /
    • 2018
  • 이 연구는 하지장애인의 보행보조를 위한 목발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그것을 적용한 사례에 관한 장기 프로젝트의 후반부에 해당한다.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하여 목발보행에 관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목발을 이용한 보행 특성에 부합하고 산업 측면에서 활용성이 높은 양산형 목발의 디자인 개발과 프로토타입 제작에 있다.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혁신적인 목발인 토고(TOGO)는 (1)목발 팁과 겨드랑이 받침대의 형태 및 구조 개선을 통해 목발이 지면과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충격의 전달 최소화, (2) 보행 중 사용자의 신체에 합리적으로 대응하는 인체공학적 구조, (3)알루미늄 압출 성형에 의한 프레임 제작과 구조 개선으로 목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성·이동성을 위한 쉽고 빠른 목발의 길이 조절, (4)보행 중 안전상 위험요소 최소화 및 (5)사용자가 자존감을 지킬 수 있게 충분히 매력적인 형태 등이 특징이다. 연구 성과로 도출된 새로운 목발은 특허 출원이 완료되었으며, 현재 대량생산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 검토에 이어 양산을 위한 기업 탐색과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목발 디자인에 따른 근육 활성도 및 사용자 인식 비교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of Electromyography Activity and User-perceived Level with Crutch Design Variations)

  • 양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57-16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성 12명이 참여하여 3종의 겨드랑이 목발(Mobilegs, KM crutch, Pro In-motion)을 사용한 보행에서 광배근과 비복근에서의 근전도 반응과 보행에서의 편안함과 사용 편이성을 중심으로 한 사용자 인식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광배근에서는 목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비복근에서는 Mobilegs와 Pro In-motion이 KM crutch에 비해 현저히 낮은 활성도를 보였다. 이것은 Mobilegs와 Pro In-motion은 각각 겨드랑이 받침대 하단과 목발 하단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비복근에 요구되는 힘이 적은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 평가에서 Mobilegs는 보행 시 편안함과 사용 편이성에 대해 모두 다른 목발들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목발 보행 시 많은 힘이 집중되어 다양한 문제를 유발시키는 겨드랑이 받침대와 손잡이의 디자인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연구의 결과는 스프링이 장착된 목발을 이용한 보행에서 비복근에서 적은 힘이 요구되어 보다 쉬운 보행을 가능케 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목발의 디자인 특성은 근육에 요구되는 힘을 줄이고, 여기에 겨드랑이 받침대와 목발 손잡이의 합리적인 구조와 형태가 보태질 경우 사용자들은 그 목발을 사용한 보행에서 전체적으로 매우 편안하게 인식함을 알 수 있다.

되먹임과 보행보조도구의 형태가 30%체중지지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back Methods and Ambulatory Assistive Aids on Accuracy of Partial Weight Bearing)

  • 박은영;김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07-214
    • /
    • 2011
  • 이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30%체중지지 수행력이 되먹임 형태와 보행보조도구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체중지지 훈련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명의 건강한 성인이 참여하였으며, 겨드랑이 목발과 바퀴보행기를 이용하여 3점 보행을 하는 동안 오른쪽 발에 체중의 30%만 부하하도록 하였다. 훈련을 위해 동적 되먹임과 정적 되먹임을 제공하였다. 훈련 직후와 훈련 3일 후, 보행 동안 %체중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힘판을 이용하였고 보행관련 변수를 측정하기 GAITRite를 사용하였다. 30%체중지지의 정확성은 겨드랑이 목발을 이용하고 동적 되먹임을 받았을 때가 가장 정확하였다(p>0.05). 보행보조도구와 되먹임 형태에 따라 %체중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훈련 직후와 훈련 3일후의 %체중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보행보조도구에 따라 보행속도와 입각기비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효과적인 체중지지 훈련을 위해서는 가능한 경우 겨드랑이 목발을 이용하여 동적 되먹임을 통한 %체중지지를 교육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안장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Saddle Prosthesis)

  • 박일형;인주철;이종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3-144
    • /
    • 1995
  • 고관절 제거후 재건을 위한 방법으로서의 안장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동종골 이식술후 고관절 전치환술, 열처리한 자가골 재삽입 후 고관절 전치환술, 좌골 대퇴골간 유합술, 가동 관절로 그대로 두는 방법 등에 비해서 수술 시간의 단축에 의한 감염율 및 기타 이환율의 감소, 술후 조기 보행 가능, 좌식 생활을 하는 한국인의 생활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 방법은 Modular system으로 다리 정렬 상태를 잘 보존시킬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추후 골 재건술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자들은 비구를 침범한 악성 골 종양을 제거 고관절의 재건을 위해 3예에서 안장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이중 1예에서 가역성 서혜부 탈장이 관찰되었으나 12개월, 19개월(사망), 27개월의 추시 관찰 결과 자가 보행, 계단 오르내리기가 가능하고, 쪼그려 앉기와 방바닥에 앉을 수 있으며, 통증없이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구를 침범한 골 종양 제거후의 고관절 재건술의 좋은 방법으로 판단되어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