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Height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33초

단일 액적의 고체 표면 액막과의 충돌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enomena of Droplet Impact onto a Liquid Film)

  • 고천석;유준호;최낙완;강보선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13
  •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study is presented to investigate the dynamic behavior of impacting droplet onto a liquid film. The main parameters are the droplet velocity and the thickness of the liquid film. Photographic images are presented to show the formation of crown, central jet and disintegrating droplet from the central jet. The emphasis is on presenting the time evolution of crown diameter, crown height, central jet height and the size of disintegrating droplet from the central jet. The diameter and height of crown are higher for faster droplet and thinner liquid film.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central jet are higher for faster droplet and thicker liquid film. The size of disintegrating droplet from the central jet heavily depends on the droplet velocity; Larger droplet is produced with faster falling droplets.

내부연결방식 임플랜트 시스템의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INTERNALLY CONNECTED IMPLANT SYSTEMS)

  • 김유리;조혜원;이재봉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5-102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Currently, there are some 20 different geometric variations in implant/abutment interface available. The geometry is important because it is one of the primary determinants of joint strength, joint stability, locational and rotational stability. Purpose: As the effects of the various implant-abutment connections and the prosthesis height variation on stress distribution are not yet examined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different types of implant-abutment connection and the prosthesis height using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aterial and method. The models were constructed with ITI, 3i TG, Bicon, Frialit-2 fixtures and solid abutment, TG post, Bicon post, EstheticBase abutment respectively. And the super structures were constructed as mandibular second premolar shapes with 8.5 mm, 11 mm, 13.5 mm of crown height. In each model, 244 N of vertical load and 244 N of $30^{\circ}$ oblique load were placed on the central pit of an occlusal surface. von Mises stresses were recorded and compared in the crowns, abutments, fixtures. Results: 1. Under the oblique loading, von Mises stresses were larger in the crown, abutment, fixture compared to the vertical loading condition. 2. The stresses were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crown height under oblique loading but showed little differences with three different crown heights under vertical loading. 3. In the crown, the highest stress areas were loading points under vertical loading, and the finish lines under oblique loading. 4. Under the oblique loading, the higher stresses were located in the fixture/abutment interface of the Bicon and Frialit-2 systems compared to the ITI and TG systems. Conclusions: The stress distribution patterns of each implant-abutment system had difference among them and adequate crown height/implant ratio was important to reduce the stresses around the implants.

Comparison of Growth and Allometric Change of Stand and Dominant Trees in Pinus koraiensis Plantation over 34 Years

  • Seo, Yeongwan;Lee, Daesung;Chhorn, Vireak;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235-241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rowth pattern of Pinus koraiensis plantation over 34 years, focusing on DBH, height, basal area and allometric change. Total increment (TI), mean annual increment (MAI)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stand and dominants. Total increment and mean annual increment of both DBH and height of dominants were bigger than those of stand. The difference was apparently shown bigger in DBH than height. Unlike DBH and height the total increment and mean annual increment of basal area per hectare of dominants were distinctively smaller than those of stand. Furthermore MAI of dominant was increasing until age 42, while MAI of stand increased at early ages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after culmination like MAIs of DBH and height. MAIs of basal area of dead trees at each measurement tended to increase until early age (18 years in this study), while it reached a peak and gradually decrease after that (21 years in this study).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BH and height tended to decrease as both dominant and stand age and the difference between dominant and stand was not clearly shown over the measurement perio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BH and crown width tended to decrease as the trees age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dominant were clearly shown smaller than that of st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height and crown width also was found to be similar to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BH and crown. Meanwhile correlation coefficient of height and crown width dropped more radically than coefficient of DBH and crown width as the trees age.

해상 환경 및 선박 특성을 반영한 마루높이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of Crown Height given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and Ship Characteristics)

  • 김승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8-444
    • /
    • 2018
  • 최근 국내에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이에 따른 태풍 및 해일의 증가로 인해 22개항을 선정하여 방파제 보강 및 방호시설 설치 등의 공사를 시행중에 있다. 또한, 지속적인 선박대형화로 인해 대형선 접안을 위한 수심 준설, 접안부두 확장 등의 항만 공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접안선박의 안전한 계류와 밀접한 영향이 있는 마루높이의 상향 및 보강 등의 뚜렷한 공사 계획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외 마루높이 설계기준을 분석하고, 환경 및 선박 요소로 나누어 마루높이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을 개발하였다. 특히, 선박 평가지표의 경우 각 요소별로 국내 외 규정에 의거하여 4단계로 설정하고, 각 단계별로 평가값을 부여하여 평가값의 곱으로 마루높이 안전도를 평가하였다. 10만톤급 크루즈선의 계류안전성 시뮬레이션 결과, 적정 최저 마루높이 기준은 약최고고조위에서 3 m 상향된 값인 $H_3$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선박 특성을 반영한 부두 마루높이 기준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지형과 바람이 덕유산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의 수관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topography on the crown growth of Picea jezoensis under different wind conditions on Mt. Deokyu, Korea)

  • 한아름;정종빈;박필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7-285
    • /
    • 2019
  • 아고산 지역에서 지형은 바람과 일사, 토양수분함량 등에 영향을 주며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아고산 지역에서 바람막이 지형이 가문비나무의 수관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식지를 사면과 미지형에 따라 구분하고, 수고와 수관생장을 조사하였다. 아고산 지역의 가문비 나무는 서식지 내 바람의 영향과 미지형에 따라 수고 생장과 수관 생장이 다르게 나타났다. 바람맞이 사면에서 수고 생장과 수관생장률이 낮았고, 바람맞이 사면의 홀로 돋아져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 노출된 미지형에서 자라는 나무는 바람의지 사면의 주변식생과 함께 자라는 나무보다 수관 생장이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 바람의 영향이 강한 곳에서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수관 생장이 억제되어 수관이 깃발형으로 발달하였다. 바람맞이 사면에서도 바람에 노출된 미지형 1 유형은 바람막이 역할을 하는 지피물이 존재하는 미지형 3 유형에 비해 수관의 기형이 심하였다. 본 연구는 바람이 심한 아고산 지역의 지형과 생장의 관계를 분석하여 가문비나무의 분포와 생장에서 바람막이 지형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아고산 서식지 관리와 복원을 위해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사면과 지형별 분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솔잎혹파리 피해임지내 수목의 외형적 인자와 관련한 수세변동과정 해석 (The Study on Vigor and External Factors of Tree in Damaged Pine Stands by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이찬용;김종국;채희문;이상배;원대성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45-52
    • /
    • 2001
  • 본 논문은 솔잎혹파리 피해임지에서 수목의 외형적인자(수고, 수관폭, 흉고직경, 지하고)와 shigometer를 이용한 전기 저항치 ($k{\Omega}$)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외형적인자와 저항치간의 관계는 수고, 수관폭, 흉고직경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하고는 뚜렷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고, 수관폭, 흉고직경은 큰 수목이 전기저항치가 낮았고(수목의 활력이 높음) 작은 수목이 전기저항치가 높았다(수목의 활력이 낮음). 솔잎혹파리 피해임지의 고사목과 생존목을 비교하면 고사목이 생존목에 비하여 수관폭과 흉고직경의 크기는 작았고, 지하고는 높았다. 전기저항치를 3등급으로 구분 한 결과(< $14{\Omega}$, 생존가능성 양호, $14{\sim}20{\Omega}$, > $20k{\Omega}$고사 가능성 있음), 외형적인자의 크기는 낮은등급(< $14{\Omega}$)에서 수고, 수관폭, 흉고직경이 컸으며, 지하고는 낮았다. 조사한 외형적인자와 수세와의 관계를 직선회귀 방정식으로 산출한 결과 Y=-0.572${\times}$수고-1.163${\times}$수관폭-0.242${\times}$흉고직경+0.757${\times}$지하고+25.765이였으며 이들의 회귀식은 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된다.

  • PDF

치관수복물의 형태와 치은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wn Contour and Gingival Response)

  • 양홍서;장완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1권5호통권168호
    • /
    • pp.415-423
    • /
    • 1983
  • A total of 202 full coverage crowns from 31 patients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crown contour and gingival response. Every experimental crown has its contralateral natural tooth for its control group. Gingival Index and buccolingual width of the crowns were measured o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1. Most of the crown restorations were overcontoured and the increments were servere at cervical and height of contour area. 2. Height of contour and contact point of the restored crown were located near cervical area. Besides, most crowns had narrow embrasure with wide contact area. 3. Gingival Index around crown restoration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4.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Gingival Index and restored material or restored period was not verified at 5% significant level. 5. When grouping the artificial crowns into overcontoured, normal contoured, and undercontoured group by their width increment, the gingival inflammation was the severest in the overcontoured group and the mildest in the undercontoured group.

  • PDF

소나무 수관 부위별 연료량 추정식 개발 및 수관연료밀도 분석 (Allometric Equations of Crown Fuel Biomass and Analysis of Crown Bulk Density for Pinus densiflora)

  • 이병두;원명수;김선영;윤석희;이명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91-396
    • /
    • 2010
  • 수관화 위험성 평가에 필요한 소나무 수관층 연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관 부위별로 연료량을 추정할 수 있는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고, 수관연료밀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팔공산의 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10본의 소나무를 벌채하고, 수간, 가지, 잎 부분의 고사여부와 가지의 굵기 별로 구분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대생장식은 흉고직경(D) 또는 흉고직경과 수고(H)를 이용하는 회귀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평균적으로 추정식 lnWt=${\alpha}+{\beta}lnD+{\gamma}lnH$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고(${R^2}_{adj}$=0.835-0.996) 표준추정오차가 가장 낮았지만(SEE=0.074-0.638), 잎과 작은 가지 항목에서는 추정식들간 결정계수 및 표준추정오차의 차이가 미미하였다. 각 부위별 연료량을 수관체적으로 나눈 수관연료 밀도는 잎만을 고려했을 때 0.067 kg/$m^3$, 잎과 직경이 0.5 cm 이하인 가지까지 포함했을 때 0.097 kg/$m^3$로 나타났다. 흉고직경이 증가함에도 잎과 잔가지 부위의 수관연료밀도 증가폭은 미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