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shed Oyster shell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패분 콘크리트의비파괴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Nondestructive Properties of Crushed Oyster Shell Concrete)

  • 성찬용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3-98
    • /
    • 2000
  •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te experimentally the nondestructive properties on the concrete that is treated with crushed oyster shell powder of 0.15m or smaller in diameter. The ultrsonic pulse velocity of crushed oyster shell concrete(COSC) is in the range of 4.110-4.267m/s, and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of COSC range from 288$\times$10$^3$ to 318 $\times$10$^3$kgf/$\textrm{cm}^2$.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and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are similar to those of normal portland cement concrete. The highest ultrasonic pulse velocity and dynamic modulus of COSC are measured at the 2.5% addition rate by weight of crushed oyster shell powder. The acid-resistance in increased of the content of crushed oyster shell powder. The acid-resistance of COSC with 15% addition rate by weight of crushed oyster shell power is 1.6 times greater than that of normal portland cement concrete. It is concluded that the addition of crushed oyster shell powder to normal portland cement concrete contributed to improve the nondestructive properties of concrete.

  • PDF

굴패각의 콘크리트 잔올재로의 활용성 (Applicability of Oyster Shell to Concrete Ingredients)

  • 양은익;손명수;김학모;정용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1-506
    • /
    • 2001
  •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cycling of an oyster shell, which is disposed in open-dumped way at coastal oyster factory area. For this purpose, the chemical component and reaction of oyster shell with cement paste was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hardened concrete was quantitatively investigated in terms of fineness modulus and blending rate of the crushed oyster shell. Test results show that interaction between oyster shell and cement paste was not occurred and the crushed oyster shell can be used as the fine aggregate of concrete. And it is found that blending of an oyster shell caused not to reduce the 28 day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Elastic modulus of the concrete blended with crushed oyster shells decreases with increases the blending rate which the modulus reduced about 10% when oyster shells is blended up to the 20% of the sand substitution.

  • PDF

모래다짐말뚝(SCP) 재료로서 파쇄 굴패각의 특성조사 (Characteristics of Crushed Oyster-shell as a Substitute of Sand for Sand Compaction Pile)

  • 윤길림;윤여원;채광석;권오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281-290
    • /
    • 2003
  • 굴패각을 대규모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인 건설재료로서 재활용하기 위해 패각원형을 1차파쇄한 상태에서의 굴패각의 파쇄특성과 지반공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파쇄된 굴패각의 조립률과 상대밀도에 따른 투수특성과 구속압축특성 그리고 전단특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파쇄 굴패각은 일반 모래에 비해 경량이며 투수특성과 전단특성이 모래와. 유사하며, 파쇄 가능성은 크지만 실제적인 파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결과, 파쇄 굴패각의 파쇄정도에 따른 지반공학적 특성의 정량적인 파악이 가능하며, 모래다짐말뚝공법의 모래 대체재로서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모래다짐말뚝(SCP) 적용을 위한 굴패각.모래 혼합토의 투수 및 전단 강도 특성 (Permeability and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Oyster Shell-Sand Mixture for Application to SCP)

  • 윤현석;이기호;박준범;이형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63-868
    • /
    • 2004
  • The use of oyster shells is proposed as a substitute construction material for geotechnical applications. To investigate recycling possibility as a substitute of sand compaction pile (SCP) for oyster shells,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permeability and shear strength of crushed oyster shell, sand and crushed oyster shell-sand mixted soi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rushed oyster shells are lighter than sand in weight, and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on permeability to sand. The results of direct shear test show that the measured value of friction angle ${\Phi}$ of crushed oyster shell was lager than that of sand. It would be expected that more angular particles (crushed oyster shells) would interlock more thoroughly than rounded particles (send).

  • PDF

굴껍질 시비수준이 사과 고두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ce of Bitter pit and the Application Level of Crushed Oyster Shell in Apple Orchard)

  • 허재영;이성태;김민근;홍광표;송원두;노치웅;조주식;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37-643
    • /
    • 2010
  • 석회고토 및 패화석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토양개량제로 활용가치가 높은 굴껍질을 사과 '감홍' 재배 과수원에 시용하여 고두병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석회고토와 굴껍질을 처리한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표토와 심토의 토양 pH와 치환성 칼슘 함량이 증가된 반면, 치환성 나트륨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사과의 고두병 발생비율은 무처리구가 10.4%로 가장 높았고 굴껍질 4 Mg$ha^{-1}$ 이상 처리할 경우 3.7% 이하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석회고토 처리구는 8.9%로 무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굴껍질 시용량과 수확기 표토 및 심토의 pH와 치환성 칼슘 함량은 고두병 발병비율과 고도로 유의적인 부의상관을 보였다. 고두병 발병비율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굴껍질 시용량은 4 Mg $ha^{-1}$ 이지만 시험 후 토양의 치환성 칼슘 함량, pH 및 과실중량, 수량 등을 감안할 때 최적의 굴껍질 시용량은 2 Mg $ha^{-1}$로서 석회소요량과 같았다.

굴 패각을 이용한 바지락 양식장 저질개선 효과 (Improvement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Habitat Condition by Adding Crushed Oyster (Crassostrea gigas) Shells to the Substratum)

  • 박광재;윤상필;송재희;한현섭;오해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1-297
    • /
    • 2011
  • 2008년 4월에 전남 고흥군 포두면 남성리 지선에서 바지락이 서식하기 어려운 니질의 양식장에 폐기물로 처리되는 굴 패각을 분쇄하여 넣어준 후, 2008년 6월에 울산 태화강에서 채취한 바지락 종패를 씨뿌림하여 양식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해역 저질의 입도분석에서 굴 패각을 넣어준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평균 입도와 평균 분급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에서도 산휘발성황화물 (AVS),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강열감량 (IL), 함수율이 굴 패각 시험구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굴 패각을 이용한 바지락 양식장 저질개선 후, 2008년 6월에 평균 각장 21.00 mm, 전중량 1.86 g을 씨뿌림하였다. 23개월이 경과한 2010년 4월에 굴 패각 시험구에서는 각장 36.10 mm, 전중량 8.92 g으로 성장하였으며, 최종 생존율은 43.5%로 나타났다. 그러나 굴 패각을 넣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13개월이 경과한 2009년 7월에 각장 32.62 mm, 전중량 7.34 g으로 성장은 빠르게 나타났으나, 모두 폐사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폐굴껍질에 의한 합성폐수 중의 인 제거 (Phosphorus Removal from Synthetic Wastewater by Waste Oyster Shells)

  • 정경훈;정오진;최형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3-49
    • /
    • 2000
  • A laborato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on the phosphorus removal by waste oyster shells. The waste oyster shells used in this experiments were crushed particle, calcined particle and extracted solution. A higher efficiencies of phosphorus removal were observed, when a particle size of crushed and calcined particle were smaller. The effluent concentration of phosphorus was around 1.6mg/ι in continuous column experiment which packed with crushed particle of waste oyster shell at the influent concentration of PO4-P of 10 mg/ι. But the clogging of column occurred with increasing of throughput volume of influent. The efficiency of phosphorus removal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dosage amount of crushed, calcined particle and extracted solution. When the calcined particle which contained only about 1/10~1/100 of crushed particle was used, the efficiency of phosphorus removal was correspondingly equivalent to the removal efficiency obtained from crushed particle. The efficiency of phosphorus removal by calcined particle after 9 runs repeated use was decreased about 21.5% as that of the first run. The removal efficiency of 100% could have been achieved at the HRT of 18 hours during the continuous treatment of phosphorus by the solution extracted from calcined particle.

  • PDF

모래다짐말뚝(SCP) 지반개량을 위한 굴패각-모래 혼합토 실험연구 (Experiments of Oyster-shell Mixed with Sand for Sand Compaction Pile)

  • 윤길림;윤여원;채광석;안영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62-169
    • /
    • 2004
  • In order to investigate a recycling possibility as a construction material of oyster-shells,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N-value, confined compression and shear strength for oyster shell mixed soils were quantitatively examin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oyster shell mixed soils are lighter than sand in weight, and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of shear strength with sandy soil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highly judged that crushed oyster-shell can be a substitute of sand as the SCP method.

  • PDF

에틸벤젠에 의한 굴폐각 혼합공시체의 압축강도 변화 특성 (Strength Change of Concrete with Crushed Oyster Shell by the Addition of Ethylbenzene)

  • 윤현석;이기호;박준범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03-116
    • /
    • 2002
  • 오염된 부지를 개발하는 경우 유기 화합물로 오염된 부지에 콘크리트 기초가 놓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콘크리트 경화는 유기화합물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유기화합물(에틸벤젠)을 혼합한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고 일축압축실험을 실시하였다. 콘크리트 공시체 제작 시 골재 대용재료로써 굴패각을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산업부 산물을 건설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이다. 또한 굴패각 공시체에 플라이애쉬를 첨가하여 유기화합물의 유무에 따른 강도변화 특성을 고찰하였다.

분쇄패각이 시멘트 모르터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ushed Shell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Mortar)

  • 김지현;정철우;이재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4-101
    • /
    • 2014
  • 굴과 꼬막과 같은 패각의 일부는 채묘종과 비료 등으로 재활용 되기도 하나, 대부분 인근 해안에 적치 되거나 불법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각의 기초물성을 측정하고 패각을 시멘트 모르터에 혼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패각을 25% 혼입한 시멘트 모르터의 경우 흡수율과 압축강도가 Plain과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반면 굴패각을 25% 혼입한 경우 Plain에 비해 압축강도가 35% 저하되었으며, 흡수율은 2배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굴을 제외한 나머지 패각을 25% 범위 내에서 시멘트 모르터에 혼입하여 사용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굴의 경우 다양한 혼입율을 적용한 추가 실험이 요구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