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dsourcing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초

크라우드소싱 기반 문장재구성 방법을 통한 의견 스팸 데이터셋 구축 및 평가 (A Crowdsourcing-Based Paraphrased Opinion Spam Dataset and Its Implication on Detection Performance)

  • 이성운;김성순;박동현;강재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38-343
    • /
    • 2016
  • 웹이 정보 교환의 주된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온라인 리뷰의 중요도가 증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올바른 의사결정을 저해하는 의견 스팸 이슈가 부각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분석 및 학습에 필요한 기준 데이터셋의 부족함과 한계점들은 관련 연구의 발전을 더디게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실 리뷰를 모사한 새로운 형태의 Paraphrased Opinion Spam(POS) 데이터셋을 소개한다. 우리는 실제 스패머들이 스팸을 작성할 때 실제 리뷰를 참고한다는 경향에 착안하여, 실제 리뷰어들이 작성한 리뷰를 의역하는 과정을 통하여 본문에 포함되어 있는 사실 정보와 경험을 담은 스팸 데이터 셋을 생성하였다. 실험 결과, 새롭게 생성된 POS 데이터셋이 언어학적으로 실제 리뷰들과 유사하여 스팸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분류 시 기존의 데이터셋들보다 더 분류하기 힘들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데이터의 학습량에 따라서 스팸 리뷰의 분류 정확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데이터의 양이 스팸 분류 모델 성능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화지역에 대한 갱신주기별 모니터링 운영방안 (Monitoring Management Plan for Changed Region with respect to Revision Periods)

  • 한유경;염준호;김용일;이병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01-410
    • /
    • 2013
  • 최근에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변화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갱신을 수행하여 정보의 최신성을 확보하고 보다 정확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변화지역에 대한 갱신주기별 최적의 모니터링 운영방안을 도출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갱신주기를 실시간갱신과 주기갱신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한 대표적인 모니터링 방법의 특성과 현재 우리나라의 적용현황에 대해 서술하였다. 각 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파악하여 실무 적용 가능성을 평가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실시간갱신과 주기갱신 각각에 대한 최적의 모니터링 운영방안을 도출하였다.

한국어 극성 사전 구축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감성 단어 극성 태깅 게임 (A Crowdsourcing-based Emotional Words Tagging Game for Building a Polarity Lexicon in Korean)

  • 김준기;강신진;배병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35-144
    • /
    • 2017
  • 감성 분석은 글을 통해 작성자의 주관적인 생각이나 느낌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효과적인 감성 분석을 위해서는 감성 단어 극성 사전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한국어 극성 사전 구축을 위해 우리가 개발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게임을 소개한다. 먼저, 크롤러를 이용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말뭉치들을 수집했고, Twitter 형태소를 이용해 수집한 말뭉치를 형태소별로 분류하고 단어화했다. 이 단어들은 모바일 플랫폼 기반 태깅 게임 형태로 제공되어 게임플레이를 통해 플레이어들이 자발적으로 단어들의 극성을 선택하고 결과가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되도록 게임이 설계되었다. 현재까지 약 1200여개의 단어들의 극성을 태깅하였으며, 향후 좀 더 많은 감성 단어 데이터들을 축적함으로써 특히 게임 도메인에서 한국어 감성 분석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 연관 디자인} 행렬을 이용한 감성 디자인 추천 (Social Network based Sensibility Design Recommendation using {User - Associative Design} Matrix)

  • 정은진;김주창;정호일;정경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13-318
    • /
    • 2016
  • 현대사회에서 추천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에서 소셜 네트워킹으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크라우드소싱과 소셜 네트워킹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 추천을 서비스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기반 시스템은 메모리와 모델 기반 협력적 필터링을 이용한 추천 서비스 제공 방식과 목적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연관 디자인} 행렬을 이용한 감성 디자인 추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기반에서 {사용자-연관 디자인} 행렬을 구성하고 메모리 기반 협력적 필터링을 이용하여 감성 디자인을 추천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평가는 정확도와 재현율 검증을 진행한다. 정확도의 검증은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추천 적용유무에 따른 F-measure를 사용한다.

인터넷을 활용한 대중협업에 의한 디자인 가능성 연구 - 사용자 참여 웹사이트와 문헌 연구 - (Towards to Collective Design Activity through Mass Collaboration: A Review of Relevant Websites and Articles)

  • 김대업;이건표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1-20
    • /
    • 2011
  • 본 논문은 온라인 참여를 통한 문제 해결 기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음에 따라, HCI영역의 한 부분인 디자인행위가 온라인 시스템 기반의 대중협업기법(Mass Collaboration)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지 여부를 탐색한 연구에 관한 논문이다. 문헌 연구와 온라인 웹사이트를 수집 분석한 결과, 디자인 행위의 주요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비교하였을 때, 디자인 행위가 온라인 참여행위를 통해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참여는 Web 2.0의 발전을 통해 많은 수의 대중들이 의사 개진과 의사 결정을 하는데 유용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게 된 덕분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단순히 일반 참여자가 대중참여기법을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전문 디자이너의 디자인 참여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없을 것이라는 결과도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 영역의 문제 해결이 대중들의 판단과는 다른 경험과 전문성을 갖고 있어야 정확한 결과를 낼 확률이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크라우드소싱 기반 이미지 태깅 시스템 구축 연구 (Development of an Image Tagging System Based on Crowdsourcing)

  • 이혜영;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7-320
    • /
    • 2018
  • 본 연구는 이미지에 대한 접근 및 검색을 향상시키고, 이미지에 대한 설명 제공 도구로서의 태그를 효과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태그를 생성하는 두 가지 방법인 휴먼 태깅과 머신 태깅의 특징을 조사하고 휴먼 태그와 머신 태그의 속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머신 태그는 일반적 속성이 가장 높았으며, 특정적 속성과 시각적 요소는 일부 나타났고, 추상적 속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휴먼 태그도 일반적 속성이 가장 높았으나 휴먼 태그 생성자가 명칭을 알 수 있는 객체 및 장면에 대해서는 특정적 속성의 비중이 높았으며, 감정과 정서, 추상적 개념의 주제뿐 아니라 사건, 장소, 시간, 관계 등이 다양한 태그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성된 태그 집합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개선하기 위한 트레이닝 데이터세트를 구성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의 제도적인 문제점과 해결방안 (Problems and Solutions of the Korean Bug Bounty Program)

  • 박혜성;권헌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53-70
    • /
    • 2019
  • As information security becomes more important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radually emerges, an efficient and effective way to find vulnerabilities in information systems is becoming an essential requirement of information security. As the point of the protection of current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of the future industry, the Korean government has paid attention to the bug bounty, which has been recognized for its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nd has implemented through the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s S/W vulnerability bug bounty program. However, there are growing problems about the S/W vulnerability bug bounty program of the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which has been operating for about 7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in Korean bug bounty polici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g bounty progra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policy to activate the bug bounty like changes in the government's approach utilizing the market.

SciBabel: a system for crowd-sourced validation of automatic translations of scientific texts

  • Soares, Felipe;Rebechi, Rozane;Stevenson, Mark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8권2호
    • /
    • pp.21.1-21.7
    • /
    • 2020
  • Scientific research is mostly published in English, regardless of the researcher's nationality. However, this growing practice impairs or hinders the comprehension of professionals who depen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o provide adequate care for their patients. We suggest that machine translation (MT) can be used as a way of providing useful translation for biomedical articles, even though the translation itself may not be fluent. To tackle possible mistranslation that can harm a patient, we resort to crowd-sourced validation of translations. We developed a prototype of MT validation and edition, where users can vote for that translation as valid, or suggest modifications (i.e., post-editing the MT). A glossary match system is also included, aiming at terminology consistency.

Interaction of the State Authority and Business Structures in the In novative Development of the State Local Governance and Self-Governing in Kazakhstan

  • Karlygash, Mukhtarova;Laura, Ashirbekova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7-34
    • /
    • 2015
  • The authors consider,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s activity, the improvement of decisions' quality depends on implementation of modern innovative technologies through activation the direct and feedback connection between public authority system and the business -community, through increasing the level of their collaboration by participating in solving main social problems and discu ssing innovative projects (initiative) according questions about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country, improving the system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

트위터의 재난정보 자동 추출 매시업 연구 (Study of Mash-up Gathering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Twitter)

  • 서태웅;김창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5-516
    • /
    • 2011
  • 재난상황에 활용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시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정보 전달 목적으로만 활용하고 있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클라우드 소싱 방식을 도입했다. 최종적으로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되는 가장 신속한 재난 정보를 활용하여 전파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 매시업의 설계는 기존에 활용되고 있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재해정보를 제보하는 방식과 차별화되며, 결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난 및 재해 상황 전파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 수집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 PDF