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Fiber

검색결과 1,311건 처리시간 0.022초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n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 한귀정;신동선;장명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80-68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생식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땅두릅이 적정 출하시기가 끝나면 기온상승으로 인하여 생식용으로 부적합한 제품이 다량 발생하고, 땅두릅 잎 또한 가축의 사료로 쓰이거나 그대로 버려지고 있어 가공적성에 맞는 상품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이용가치를 높이는 방안으로 땅두릅과 땅두릅잎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 비타민 모두에서 비교적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일반성분에 있어서 땅두릅은 수분이 94.50%로 나타났으며 탄수화물이 2.20%, 조섬유가 0.90%로 나타났고 조단백질은 1.60%, 조지방은 0.20%, 회분은 0.70% 이었다. 또한 땅두릅잎은 수분이 85.70%, 탄수화물이 7.00%이었고 조섬유가 1.50%, 조단백질이 4.30%, 조지방이 0.30%, 회분이 1.20%로 나타났다. 특히 무기성분은 K가 땅두릅에 264.00 mg%과 땅두릅잎에 172.00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음으로 Ca, P, Na, Mg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은 베타카로틴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비타민 C의 함유량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포닌 함량은 땅두릅이 63.7 mg/g, 땅두릅잎은 63.5 mg/g으로 비교적 많은 조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었다. 항산화활성능은 페놀성 화합물이 각각 58.25, $79.32{\mu}g/mg$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11.25, $15.36{\mu}g/mg$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32.23, $28.06{\mu}g/mg$으로 우수한 소거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이섬유 함유량은 땅두릅의 경우 총 식이섬유 함량이 2.13%, 땅두릅잎은 총 식이섬유가 5.98%로 비교적 높은 식이섬유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총 클로로필 함량도 땅두릅이 92.58 mg%와 땅두릅잎이 147.25 mg%로 높게 함유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Effect of Cattle Breed on Meat Quality,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Lipid Oxidation and Fatty Acids in China

  • Xie, Xiangxue;Meng, Qingxiang;Cui, Zhenliang;Ren, Lip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6호
    • /
    • pp.824-831
    • /
    • 2012
  • The objective was to compare meat quality,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lipid oxidation and fatty acids of Limousin (LIM), Simmtental (SIM), Luxi (LX), Qinchuan (QC) and Jinnan (JN) offered the same diet in China. After finishing, eight bulls from each breed were randomly selected for slaughter at 18.5 months old. Longissimus dorsi (ld) muscle was taken from the carcass for meat quality evaluations. Breed had little effect on most of meat and fat color parameters except for Hue and $b^*$ in which QC had lower values. LIM showed higher pH (24 h) and better water holding capacity than other breeds. LIM showed the lowest dry matter content but the highest crude protein. LX and LIM had higher percentage and density of red muscle fiber than other breeds. Lipid oxid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LIM than in QC, with the LX, SIM and JN having the intermediate values. Compared to other four breeds, QC provided the highest value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n-6 fatty acids and n-3 fatty acids. In conclusion, LIM scored better on most of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however, local breeds such as LX and QC also had better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and better fatty acids composition.

곡류와 두류를 혼합한 잡곡의 취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by Adding Grains and Legumes)

  • 임상빈;강명수;좌미경;송대진;오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2-5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관능적인 품질과 영양적인 균형을 갖춘 취반용 반가공 혼합잡곡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도에서 특산물로 생산되는 밭벼찹쌀, 보리쌀 및 검은차좁쌀 등, 3가지 잡곡과 팥, 서리테, 녹두 등 3가지 두류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고, 잡곡원료의 혼합비율에 따른 취반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서리태가 각각 31.6%와 16.16%로 가장 높았으며, 조회분은 곡류에비해 두류가 3~11배, 조섬유는 5~7배 높았다. 철분 함량은 서리태가 7.8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칼슘 함량은 서리태와 녹두가 모두 71.0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인 함량은 좁쌀과 녹두가 가장 높았고, 칼륨은 두류가 곡류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팥이 934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비타민 B$_1$과 B$_2$는 곡류에 비해 두류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나이아신 함량은 녹두가 5.51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좁쌀은 3.77 mg/100 g으로 서리태와 팥에 비하여 높았다. 혼합잡곡을 취반한 후 밥의 취반특성을 측정한 결과, 잡곡원료의 침지 시간에 따른 수분 흡수율은 침지 시간5분 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수분 흡수율은 서리태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보리쌀, 밭벼찹쌀, 좁쌀, 일반미 순이었다. 취반 후 경도는 수분 흡수율이 가장 높은 서리 태가 142.8 g/$cm^2$로 일반미의 169.4 g/$cm^2$보다 낮은 반면, 보리쌀인 경우는 206.3 g/$cm^2$로 일반미보다 높았다. 가수량의 증가에 따라 취반에 소요되는 시간은 증가하였으나, 밥의 경도는 감소하였다 서리태와 팥의 배합비율을5~10%로 달리하여 취반한 후 밥의 일반성분, 색도, 경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서리태와 팥의 비율이 높을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한 반면, 조단백질, 조회분, 조섬유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밥의 색은 서리태와 팥의 비율이 높을수록 더 짙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경도는 증가하였다 서리태와 팥의 배합비율이 8과 10%인 혼합잡곡밥은 관능적 특성에 있어서 색, 구수한 맛, 단맛,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우수하였다.

작약(芍藥)의 뿌리굵기에 따른 성분함량(成分含量) 차이(差異) (Difference in Contents of Chemical Components in Radix of Paeonia lactiflora Pall. with Root Diameters)

  • 강광희;정명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9-153
    • /
    • 1994
  • 재배(栽培) 작약(芍藥) 정식(定植) 4년차(年次)인 의성품종(Paeonia lactiflora Pall.)을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이 가장 왕성(旺盛)한 시기(時期)인 6월(月)에 채굴하여 뿌리굵기에 따라 $30{\pm}2mm,\;17{\pm}1mm,\;12{\pm}1mm,\;7{\pm}1mm$로 구분(區分)하여 일반화학성분(一般化學成分)과 주(主) 약효성분(藥效成分)인 paeoniflorin 함양(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작약근(芍藥根)의 건조(乾燥) 후(後) 수축율(收縮率)은 약(約) 30%이며. 뿌리의 굵기에 따라 그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외관상(外觀狀) 우수(優秀) 생약재(生藥材)로 평가(評價)되는 $17{\pm}1mm$ 굵기는 $7{\pm}1mm$굵기에 비해 paeoniflorin의 함양(含量)은 1.0% 낮으나 총당(總糖) 및 전분(澱粉)의 함양(含量)은 8%, 5%가 각각(各各) 많았다. 3. Paeoniflorin 함양(含量)은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섬유(粗纖維) 함양(含量)과 정(正)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나타내었고, 조단백질(粗蛋白質)의 함양(含量)은 총당(總糖) 및 전분(澱粉)과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나타내었다.

  • PDF

재래종과 '으뜸' 도라지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Domestic Diploid Variety and Tetraploid 'Etteum' Variety in Platycodon grandiflorum)

  • 강다경;김은지;박예지;김태정;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6-201
    • /
    • 2017
  • 본 연구는 으뜸도라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을 일반도라지와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인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및 수분 함량은 일반도라지가 높았고 조단백질, 탄수화물은 으뜸도라지가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으뜸도라지가, 환원당 함량은 일반도라지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산도는 일반도라지가 2.74%로 으뜸도라지 2.34%에 비하여 높았다. 색도는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일반도라지가 3.35로 으뜸도라지 2.02보다 높았고 나머지 명도(L), 황색도(b)는 으뜸도라지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포닌 함량은 으뜸도라지가 2.01%로 일반도라지 0.88%보다 약 2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총페놀 함량은 으뜸도라지(0.227 mg/mL)가 일반도라지(0.100 mg/mL)보다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_{50}$ 값(일반도라지 59.32 mg/mL, 으뜸도라지 19.44 mg/mL) 및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의 $LC_{50}$ 값(일반도라지 274.81 mg/mL, 으뜸도라지 240.69 mg/mL)은 으뜸도라지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으뜸도라지는 일반도라지보다 조단백이 풍부하고 조사포닌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총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에서 일반도라지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하므로 가공식품 또는 건강기능 식품소재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국내 및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의 영양성분 및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ent Composition and Quality of the Root of Allium hookeri Grown in Korea and Myanmar)

  • 박주영;윤경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44-548
    • /
    • 2014
  • 국내에서의 재배 및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삼채의 식품학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삼채의 주요 수입국인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와 영양성 및 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조회분, 조지방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국내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단백질과 조섬유의 함량은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삼채뿌리의 유기산과 유리당 함량 모두 국내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국내 및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 모두 argin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필수 및 비필수아미노산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에 비해 국내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삼채뿌리에는 총 11가지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중 칼륨(K), 마그네슘(Mg), 칼슘(Ca)의 함량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국내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에 비해 높은 무기질 함량을 나타냈다. 황과 조사포닌 함량은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에 비해 국내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약 2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삼채는 높은 조사포닌 함량 및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국내 하동에서 재배된 삼채뿌리가 미얀마 샨주 지역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에 비해 더 많은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근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Nelumbo nucifera G. powder)

  • 이은준;김형일;홍금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4-39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elumbo nucifera G. (NN) powder on cooki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cookies were made with various NN powder levels (1, 3, and 5%). Crude fiber, crude ash, and the Mg contents of cookies with added NN powder were higher in concentration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Salinity of NN-powder added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it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salin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were observed for specific volume, but the width determined by water content in the dough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NN powder increased. The L-value of the cookie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a- and b-values were the highest for the 5% substituted NN flour.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cookies, scores for color, flavor, and textu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NN powder. The overall acceptance of the 3% NN added cookie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1 and 5% cookies.

Orchargrass 우점초지에서 초장에 의한 생산량과 사료가치 추정 (Estimation of Pasture Production and Nutritive Vallue in Relation to Plant Heigth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

  • 박문수;서성;김하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9-174
    • /
    • 1991
  • For simple estimation of pasture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in relation to height of orchardgrass (Ductylis glomumtu L.),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pasture mixture dominated by orchardgrass. The samples of grasses were harvested at the heights of about 30, 40, 50, 70 and 90 cm at the first harvest under different percentage of 100 (grass coverage): 0 (bareland), 80 : 20, 60 : 40, 40 : 60 and 20 : 80, respectively. As the height of orchardgrass was increased, fresh and dry matter (DM) yiel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DM yield (Y) and height (X) was Y=ll. 5390 X- 146.60 (r=O. 9414 * * ). Also the higher bareland, the lower pasture production was observed. As the plant height at the first harvest was increased, the contents of crude (C) protein, C. fat, C. ash and relative feed value were markedl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C. fiber, NFE, NDF. ADF, cellulose and lign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respectively. The higher height, the lower DM digestibility was found. The equation between digestibility (Y) and height (X) was Y=- 0.2193 X+ 80.99 (r = - 0.9862**). Considering DM yield, digestibility and crude protein, the optimum height of orchardgrass at the first harvest was 59 to 67crn for better pasture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 PDF

밀기울 첨가수준이 알팔파 Silage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Quality of Alfalfa Silage by Different Wheat Bran Mixing Levels)

  • 신재순;차영호;이혁호;김정갑;진현주;정기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5-229
    • /
    • 1996
  • To find out the optimum mixing level of wheat bran to improve the quality of 1st cut Alfalfa silage, this trial was canied out at two-year's Alfalfa monoculture field of the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Suwon, Korea, from May 1955 to Oct. 1995. The results are as follows. I.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heat bran mixing level, DM content was high from 23.19%(nil) to 35.70%(40% mixing), pH of silage were low from 5.51(nil) to 4.45(40% mixing).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at 20% mixing or more(P>0.05). 2. Also it was appeared to the same trend at Lactic acid content and in the Flieg's score of silage it was highest as 59 in the 20% mixing level. 3. In chemical component of silages there were not significant at 20% mixing or more in crude protein, crude fiber and ashes content, 30% mixing or more in ether extract and 10% or less in NFE content(P>0.05). 4. TDN, NEL and StE contents were low as adding level was increased. respectively,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P>O.OS).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desirable mixing level of wheat bran to lstcut Alfalfa to improve the quality of silage was 20% of fresh weight.

  • PDF

Voluntary Intak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Oak Leaf Hay and Commercial Mixed Ration

  • Jeon, B.T.;Moon, S.H.;Lee, S.M.;Kim, K.H.;Hudson, R.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5호
    • /
    • pp.702-705
    • /
    • 2003
  • Forest by-product silage (FPS) comprised of foliage, shrubs, and wild grasses was prepared to examine feeding value as sole roughage source for spotted (sika) deer. This diet was compared with imported oak leaf hay (OLH) and a commercial mixed ration (CMR) in digestion balance trials with spotted deer. Dry matter intake was highest (p<0.05) on the OLH, whereas intakes of the FPS and CMR were similar (p>0.05). Digestibility of dry matter was highest (p<0.05) for CMR.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was highest in CMR and lowest in OLH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mong diets. Average daily gain, digestible dry matter intake and digestibility of crude fib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diets. Nitrogen intake, urinary and digestible nitrogen were highest (p<0.05) in CMR. However, nitrogen reten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sequently, FPS is a good roughage source for deer having high digestibility, dry matter intake and availability of nitro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