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Fiber

검색결과 1,309건 처리시간 0.028초

Study of the organic and mineral composition of living pupae of the wild silkworm Saturnia pyri for use as food additives

  • Shukurova, Zarintac Yusif;Khalilov, Zarbali Murad;Shukurlu, Yusif Hacibal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3권2호
    • /
    • pp.52-58
    • /
    • 2021
  • The article presents the results of the content of the chemical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the pupa of the wild silkworm Saturnia pyri belonging to the family Saturniidae, species of Lepidoptera. The nutritional value of silkworm Saturnia pyri pupae was evaluated, which contained 51% dry matter, 52.50% crude protein, 27.89% fat, 10.50% chitin fibers, 2.5% ash and 27 macro- and microelements and 25 mg alpha tocopherols in 100 g oil. The X-ray fluorescence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mineral elements in the pupa of the silkworm Saturnia pyri. It was revealed that the pupa of this type of silkworm contains 25 elements, of which the relative amount of K, Mg, Na, Ca, Al is much higher than other elements.

Potential to mitigate ammonia emission from slurry by increasing dietary fermentable fiber through inclusion of tropical byproducts in practical diets for growing pigs

  • Nguyen, Quan Hai;Le, Phung Dinh;Chim, Channy;Le, Ngoan Duc;Fievez, Veerl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574-584
    • /
    • 2019
  • Objec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including fiber-rich feedstuffs in practical pig diets on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and ammonia emissions from slurry. Methods: Three Vietnamese fiber sources were screened, namely cassava leaf meal (CL), cassava root residue (CR), and tofu by-product (TF). Accordingly, a control diet (Con) with 10% of dietary non-starch polysaccharides (NSP) and three test diets including one of the three fiber-rich feedstuffs to reach 15% of NSP were formulated. All formulated diets had the same level of crude protein (CP), in vitro ileal protein digestible and metabolisable energy, whereas the in vitro hindgut volatile fatty acid (VFA) production of the test diets was 12% to 20% higher than the control diet. Forty growing barrows with initial body weight at $28.6{\pm}1.93kg$ ($mean{\pm}standard$ deviation) were allocated to the four treatments. When pigs reached about 50 kg of body weight, four pigs from each treatment were used for a nitrogen balance trial and ammonia emission assessment, the remaining six pigs continued the second period of the feeding trial. Results: The TF treatment increased fecal VFA by 33%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p = 0.07), suggesting stimulation of the hindgut fermentation. However, urinary N was not significantly reduced or shifted to fecal N, nor was slurry pH decreased. Accordingly, ammonia emissions were not mitigated. CR and CL treatments failed to enhance in vivo hindgut fermentation, as assessed by fecal VFA and purine bases. On the contrary, the reduction of CP digestibility in the CL treatment enhanced ammonia emissions from slurry.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cassava and tofu byproducts through an increase of dietary NSP from 10% to 15% might stimulate fecal VFA excretion but this does not guarantee a reduction in ammonia emissions from slurry, while its interaction with protein digestibility even might enhance enhanced ammonia emission.

쌀의 품종, 쌀의 도정도, 누룩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The Qualities of Makgeolli (Korean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Rice Cultivars, Milling Degrees of Rice, and Nuruks)

  • 이윤지;이해창;황금택;김동호;김현정;정창민;최윤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85-179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분원료의 종류, 쌀의 도정도, 누룩의 종류를 달리하여 담근 막걸리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밀가루는 쌀보다 조지방과 조단백 함량이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낮았고, pH 및 총산함량은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기산은 각각 lactic acid와 succinic acid였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각각 4.0~5.6 mg/mL와 3.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기산 함량이 더 많았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리당은 glucose였으며,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76.41~54.53 mg/mL와 67.7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리당 함량이 더 많았다. 색도는 쌀 품종별로는 차이가 없었으며,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b 값은 양의 값으로 황색이 진했다. 관능평가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보다 기호도 점수가 더 높았다. 쌀의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acet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나, pH, 총산, 유리당, 색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쌀의 도정도는 과실향을 제외한 기호도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pH는 각각 4.29~4.65와 4.20~4.23으로 전통누룩으로 만든 막걸리의 pH가 더 높았으며, 총 유기산 함량도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3.5~6.3 mg/mL)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2.3~4.3 mg/mL)보다 높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9.44~73.34 mg/mL)가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6.45~59.75 mg/mL)보다 많았다. 색도는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보다 L, a, b 값이 높았으며, 관능적 기호도 점수는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만든 막걸리에 비해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보이나, 쌀의 품종에 의한 품질 차이는 없었다. 쌀의 도정도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은 향미의 관능적 특성 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도정을 많이 할수록 막걸리의 향미가 좋아졌다. 누룩 종류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분석 결과, 전통 누룩에 비해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이 더 좋았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도정도가 높은 쌀을 전분질 원료로 하고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막걸리를 담근다면 품질이 우수한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조사료원으로서 땅두릅(Aralia cordata Thunberg) 잎+줄기, 잎, 줄기 및 뿌리의 화학적 조성 및 반추위내 건물소화율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Ruminal Dry Matter Digestibility of Leaves+Stems, Leaves, Stems and Roots of Aralia cordata Thunberg as a Roughage Sources)

  • 김용익;이형석;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58-64
    • /
    • 1999
  • 반추동물사육을 위한 농산부산물의 조사료로써 새로운 개발 및 재활용을 위하여 이른 봄 새싹은 식물(나물)으로 이용하나 그 후 성장한 부위는 특별한 용도 없이 폐기되는 땅두릅의 잎과 줄기, 잎, 줄기 및 뿌리의 화학조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반추위 내 건물 소화율을 측정하여 부위별 수치를 비교하였다. 1. 땅두릅의 단백질 함량은 잎과 줄기(9.7%), 잎(12.4%), 줄기(5.1%) 그리고 뿌리(3.8%)로 나타났고(P<0.05), 각각의 조지방 함량도 3.05, 3.7%, 1.3% 및 2.1%로 나타났다(P<0.05). 2. 조섬유의 함량은 잎(15.0%) 및 뿌리(12.3%)가 줄기(40.3%)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3. 중성세제 섬유소 함량은 잎(30.2%)이 줄기 및 뿌리(60.0% 및 50.8%)보다 낮게 나타났으며(P<0.05), 산성세제 섬유소 함량은 잎(21.4%) 및 뿌리(18.3%)가 줄기(49.6%)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4. 칼슘함량은 잎(2.4%)이 줄기나 뿌리(0.97% 및 0.69%)보다 높았다. 그러나 인의 함량은 모두 유사한(0.25%, 0.19 및 0.35%) 경향이었다. 5. 시간별로 12, 24, 48 및 72시간 동안의 반추위 건물 소화율은 잎(38.9%, 65.9%, 79.8% 및 82.4%)과 뿌리(38.9%, 59.8%, 77.6% 및 78.5%)가 줄기(31.1%, 44.1%, 49.5 및 52.6%)보다 높았으며 잎의 소화율은 알팔파건초의 소화율(37.4%, 48.8%, 67.8% 및 71.8%)보다도 높았다. 그리고 소화율이 비교적 낮은 줄기의 소화율도 아카씨나무 파쇄물(12.6%, 18.2%, 21.6% 및 24.3%)보다도 월등이 높았다.

  • PDF

수확시기, 예건 및 싸라기 처리가 유기 청보리의 사초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Stage, Wilting and Crushed Rice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Silage Quality of Organic Whole Crop Barely)

  • 김종덕;이현진;전경협;양가영;권찬호;성하균;황보순;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34
    • /
    • 2010
  • 최근에 청보리 사일리지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이지만 유기축산을 위한 유기조사료의 생산과 품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 사일리지 품질 향상을 위하여 예건과 싸라기를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평가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12처리 3반복의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수확시기로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를 두었으며, 세구는 무처리, 예건, 싸라기 10%, 싸라기 15%를 두었다. 수확시 건물함량은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12.8%, 21.9% 및 29.8%로 증가하였다. 청보리의 건물수량은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10,346, 15,819 및 18,336 kg/ha였으며, TDN 수량은 6,288, 9,550 및 10,178 kg/ha였다. 유기 사일리지의 pH는 출수기, 유숙기 및 황숙기가 각각 4.70, 4.03 및 5.37로 유숙기가 가장 낮았다. 청보리의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조단백질, 조지방, NFC 및 TDN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NDF 및 ADF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조회분 함량은 유숙기가 가장 낮았다. 사일리지의 예건과 싸라기의 첨가는 조회분, NDF 및 ADF 함량을 감소시키고, NFC와 TDN 함량은 증가시켰다. 사일리지의 건물소화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하여 건물소화율이 증가하였다. 유숙기가 다른 수확시기보다 젖산과 총유기산 함량은 높고 낙산 함량이 낮아 총유기산 중 젖산함량이 가장 높았다.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한 젖산 함량 증가 효과는 출수기가 다른 수확기보다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기 청보리 사일리지 제조를 위한 수확적기는 유숙기 이었으며, 예건과 싸라기 첨가에 의하여 청보리 사일리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춘계 파종시기가 조.만생 연맥의 생장 , 사초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ing Seeding Dates on Growth , Forage Yield and Quality of Early and Late Maturing Oat Cultivars)

  • 김종림;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22
    • /
    • 1992
  • 본 시험은 조.만생 사초용 봄연맥의 봄파종시기가 생장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1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 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 되었으며, 만생 Cayuse 품종과 조생 Speed oat 품종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3월 15일.22일,29일, 4월 5일 ,12일)를 세굴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겨고는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파종기가 7일씩 늦어짐에 따라서 출수시작일은 3일에서 8일까지 빨라졌으며 조생 Speed oat 품종이 만생 Cayuse 품종에 비해서 14일이 빨랐다. 2. 수확시 사료가치는 조단백질(CP) 및 산성세제불용 섬유소(ADF),중성세제 불용 섬유소(NDF) 및 in vitro 가소화 건물(IVDMD)이 각각 Cayuse 품종이 19.6, 30.0, 44.9, 82.7%를 기록하였고, Speed oat 품종이 14.8, 33.3, 52.3, 71.2%를 기록하였다. 조단백질 함량과 in vitro 건물소화율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증가하였던 반면. 조섬유 함량은 감소하였다. 3. 5월 29일에 수확한 결과 평균 건물 수량과 IVDDM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만생품종인 Cayuse가 2,960kg. 2,2435kg, 572kg이었고, 저생품종인 Speed oat가 3,255kg,2298kg,475kg이었다. 파종기별로는 3월 15일 ,22일, 29일까지의 파종시 건물술량에 있어서 유의성이 없었고 그 이후에는 ha당 약1 ton의 수량감소가 있었다. 또한 연맥품종과 파종기간에 있어서 교효작용은 유의 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4. 최대 엽면적 지수 (LAI)와 엽적(LAID)은 파종시기가 이를수록 높았고 생육상태가 진행될수록 만생 Cayuse 품종이 소생 Speed oat 품종에 비해소 2~3배가 높게 나타났다. 5. 파종시기가 이를수록 작물생장률 (CGR)은 만생 Cayuse품종의 경우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조생 Speed oat 품종은 5월 29일 이후에 감소함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Speed oat 품종의 순동화률 (NAR)에서도 나타났다. 이상에서 얻어진 시험결과를 종합하면 봄연맥은 조생품종을 선택하여 3월 중에 파종하는 것이 사초로서의 생산에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Regional Comparison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 Kwon, Soo Jeong;Park, Tae Yeon;Lee, Moon Soon;Boo, Hee Ock;Cho, Gag Yeon;Woo, Sun Hee;Cho, Jin Woong;Lee, Hee Doo;Cho, Seong-Woo;Kim, Hag Hy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48-252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rowth, inorganic components, and proximate compon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grown in 10 regions of Korea for selecting superior species and breeding by crossing. Among the all tested lines, the shortest plant height (217.12 cm) was observed from the Ulleungdo region line (No. 4) while the longest (273.9 cm) was observed from Hwasun region line (No. 9). In addition, the lines of central and northern region (No. 1~No. 7) tend to have shorter plant height than those of southern region (No. 8~No. 9) except Jejudo region line (No. 10). Flowering tends to be late towards southern region, and lines in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were started flowering about 2 weeks earlier than those in southern regions. However, the heaviest root weight was 13.1 g, found in only Jejudo line (No. 10)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other regions which have a range of 8.3~11.0 g. The inorganic components were varied in each line, however, proportion of macroelements, such as K, Ca, and P, was the largest for every line. Especially for Heongseong region line (No. 2), had larger proportion of macroelements than the others. There was a difference of proximate compositions of Codonopsis lanceolata, except the moisture content, among all regions, however, it was generally shown that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1.31~3.76%) and crude fiber (2.18~3.12%) was the highest.

사초용유채 (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 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IV. 파종기가 사초용 유채의 생육특성 , 수량 및 영양가치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oductivity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ape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IV. Influence of sowing time on growth, yield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ape.)

  • 안계수;권병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3-107
    • /
    • 1989
  • 남부지방에 적합한 사초용유채의 파종적기를 구명코자 다수성 품종으로 선별된 Velox를 공시하여 실험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분기수, 엽수등의 수량구성 형질은 9월중 하순에 파종한 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2. 생초수량과 건물수량도 역시 9월 중하순에 파종한 구가 증수되었다. 3. 조필자질 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높았고 NDF, ADF, cellulose 및 lignin 등의 조직유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저하되었다. 4. IVDMD은 일정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고 가소화건물수량은 9월 중하순에 파종한 구가 높았다.

  • PDF

추출용매에 따른 참죽나무 순 분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Cedrela sinensis Tender Leaf Powder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 김민정;한영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9-10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식품 소재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참죽나무 순을 동결건조하여 일반성분과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고,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얻은 열수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능을 살펴보았다. 참죽나무 순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분석 결과, 조단백질, 조섬유, 칼슘과 칼륨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는 참죽나무 순 분말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함량이 더 높았으며,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과 FRAP 또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죽나무 순 분말은 영양성과 식이섬유소의 기능성이 높아 식품의 재료로 이용가능성이 높으며, 참죽나무 순 분말로부터 유용성분 용출 및 기능성 증대를 위해서는 7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대두분 품질에 미치는 가열처리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soybean flours)

  • 이성갑;김준평
    • 기술사
    • /
    • 제17권4호
    • /
    • pp.28-39
    • /
    • 1984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development of a processing method of soybean into full-fat or defatted flour, using two varieties of soybean (kwangkyo produced in Korea and Bragg produced in India) Samples were subjected to dry dehulling, size reduction and wet heat treatment processes to make soybean flours. The quality of soybean flour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rude fiber content of dehulled soybean was under 3.0% which indicated satisfactory dehull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fibre content between two varieties. 2. When dehulled soybean was cracked into soy grits by a hammer mill, 98.71∼98.86% of the soy grit was in the range of 10∼18 mesh which was the optimum size of particle for quick and uniform penetration of heat into the intra-particle air spaces. 3. Moisture content of soy flour after steam treatment at 15 psig for 5 to 30 min was only 0.29∼1.68% which did not hinder the next milling operation. 4. From the color analysis of soy flours, it was observed that the dominant wavelength for all the samples are in a very narrow range from 575 to 581 nm and the color variation was from yellow to yellowish orange. Twenty to twenty five % higher reflectance was observed in the defatted flours than full fat flours. The % chroma of the defatted flour slightly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steaming of soy grits increased, whereas that of the full-fat flour did not. 5. The protein extractability in the defatted flour at pH 7.6 showed progressive decrease in solubility from 48.40% (Bragg), 75.20% (kwangkyo) for untreated flours to 9.75% (Bragg), 26.27% (kwangkyo) for 30 min steaming. But Kwangkyo variety showed twice higher protein extractability than Bragg varie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